• Title/Summary/Keyword: 교통기초자료

Search Result 58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Analysis of Issues in Developing a Basic Road Transport Database and Proposals for Enhancing Its Reliability and Data Sharing (with Focus on Databases Related to Road Transport Demand Estimation) (도로부문 교통기초자료 구축사업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교통수요 예측 자료를 중심으로))

  • Lee, Sang-Hyeop;O, Chang-Se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7 no.6
    • /
    • pp.55-67
    • /
    • 2009
  • In Korea, previously implemented road construction project caused a big budget waste due to overestimation of transport demand. There could be reasons for such inaccuracy of transport demand estimation, but the main reasons are: (1) low reliability of used basic road transport data and (2) inadequate sharing of data among agencies/departments. The National Transport Database and the Household Travel Database in Seoul Metropolitan Area, two representing basic road transport database, will be used to the establishment of a road construction plan that will be promoted afterwards. However, these materials have problems such as low reliability and inadequateness, too. Hence, focusing on transport demand estimation related databases, this paper will make proposals for enhancing their reliability and data sharing.

Valuation of Air Pollution related to Road Traffic in Seoul (대기오염의 경제적 가치 추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사례로))

  • 김강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4
    • /
    • pp.39-48
    • /
    • 2002
  • 본 논문의 목적은 교통계획 및 투자 사업의 평가에 있어 대기오염 요소를 고려하기 위해 필수적인 기초자료인 대기오염에 의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가상적인 주택선호자료를 바탕으로 대기오염 개선에 대한 가구의 지불용의액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기오염 피해의 화폐적 가치를 추정한다 특히, 국내에서는 적용된 바 없지만 마아케팅 및 교통수요 분석 부문에 있어 시간가치, 교통수단의 안락감 등 비계량적 요소의 경제적 가치 측정에 많이 사용되는 SP(Stated Preference)기법을 사용해서 대기오염 피해에 대한 화폐가치를 추정한다. 연구결과 가구의 점유형태에 따라 대기오염에 대한 경제적 가치가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며 도로교통에 의한 대기오염 1%의 경제적 가치는 240만원/가구.년으로 분석되었다. 대기오염물질별 경제적 가치를 살펴보면 $O_3$ 0.01ppm의 경제적 가치는 55.40만원/가구.년, N$O_2$ 0.01ppm 18.33만원/가구.년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통투자사업의 평가에 있어 환경적 요소를 고려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였으며, 교통분야 뿐만 아니라 환경관련 정책의 수립 분석에 중요한 기초 결과가 제시되었다. 본 결과가 교통분야에 더욱 유용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교통투자사업 또는 교통관리에 따른 교통량의 변화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이 연구가 이루어지면 본 연구가 제시한 결과치는 교통투자사업의 편익/비용 분석에 중요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로서는 조사지역이 전국에서 환경오염이 심한 서울지역에서 조사가 한정되었다는 점이며 이에 대한 앞으로의 연구가 필요하다.

A Study on the Accident Characteristics Analysis of Urban Freeway (도시고속도로의 교통사고특성분석)

  • 김깁수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398-407
    • /
    • 1998
  • 본 연구는 도시고속도로의 교통사고감소를 이한 정성적인 척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고속도로에서 발생하고 있는 교통사고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교통사고 발생요인과 운전자 원인과 교통사고형태와의 영향정도를 수량화이론 II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정성적인 자료는 1994년부터 1995년까지의 대구시 신천대로의 교통사고자료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경찰청의 교통사고보고서를 기초로 하였다. 분석결과, 70%이상의 교통사고가 운전자의 안전거리미확보와 안전운전의무위반에 의한 추돌사고였으며, 외적기준인 운전자 원인과 교통사고형태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으로서는 사고직전의 피해자 진로, 사고발생차선, 시간대, 차종 등의 영향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to Predict the Traffic Accident Severity Level Applying Neural Network at the Signalized Intersections (인공신경망을 적용한 신호교차로 교통사고심각도 예측에 관한 연구)

  • Choi, Jae-Won;Kim, Seong-Ho;Cho, Jun-Han;Kim, Won-Chu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3 s.74
    • /
    • pp.127-135
    • /
    • 2004
  • 교차로 안전성 진단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는 교차로 상에서 발생한 사고 자료에 기초하여 교차로 기하구조 요소, 교통량 및 신호운영방법 등과 관련된 요인을 변수로 사용하여 교통사고건수 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분석하고자 하는 대상 교차로의 사고건수 예측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교통사고 자료의 경우 단 기일에 걸쳐 획득되지 않으며 몇 년간의 사고 자료를 요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더라도 사고 발생 기간동안 교차로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교차로 운영방법, 기하구조 등)이 변화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을 지닌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교차로 안전성을 진단하는데 있어 기존 교통사고 자료는 언제나 절대적인 자료가 될 수 없다.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3일에서 5일정도의 조사 자료만으로도 안전성 진단이 가능한 상충자료를 이용하여 교차로 안전성 진단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사고 자료를 이용하여 사고 발생에 기인하는 여러 변수들을 교통사고심각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를 이용하여 신경망 사고심각도 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모형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사고심각도 예측모형을 개발하여 비교 평가한 결과 신경망 사고심각도 예측모형의 예측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에서 조사된 상충자료를 신경망 사고심각도 예측모형에 적용하여 상충이 사고로 연결 될 경우 사고심각도를 예측하였으며, 예측된 사고심각도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대상 교차로 위험우선순위를 결정한 결과 사고비용에 기초한 위험우선순위 결정법과 같은 순위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A Stochastic Transit Assignment Model based on Mixed Transit Modes (복합수단을 고려한 확률적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개발)

  • Park, Gyeong-Cheol;Mun, Jeong-Jun;Lee, Seong-Mo;Park, Cha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5 no.3
    • /
    • pp.111-121
    • /
    • 2007
  • A transit assignment model can forecast the behaviors of transit users. thereby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evaluation of transit policies. Most existing transit assignment models are based on the models for passenger cars; therefore they cannot reflec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ransit modes. In addition most of the existing models are based on a single transit mode (bus or rail), and they cannot forecast the behaviors of transit users in a changing mass transportation system.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overcome these problems with the exiting models and to develop a more realistic model. The newly developed model is based on mixed transit modes and is a stochastic model that can reflect the different preferences of each transit user for travel time and transfering. Data gathered from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smart card are used to calibrate this model.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for the evaluation of transportation policies and to attribute the development of transit revitalization strategies.

노화~구도 해상교량 해상교통안전진단

  • Jeong, Cho-Yeong;Jeong, Ja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371-373
    • /
    • 2012
  • 노화-구도 연도교 개설공사 사업에 따라 대상해역을 이용하여 통항하는 선박에 대하여 교량 건설을 고려한 종합적인 해상교통 안전성 향상 방안 제시를 위해 이론적 고찰 및 Full-Mission Shiphandling Simulator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근거자료를 작성한 후, 최적의 교량시설을 계획하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인허가 과정중 도출된 해상교량안에 대한 해상교통안전진단을 해사안전법 및 동 법 시행규칙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 PDF

Basic Research on the Elements of Maritime Traffic Characteristic Model (해상교통 특성 모델의 요소 식별에 관한 기초 연구)

  • Oh, Jae-Yong;Kim, Hy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1-2
    • /
    • 2019
  • 일반적인 해상교통 분석 방법은 대상 항만의 항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추출한 후 모델을 구축하며, 구축된 모델을 바탕으로 해상교통 현상을 재현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항로 혹은 통항량 변동 등의 변화에 따른 교통류를 예측할 수 없어 그 활용에 제약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해상교통 분석 사례를 통해 교통 특성 모델의 요소를 식별하고, 이를 동적인 해상교통 환경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에이전트 기반의 교통류 생성 기술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Scheme for building and application of transportation thematic map (교통주제도 구축 및 활용 방안)

  • Choi Jung-Min;Choi Ae-Sim;Eom Woo-H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211-216
    • /
    • 2006
  • 교통주제도는 건설교통부와 한국교통연구원이 ${\ulcorner}$국가교통DB구축사업${\lrcorner}$의 일환으로 제작한 것으로, 국토지리정보원의 NGIS 수치지도(축척 1:5,000)를 기반으로 하여 현장조사 및 문헌조사를 통해 갱신, 보완하여 교통 분야의 활용에 적합하도록 구축한 GIS 수치지도이다. 교통주제도는 현장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구축되며 이중 교통시설물조사는 문헌자료(준공도로현황 등)를 참고하여 산정된 조사대상에 대하여 GPS 조사시스템을 활용, 도형 및 속성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말한다. 조사항목은 도형정보(노드, 링크) 및 속성정보(차선수, 도로번호 등)이며 GPS 조사시스템과 조사원장(도면)을 이용하여 조사한다. 교통시설물조사와 문헌자료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단위도엽(1:5,000기준)별로 교통주제도에 반영되며 최종적으로 전국단위의 통합자료로 구축된다 교통주제도는 사용목적과 축척기준에 따라 단순화되며 이를 교통주제도 레벨이라 한다. 교통주제도의 레벨은 총 4단계로 구분되며 현재 레벨2에서 레벨4까지 구축되고 있다.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는 교통시설투자계획, 수요분석, 타당성 평가와 같은 교통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자료이다.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는 교통주제도보다 더 단순화된 도로망 모델로서 구성요소는 노드(시점, 종점, 죤 센트로이드)와 링크(도로망, 센트로이드 커넥터)이며 도로의 기하구조보다는 논리적 구조(방향성, 노드/링크 연결성 등)에 중점을 둔 데이터이다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는 교통주제도의 도형과 속성정보를 기반으로 하며 각종 통계자료(도로교통량통계연보 등)를 활용, 구축된다.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는 구축시점에 따라 현재 및 장래 네트워크로 구분되며 장래 네트워크는 기준년도부터 2031년까지 5년 단위로 계획된 장래도로를 반영하여 구축된다. 교통주제도 및 교통분석용 네트워크는 국가교통DB구축사업을 통해 구축된 자료로서 교통체계효율화법 제9조의4에 따라 공공기관이 교통정책 및 계획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건설교통부의 승인절차를 거쳐 제공하며 활용 후에는 갱신자료 및 활용결과를 통보하는 과정을 거치도록 되어있다. 교통주제도는 국가의 교통정책결정과 관련분야의 기초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ITS 노드/링크 기본지도로 활용되는 등 교통 분야의 중요한 지리정보로서 구축되고 있다.

  • PDF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Impact on the Aggressive Following Vehicle by Passenger Vehicle Tinting (승용차 틴팅이 조급한 성향의 후미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분석)

  • Kang, Jong Ho;Lee, Chungw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9 no.3D
    • /
    • pp.363-37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afety issue of the tinted vehicle based on the field study as well as the issue of the capacity reduction from the tinted vehicle. Through this study, an innovative experimental method to verify the issues was developed using RTK GPS receivers, and a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the developed experimental method.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effects of the ahead vehicle with the windows tinted on the traffic condition such as headways and acceleration noise were analyzed to test that the ahead vehicle with windows tinted too darkly affects the increasing vehicle maneuver as following the degree of tin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frontier study and more studies, for example, full scale analyses considering various road and vehicle conditions need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연안수역에서 선박교통 재현프로그램 개발과 그 응용에 관한 연구

  • Seong, Yu-Chang;Yun, Dae-Geun;Jeong, Jung-Sik;Park, Gye-G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10a
    • /
    • pp.16-18
    • /
    • 2010
  • 현재 우리나라에서 해상 수송은 무역 수 출입의 90%이상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정학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해상에서의 교통시스템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더욱 발전되기 위해서 무엇보다 연안 해역에서의 선박 교통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별 항적과 같은 선박 교통의 자료들을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의 각 수역별로 선박 흐름을 재현해 보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선박종류 항로특성 실제교통량 등을 해상 교통의 구성요소별로 분류하고, 자동피항 기능을 포함한 다수 선박간의 흐름을 재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목포항의 선박교통 자료를 기본으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개발된 모델을 수역의 교통안전성 예측, 항로내 시설물 설치시 적정성 문제 등에 적용가능한 지를 고려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