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차로용량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Level of Service of Signalized Intersections Considering both Delay and Accidents (지체와 사고를 고려한 신호교차로 서비스수준 산정에 관한 연구)

  • Park, Je-Jin;Park, Seong-Yong;Ha, Tae-J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3
    • /
    • pp.169-178
    • /
    • 2008
  • Level of Service (LOS) is one of ways to evaluate operational conditions. It is very important factor in evaluation especially for the facility of highways. However, some studies proved that ${\upsilon}/c$ ratio and accident rate is appeared like a second function which has a U-form. It means there is a gap between LOS and safety of highway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for evaluation of a signalized intersection which is considered both smooth traffic operation (delay) and traffic safety (accident). Firstly, as a result of our research, accident rates and EPDO are decreased when it has a big delay. In that reason, it is necessary to make a new Level of Service included traffic safety. Secondly, this study has developed a negative binominal regression model which is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accident patterns and stream. Thirdly, standards of LOS are presented which is originated from calculation between annual delay costs and annual accident cost at each intersection. Lastly, worksheet form is presented as an expression to an estimation step of a signalized intersection with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and new LOS.

Position of Stop Line according to the Left Turn Trajectory at Intersection (교차로 좌회전 궤적에 따른 정지선 위치에 관한 연구)

  • 김기용;김동녕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3
    • /
    • pp.29-39
    • /
    • 2000
  • Position of stop line according to left turn trajectory at intersections was stud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esign guideline of left turn trajectory at intersections which is related to the Position of cross road stop line. Distance from the curb line to the stop line at each lane was calculated and discussed for various combination of road widths. Three design vehicle type and three control radii were considered. Setbacks of stop line from the curb line are Proportional to the control radius which depends on type of design vehicle. 8m, lim and 19m setback for control radius of 12m, 15m and 23m were calculated respectively as their maximum value. This result will be helpful to Paint the road marking on the Pavement which is usually difficult to fit to the designated radius. Field study of the effect of left turn trajectory on flow rate and safety was conducted. It was approved that improperly designed left turn trajectory decreases left turn capacity and increases conflicts among left turn flows of the adjacent lane.

  • PDF

Development of a Vehicle Classification Algorithm Using an Micro-Cell Detector on a Freeway (자석식 검지기를 이용한 차종인식 알고리즘 개발)

  • 김수희;조형기;이철기;오영태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b
    • /
    • pp.149-149
    • /
    • 1998
  • 차종구분의 필요성은 교통공학 및 계획분야에서 교통패턴을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도로의 포장설계와 같은 구조적 측면, 교통관련자료구축 등에서도 중요하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중에 있는 각종검지기 체계들은 외국에서 개발한 체계로서 여러 가지 다양한 센서를 복합구성하여 차종을 구분하는 고가의 장비들이다. 이에 대한 국내의 연구사례는 극히 드물다고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주를 이룬 국내 연구사례를 보면 루프검지기를 이용한 차종구분이 주를 이루고 있다. 현재 루프검지기의 대체검지기(영상검지기, 자석검지기)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 이용되는 검지기는 자석검지기로서 루프검지기에 비하여 설치가 간단하고 파손의 우려가 적으며 유지관리 및 보수가 손쉽고 비용면에서도 저렴하다는 것이 장점이라 하겠다. 이에 최근에 개발되어진 단일 자석검지기를 이용한 실시간 차종인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현장실험을 통한 현장 적용성을 검토한다. 고속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자석검지기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며 분석에 이용되는 자료는 개별차량에 대하여 자속밀도의 변화를 주파수값으로 변환한 Digital Data값이다. 그 수치를 토대로 각 차량의 점유시간을 파악하여 각 차량의 점유시간동안 파형의 특징을 추출하여 각 특징들을 기초로 하여 각 차량이 나타내는 고유의 파형을 식별하는 패턴인식 방법으로 접근한다. 본 연구에서는 검지기 매설장소의 유한성 및 연구대상 도로의 특성으로 인하여 다양한 차종의 자료수집이 용이하지 못하여 시험가능한 자료수가 많은 차종을 대상으로 분석한다. 차종인식 알고리즘상의 차종분류는 건설교통부 차종분류기준에 따라 우선 구분이 확실한 차종으로 나눈후 단계적으로 세부적 차종분류로 접근한다.의 영향들을 고려함으로써 가로망 설계 과정에서 가로망의 상반된 역할인 이동성과 접근성의 비교가 가능한 보다 현실적인 가로망 설계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소개된 가로망 설계모형들은 용량변화에 대한 설계변수의 형태에 따라 이산적 가로망 설계 모형과 연속적 가로망 설계모형으로 나뉘어지게 된다. 본 논문의 경우, 계산속도의 향상 측면에서는 연속적 가로망 설계 모형을 도입할 수 있지만, 이때 요구되는 도로용량이 이산적인 변수(차선 수)로 결정되어야만 신호제어 변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산적 가로망 설계 모형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산적 설계모형의 경우 조합최적화 문제이므로 정확한 최적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국부 최적해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 이상적 모형의 근사화, 혹은 조합최적화문제를 위해 개발된 Simulated Annealing기법의 적용, 연속적 모형의 변수를 이산화하는 방법 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Solution Approach와 Iterative Approach를 비교, 검토한 뒤 모형에 보다 알맞은 방법을 선택한다. 차량의 교차로 통행을 고려하는 performance function의 경우 비신호 교차로와 신호교차로에 대

  • PDF

Driving Satisfaction and Safety Assessment for Roundabout (회전교차로 주행 만족도 및 안전성 평가)

  • Namgung, Moon;Shin, Hoe Sik;Jang, Tae Yo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1
    • /
    • pp.223-233
    • /
    • 2014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road and traffic experts'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driving behavior and factors being expected to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about roundabout operation. The factors are drawn and grouped through the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to clarify dr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 on roundabout operation. Each group is named as personal attribute, driving behavior attribute, and satisfaction. After the variables are refin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atisfaction model is developed with personal attribute and driving behavior attributes as exogenous variables and roundabout driving awareness and emotion attributes as endogenous variables. As a result, driving satisfaction of roundabout operation is directly influenced by delay reduction, safety improvement, capacity increase, sight improvement, severity accident reduction, and bicycle convenience and indirectly gender, age, driving time, and driving experience. Law obeyance, driving concession, traffic sign obeyance, and interposition do not statistically shows significant on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HP), the turning radius of geometry and the driving behavior are important elements for roundabout safety.

Development of Pedestrian Delay Model at Signalized Intersections (신호교차로 보행자 지체모형 개발)

  • Chang, Hyun-ho;Yoon, Byoung-j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8 no.2
    • /
    • pp.283-294
    • /
    • 2018
  • An accurate pedestrian-delay model is essential for the pedestrian-oriented evaluation of signalized intersection (SI). The crossing behaviors of pedestrians at signalized pedestrian crosswalks (SPCs) are various, and their arrival behaviors consist of two types, random and platoon. It is natural, hence, that the behaviors of pedestrian crossing and arrival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stimate accurate pedestrian delay. Despite this necessity, a simple pedestrian-delay model that cannot explain these behaviors of pedestrian movements is still recommended in Highway Capacity Manual (HCM). For these reasons, a pedestrian-delay model, suitable for various SPCs and SIs, is required to make pedestrian-oriented decisions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various SPCs and SIs. This paper proposes a novel pedestrian-delay model that is based on the behaviors of pedestrian crossing and arrival.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two sub models: the one for SPC and the other for SI. The SPC delay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behaviors of pedestrian crossing during pedestrian green time. The SI delay model was designed based on the behaviors of pedestrian crossing and platoon arrival. The results of a numerical simulation showed that the proposed delay model can successfully overcome the under- and overestimation problems of the HCM model with explaining various behaviors of pedestrian crossing and arrival.

A Simplified Analytical Method for the Capacity and Level of Service of Signalized Intersections (신호교차로 용량 및 서비스수준에 대한 간략적 분석방법(4갈래 교차로 비포화 상태를 대상으로))

  • Hong, Soon-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4 s.75
    • /
    • pp.43-56
    • /
    • 2004
  • The KHCM procedure is a micro level analysis at signalized intersections requiring a lot of input variables and complex computations.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simplifying the analysis procedures by using the generalized or the combined variables that less influence on the adjusted traffic volume and through-car equivalents of left or right turns. It was also tried to make lane grouping into directional flow ratio(v/s) based on a field surveys. The maximum and minimum values of each variabl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KHCM analysis procedures in terms of control delay. The lane grouping and the synthetical influence of a simplified method was evaluated with the scenario built in prevailing maximum and minimum conditions. The study showed that the control delay was not significantly sensitive to the selected variables and the lane grouping and their synthetical influence as well.

A Development of dynamic Multi-labelling Vine Algorithm for Urban ATIS Application (도시부 ATIS 적용을 위한 다중 표지 덩굴망 알고리즘의 개발)

  • 박상준
    •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 /
    • 1998.10a
    • /
    • pp.161-170
    • /
    • 1998
  • 기존에 건설된 교통시설의 운영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지능형 교통체계의 한 분야인 ATIS는 도로를 이용하는 통행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도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정보체계이다. ATIS 체계하에서 통행자에게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교차로서의 회전에 의한 지체를 정확하게 반영함은 물론이고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교통상황을 반영할 수 있는 동적인 최단경로 탐색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하지만 기존에 발표된 동적인 최단경로 탐색 알고리즘은 회전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지 못하며 정적인 최단경로 탐색 알고리즘은 회전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지 못하며 정적인 탐색알고리즘 조차 회전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유에서 알고리즘 내부에서 회전을 반영하기 위해 수정형 덩굴망 알고리즘의 표지기법을 이용하여 동적인 최단경로 탐색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동적 최단경로 탐색 알고리즘은 정적인 상태의 수정형 덩굴망 알고리즘에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교통상황을 반영하기 위해 시간에 대한 변수를 추가하였다. 이렇게 해서 알고리즘은 시간대별로 변화하는 통행시간을 고려하여 최단 경로를 탐색하게 되며 출발시점을 기준으로 표지를 설정하여 모든 앞선 시간에 대해 경로를 고려하도록 하였다. 매 단계에서 전 노드를 추적하여 회전에 관한 정보를 반영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최단경로 탐색 알고리즘은 교차로에서의 회전에 대한 정보와 통행금지 등을 정확히 반영하며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통행시간을 반영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노선 정보를 ATIS를 이용하는 통행자들에게 제공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기법이다.적으로 세부적 차종분류로 접근한다.의 영향들을 고려함으로써 가로망 설계 과정에서 가로망의 상반된 역할인 이동성과 접근성의 비교가 가능한 보다 현실적인 가로망 설계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소개된 가로망 설계모형들은 용량변화에 대한 설계변수의 형태에 따라 이산적 가로망 설계 모형과 연속적 가로망 설계모형으로 나뉘어지게 된다. 본 논문의 경우, 계산속도의 향상 측면에서는 연속적 가로망 설계 모형을 도입할 수 있지만, 이때 요구되는 도로용량이 이산적인 변수(차선 수)로 결정되어야만 신호제어 변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산적 가로망 설계 모형이 사용된다. 하지만, 이산적 설계모형의 경우 조합최적화 문제이므로 정확한 최적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국부 최적해에 빠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우선 이상적 모형의 근사화, 혹은 조합최적화문제를 위해 개발된 Simulated Annealing기법의 적용, 연속적 모형의 변수를 이산화하는 방법 등 다양한 모형들을 고려해 본 뒤, 적절한 모형을 적용할 것이다. 가로망 설계 모형에서 신호제어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가로망에 대한 통행 배정과정에서 고려되는 통행시간을 링크통행시간과 교차로 지체시간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최근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교차로에서의 신호제어에 대응하는 통행배정 모형을 도입하여 고려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지금까지 연구되어온 Global Solution Approach와 Iterative Approach를 비교, 검토한 뒤 모형에 보다 알맞은 방법을 선택한다. 차량의 교차로 통행을 고려하는 perf

  • PDF

An Analysis of Effectiveness for Permissive Warrants on the Restrictive Left-Turn Signal Control in Urban Arterial Roads (도시 간선도로에서 제한적 좌회전 신호운영의 적용기준 및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Jeong, In-Taek;Lee, Yeong-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7 no.5
    • /
    • pp.17-28
    • /
    • 2009
  •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dealing with rapidly changing traffic demand in urban cities. Thus recently, traffic operation and management skills are more emphasized rather than the expansion of traffic facilities. In particular, in the interrupted flow formed by signalized intersections, it is quite important to give optimal signal timing to each intersection with consideration of progression. However, as fixed signal times per direction can affect passing capacity in signalized intersections, the present four-signal phase including a left-turn signal has many limitations, including reduction of directional road capacity when traffic demand is increases dramatically during peak hours. Because of this problem, lots of studies about internal metering techniques for oversaturated signal control skills have progressed but these techniques are not used widely due to the absence of detectors for queue sensing in real-time signal control systems. In this research, a new methodology called the "restrictive left-turn signal control", which is already used at the intersection above Samsung subway station, is suggested in order to reduce control delay of urban arterial roads. The restrictive left-turn signal control allows a driver to make a U-turn and then a right turn instead of turning left in that intersection. With this change, the restrictive left-turn signal control can contribute to increased intersection capacity by reducing the number of signal phases and maximizing the through phase time. However, road structure and traffic conditions at the target intersections should be considered before the adoption of the proposed signal control.

Determination of Nomal Design Speed for Inter-Chang Ramp in a Free Way (입체교차로 유.출입 접속부의 적정 설계속도 결정)

  • Lee Seon-Gyu;Lee Gang-Il;Lee Jae-Yong;Chol Seok-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6.04a
    • /
    • pp.551-556
    • /
    • 2006
  • 현재의 고속국도 인터체인지는 직선구간에서 곡선구간으로의 급격한 유출 및 속도저하 등으로 인하여 교통사고의 원인이 되며, 속도저하로 인하여 본선의 교통 체증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터체인지의 사고발생현황, 원인분석 등을 통해 분기점의 적정설계속도를 제안함으로써 사고의 최소화와 안전하고 쾌적한 도로조건 확보 및 교통용량의 극대화 등 도로기능을 확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Ideal Saturation Flow Rate and Geometric Adjustment Factors at Urban Signalized Intersection (도시부 신호교차로의 기본용량 및 기하구조 보정계수)

  • 오영태;심대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0 no.2
    • /
    • pp.5-24
    • /
    • 1992
  • This research presets the method of determining basic capacity of signalized intersection using the concept of ideal saturation flow rate. Vehicle discharge rates during green time were collected and studied as part of the preparation of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deal saturation flow rate and saturation queue position were determined. In addition, based on the ideal saturation flow rate two geometric adjustment factors(lane width and grade adjustment factors) were studied.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this pap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