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통과 통신

Search Result 1,46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지능형 교통 시스템의 통신 기술 현황

  • Han, Dong-Seok;U, Ri-Na-Ra;Hong, Seong-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2
    • /
    • pp.46-51
    • /
    • 2012
  • 지능형교통시스템은 교통 문제 해결의 최적 대안으로서 친환경 지속성장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분야이다. 지능형 교통시스템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은 교통네트워크와 정보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합시스템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보다 지능적인 서비스의 구현을 위하여 통신기술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본고에서는 국내외 지능형교통시스템의 시장 현황과 전망에 대하여 살펴본 후 국내에서 진행되는 지능형 교통 시스템 구축 과제 중 하나인 u-TSN(ubiquitous transportation sensor network)에서 사용되는 통신기술과 제공되는 응용 서비스에 대하여 살펴본다.

Exploring Relationships between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Using Consumer Expenditure Patterns (소비자 지출 행태를 통한 교통과 통신의 상호연관성 연구)

  • Choo, Sang-Ho;Mokhtarian Patricia 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8 s.86
    • /
    • pp.67-75
    • /
    • 2005
  •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enditures on transportation and those on communications, using consumer expenditure data from the U.S. for the 19 years 1984-2002. We first identified 12 categories of goods for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and then applied the linear approximate Almost Ideal Demand System(LA/AIDS) method for estimating consumer demand functions based on aggregating the categories to five (public transportation, personal vehicle capital, personal vehicle operation, electronic communications media, and print communications media)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Expenditure and price elasticities were also calculated at mean values of expenditure shar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categories have both substitutive(e.g. public transportation and electronic communications media) and complementary(e.g. private vehicle capital and electronic communications media) relationships. Additionally, expenditures in the transportation categories are generally more income-elastic than those in communications.

ITS System and Its Communication Requirements (첨단운송체계(ITS) 서비스 정의 및 통신 기술)

  • O, Yeong-In;Yun, Cheol-Sik;Kim, Eung-Bae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2 no.3 s.45
    • /
    • pp.11-17
    • /
    • 1997
  •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는 H/W 중심의 차량 및 교통 기반 기설에 통신.전자.제어.컴퓨터 등 S/W 중심의 기술을 적용하여, 각 차량 및 교통 시설(신호등, 도로, 교통 안내 표지판, 도로 상황판 등)들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기존의 도로 교통 시설의 이용 효과를 극대화하고, 그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교통 수요 관리를 목적으로 사용자에게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지능형 종합 기술 체계이다. 이러한 최첨단 도로교통 관리의 ITS를 이용한 서비스는 각 나라마다 달리 정의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첨단교통관리시스템(ATMS), 첨단교통정보시스템(ATIS), 상용차량 운행관리 시스템(CVO), 차량 및 도로 시스템(AVCS) 그리고 첨단 대중교통 시스템(APTS)의 5개 분야로 나누어진다(1). 이 다섯가지 ITS 서비스 시스템은 공통적으로 정보 수집, 정보 처리, 정보 전달, 정보 통신 기능을 가지고 있다. 즉, 각종 검지기, 차량 단말, 노변 단말 등의 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정보(정보 수집)는 관련 통신 방식(정보 통신)을 통하여 중앙 정보 처리 센터에 전달되어 그 서비스 요구 사항에 따라 처리(정보 처리)되고, 생성된 정보는 해당되는 통신 채널을 거쳐(정보 통신) 각종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정보 전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ITS체계의 정의, 목표 및 서비스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교통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하여 전달하는 과정과 이에 요구되는 통신 체계에 대하여 알아본다.

Analysing Relationships between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Industries Based on Input-Output Table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교통과 통신산업의 상호연관성 분석)

  • Chang, Yu-Kyoung;Choo, Sang-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0 no.4
    • /
    • pp.33-42
    • /
    • 2012
  • Recent development and penetrating expansion in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rought considerable improvements in transportation services. However, there is a controversial debate whether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behave as substitutes or as complements to one another. On this subject, recent studies considered those two industries as services, but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are broadly put for intermediary goods into other industries. Hence, it is essential to examine this issue from understanding their relationships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manufacturing and services. In this study, input-output tables of benchmark years from 1980 to 2005 have been analys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s using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both industries had complementary roles over the period, but, to some extent, changed into substitution roles in some categories.

WAVE 통신 기반 소형선박 환경의 통신거리 실증 연구

  • 최충정;김지아;이아란;김보나;김영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171-171
    • /
    • 2022
  • 해양사고는 매년 증가 추세이고 충돌사고 비율은 낮지만, 발생 시 대규모 피해로 있다. 특히, 3톤 미만 소형어선의 경우 바다네비게이션 서비스 등의 지능형해상교통서비스 관련 법규에서 제외되어 해양디지털화 및 해양사고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3톤 미만의 소형선박의 환경에서 제공가능하도록 충돌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선박안전 충돌경보 이동형 단말장치 개발을 위하여 시제품을 개발하고, 소형선박 환경에서의 WAVE 기반 통신영역 실증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WAVE 통신기반 단말장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A Simulation Model For Freeway Tollgate Opera (고속도로 톨게이트 운영 시뮬레이션 모형 개발)

  • 조용성;배명환;김호중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Conference
    • /
    • 2001.05a
    • /
    • pp.107-112
    • /
    • 2001
  • 본 연구는 FTMS와 TCS를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톨게이트 운영에 관련된 다양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상황 모니터링과 미래의 교통상황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톨게이트 교통상황을 예측하는 톨게이트 시뮬레이션 시스템(TGSS)을 개발하는 것이다. 교통상황 모니터링은 실시간 교통자료를 통계처리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그래픽하게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교통류의 예측은 톨게이트에 도착하는 교통류를 60분 후까지 예측하여 톨게이트 운영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톨게이트 예측시스템은 서울톨게이트에 도착하는 교통류 패턴을 이용하여 미래 톨게이트 교통상황을 시뮬레이션하고 이에 대한 톨게이트 운영 대안을 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FTMS 및 TCS와 실시간으로 통신하기 위하여 별도의 통신프로그램을 작성하였고 통신에 의해 수집된 실시간 교통자료들은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계하여 서울 톨게이트 주변구간의 교통상황과 톨게이트 운영 현황을 제공한다. 교통류 예측 시스템에 사용되는 모형은 거시적 교통류 모형인 Simple Continuum 모형과 시계열 모형을 이용하였고 이를 통해 서울 톨게이트에 도착하는 미래 교통류를 예측 할 수 있다. 톨게이트의 교통상황을 구현하기 위하여 미시적 모형인 차량추종모형과 차로변경모형을 톨게이트 예측 시스템에 반영하였고 현재의 톨부스 운영안과 사용자가 입력하는 톨부스 운영대안에 따라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미래 톨 플라자내 교통상황을 톨게이트 운영자에게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줄 수 있다. 톨게이트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재의 톨게이트 운영안과 최적화된 운영안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톨게이트 운영자는 좀더 과학적인 톨게이트 운영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용적 측면에서 볼 때, 톨게이트 시뮬레이션 시스템(TGSS)은 실시간 통신을 통한 모니터링과 교통류 예측으로 톨게이트 상황을 시뮬레이션하고 톨게이트 운영 대안을 제시·평가함으로써 서울톨게이트 운영을 효율화하고 이로 인한 고속도로 소통 증대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TS 통신 표준화 활동 현황 및 전략

  • 장병수
    • TTA Journal
    • /
    • s.68
    • /
    • pp.14-18
    • /
    • 2000
  • 우리 주변에는 휴대폰, PDA단말기, 무선호출기,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정보 전달의 수단이 많이 있다.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 지능형 교통시스템)는 기존의 도로교통 기반시설에 차량제어와 정보통신기술이 접목되어 교통의 효율성과 차량 운행의 안정성, 에너지 절약 등 많은 사회 편익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국가적으로는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기술이다. ITS는 기존의 교통 기반시설에 정보통신과 차량제어 등의 기반시설과 기술을 연계시켜 교통의 효율성과 차량운행의 안전성, 에너지 절약 등을 목표로 한다. 매우 다양한 기술과 기반시설이 활용되므로 ITS가 교통문화와 산업체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매우 크다. 본 고에서는 ITS의 여러 가지 분야 중에서 정보통신 분야의 국내외 동향 및 TTA TC06의 향후 방향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첨단도로교통체계(IVHS)를 위한 통신

  • 이재홍;박찬범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2 no.4
    • /
    • pp.105-114
    • /
    • 1995
  • 날로 심화되고 있는 교통혼잡과 이에 따른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해결할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한 도로 증설 등 교통시설의 확충과 병행하여 첨단기술을 이용하여 기존 도로의 운영효율을 극대화하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이것을 포괄적으로 첨단도로교통체계(IVHS:Intelligent Vehicle Highway System)라 하며, 이것은 교통관제, 교통정보, 차량운영, 차량제어, 대중교통 등의 분야로 구분된다. 이 글에서는 첨단도로교통체계의 정의 및 그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보고, 첨단도로 교통체계를 위한 통신의 미국, 유럽, 일본 등의 연구개발 사례를 소개한다. 또한, 국내에서의 첨단도로교통체계를 위한 통신의 연구동향과 개발방향에 대하여 검토한다.

  • PDF

Designing a Simulation Framework for Vehicular Ad hoc Network Applications (애드혹 네트워크 기반 교통 시스템을 위한 컴퓨터 모의실험 환경 설계)

  • Kim, Hyoung-Soo;Shin, Min-Ho;Nam, Beom-Seok;Lovell, David J.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6
    • /
    • pp.93-101
    • /
    • 2008
  • With a spread of mobile devices, the growing trend of integrating wireless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nto transportation systems is advanced. In particular, vehicular ad hoc networks (VANETs) enable vehicles to share traffic information that they have through intervehicle communication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design of an integrated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simulation framework to build an environment that is more realistic than previous studies developed for studying VANETs. Developing a VANET-based information model, this research designed an integrated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simulation framework in which these independent simulation tools not supporting High Level Architecture (HLA) were tightly coupled and finely synchronized. As a case study, a VANET-based traffic information system was demonstrated based on a real road network and real traffic data. The experiment results showed that the simulation framework was well integrated. The simulation framework design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environment to experiment a wide range of VANET applications.

교통사고 방지를 위한 차량간 통신기술

  • 유석대;조기환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3 no.2
    • /
    • pp.79-90
    • /
    • 2006
  • 이동중인 차량간에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량의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주고받는 서비스를 교통안전 통신이라 한다. 이 서비스는 운전자의 인지 범위를 벗어나는 상황 혹은 자동화 안전장치가 감지하지 못하는 상황을 운전자가 미리 인지하고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유용한 수단의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차량간 위험과 직접 관련된 정보들을 신뢰성이 있는 상태에서 시기 적절하게 전달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통신과는 다른 통신 방법론이 필요하다. 본 고에서는 미래의 지능화된 교통환경 구성을 위해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새로운 정보통신 응용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는 교통안전 통신의 현황과 기술을 살펴보고, 실용화를 위해서 극복해야 될 사항들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