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통기반시설

Search Result 39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TS 통신 표준화 활동 현황 및 전략

  • 장병수
    • TTA Journal
    • /
    • s.68
    • /
    • pp.14-18
    • /
    • 2000
  • 우리 주변에는 휴대폰, PDA단말기, 무선호출기,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정보 전달의 수단이 많이 있다.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 지능형 교통시스템)는 기존의 도로교통 기반시설에 차량제어와 정보통신기술이 접목되어 교통의 효율성과 차량 운행의 안정성, 에너지 절약 등 많은 사회 편익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국가적으로는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기술이다. ITS는 기존의 교통 기반시설에 정보통신과 차량제어 등의 기반시설과 기술을 연계시켜 교통의 효율성과 차량운행의 안전성, 에너지 절약 등을 목표로 한다. 매우 다양한 기술과 기반시설이 활용되므로 ITS가 교통문화와 산업체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매우 크다. 본 고에서는 ITS의 여러 가지 분야 중에서 정보통신 분야의 국내외 동향 및 TTA TC06의 향후 방향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A Case Study on the Architectural Use of Urban Traffic Infrastructure (교통관련 기반시설의 건축적 활용 사례 연구)

  • Lee, Jung-Wo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05a
    • /
    • pp.296-299
    • /
    • 2011
  • 도시에는 다양한 종류의 기반시설들이 있고 이들은 계획방법에 따라 건축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도 충분히 가지고 있다. 기반시설의 건축적 활용은 가용지가 부족한 도시에서 유휴공간으로 방치될 수 있는 도시 내 잃어버린 공간을 재생시킨다는 의미도 가지며 공공시설의 통합디자인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주목하여 도시 내 기반시설 중 교통관련 시설인 교량, 도로, 교통섬 등을 활용하여 공공공간을 계획한 사례들을 중심으로 계획특성을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USN based Sevice Model for Traffic Facilities in u-City (u-City의 교통시설물 USN 기반 서비스 추진 방향)

  • Lee, Yong-Joo;Kim, Jy-So;Chang, Hoon;Jeong, Ji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510-51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u-City 건설에 따른 도시 기반시설물의 관리 중 특히 교통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반 서비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관련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 내외의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의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제공되는 교통시설물 관련 서비스를 교통흐름관리, 교통정보제공, 대중교통 활성화 3개 부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USN 기술의 발전 동향을 살펴보아 미래의 u-City 건설 지역에 교통시설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고, 교통 이용편의와 교통안전을 제고하기 위한 USN 기반의 교통시설물 관련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Building of Open Operational System for th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of the Maritime Traffic Facilities (해양교통시설 통합관리시스템을 위한 개방형 운영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Jeon, Joong-Sung;Lee, Seo-Jeo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4 no.8
    • /
    • pp.1135-1144
    • /
    • 2010
  • The high tech marin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s an innovativ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at may be able to secure a safe transportation environment as well as efficient operation by connecting up-to-date skills including a broad range of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based information, control and electronics technologies. When integrated into the marin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by the standard requirements, these standard technologies help monitoring and managing navigational aids. This paper defined a concept of middleware in the marine traffic management systems which gives characteristics of system independency, scalability, extensibility, and researches a functionality of the middleware and a software block of the middlewar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for the Standardized High-tech Marin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표준화된 첨단해양교통시설의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Jeon, Joong-Sung;Lee, Seo-Jeong;Oh, Jin-Seok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4 no.4
    • /
    • pp.532-539
    • /
    • 2010
  • The high tech marin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s an innovativ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at may be able to secure a safe transportation environment as well as efficient operation by connecting up-to-date skills including a broad range of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based information, control and electronics technologies. When integrated into the marin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by the standard requirements, these standard technologies help monitor and manage navigational aids. After investigated on current status of marine transportation system, verified on integrating marine transportation systems, the standard requirements have to suggest a appropriate way of integrating marine traffic systems and proper way of using old marine traffic infrastructure.

The Study on Sensor based Service Model of Traffic Facilities (센서 기반의 교통시설물 서비스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Lee, Yong-Joo;Kim, Jy-So;Chang, Hoon;Jeong, Jin-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6 no.4
    • /
    • pp.415-42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sensor based service model for traffic facilities in u-City through analysing the present condition of urban infrastructure, especially traffic facilities manage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did a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l and external situation of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and classified service for traffic facilities to 3 categories, namely traffic flow management, traffic information offering, formation of road structure. Also, we examined technological trend of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Through this process, we present a sensor based service model of traffic facilities for building sustainable road environment.

A Study on the Field Management System for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IoT Infrastructure (IoT 기반 교통안전시설 현장관리 체계 연구)

  • WON, Sang-Yeon;LEE, Jun-Hyuk;JEON, Young-Jae;KIM, Jin-T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5 no.1
    • /
    • pp.1-15
    • /
    • 2022
  • In order to trust and use autonomous vehicles, safe driving on the road must be guaranteed. For this, the first infrastructure to be equipped with autonomous driving is traffic safety facility. On the other hand, autonomous vehicles(Level 3) and general vehicles are driving on the road,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manage existing general traffic safety facilities. In this study, a field management system for traffic safety facilities based on autonomous driving infrastructure was studied, and a pilot field management system was implemented in the demonstration area(Pangyo). The pilot system consists of a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receiver, a field management equipment, and a field management app. As a result of field demonstration,, it was confirmed that traffic safety facility information was easily transmitted and received even in downtown areas and that could be efficiently operated and manag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the spread of autonomous driving infrastructure to local governments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n the future.

ITS 및 텔레매틱스 국내외 표준화

  • Lee, Sang-S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7
    • /
    • pp.40-46
    • /
    • 2008
  • 오늘날 현대 사회의 산업화, 도시화, 고도화는 자동차를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였다. 그에 따라 자동차 수는 1,500만대를 넘어서는 반면, 도로를 포함한 기반 시설의 증가는 연 2% 정도로 턱없이 부족하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교통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서 교통시설의 공급을 확대하거나, 교통시설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많은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으며, 그 중 교통 시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것이 ITS 및 텔레매틱스 분야 이다. 본고에서는 ITS 및 텔레매틱스와 관련된 국내외 표준화의 현황과 전망에 대해서 살펴본다.

Proposal of Road Traffic Safety Facilities Equipment and Devices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교통안전시설 장치 통합 관제 시스템 제안)

  • JeongHo Kho;Eum Han;Lee Eun Jin;Lee Bo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673-674
    • /
    • 2023
  • 도로교통의 안전 확보와 사고 예방을 목적으로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경찰청에서 규격 또는 지침으로 제정하여 노변에 설치되는 교통안전시설 장치는 교통신호정보를 받기 위한 통신선과 함께 장치 구동을 위한 전원선을 개별로 시공해야 하기에 시공 비용의 절감과 함께 다종·다형의 장치에 대하여 통합적인 관제, 확장성, 유연성에 대응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더넷 통신을 기반으로 전원 공급이 하나의 케이블로 가능한 이더넷 전원장치(PoE) 기술과 IoT 프로토콜인 MQTT를 이용하여 다종·다형의 교통안전시설 장치를 통합관제하고, 확장성과 유연성을 가지는 교통안전시설 장치 통합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Estimation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Scale for Evaluation of Super-Tall Building Locational Appropriateness: Focusing on Urban Area (초고층건축물 입지적정성평가를 위한 교통기반시설의 규모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도심지역을 기준으로)

  • Kim, Hyun Ju;Oh, Young Tae;Nam, Bae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1 no.1
    • /
    • pp.15-24
    • /
    • 2013
  • To accommodate urban concentration of population, multi-purpose super-tall buildings have been introduced, but they induce many travel demands causing regional traffic problems. While several travel demand management policies such as transit promotion or parking limits are presented to alleviate such problems,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re still insufficient to meet high demands. In this study, super-tall buildings are categorized by scale and purpose, then mode-specific derived demand is estimated using modal share of each category. Optimal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level is determined by condition-based average changing amount yielded by street network delay (in case of road) or the number of transit routes (in case of trans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