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정용 밴드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3초

접착용 시멘트의 균일한 도포를 위한 교정용 밴드 장착방법의 모색 (SEARCHING FOR THE PROPER SEATING METHOD OF SEAMLESS BANDS WITH UNIFORMLY COATED CEMENT)

  • 김형준;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91-497
    • /
    • 2006
  • 소아치과 임상에 있어서 교정용 밴드는 매우 다양한 용도로 일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교정용 밴드와 치아 사이에 시멘트가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치아 법랑질 탈회나 치은염이 유발됨을 간혹 보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균일한 시멘트 층을 유지 한 밴드 장착방법을 모색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발치된 상하 제 1 대구치를 복제한 치아모형에 이에 적합한 교정용 밴드를 선택하여 접착용 시멘트로 세 가지 방법으로 접착시켰다. 방법 1에서는 접착용 시멘트를 밴드 내면에만 도포하였고, 방법 2에서는 접착용 시멘트를 밴드 내면과 치아의 축면에 도포, 방법 3에서는 접착용 테이프를 밴드의 상연에 부착한 상태에서 밴드 내면에 접착용 시멘트를 도포하였다. 접착용 시멘트가 경화된 후 밴드를 치아에서 벗겨내고 내면의 시멘트 분포상태를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밴드 내면에만 시멘트를 도포한 방법 1의 경우보다는 방법 2와 3의 경우에 시멘트가 더 균일하게 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정용 밴드를 장착하는 과정에서는 접착용 시멘트를 밴드 내면에만 도포하는 방법보다는, 치면에도 시멘트를 가하거나 잉여 시멘트의 교합면측 탈출구를 봉쇄하는 등의 방법이 균일하게 도포된 시멘트 접착을 달성하는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교정용 밴드를 이용한 구치부 2급 와동의 복합레진 수복 (CLASS II COMPOSITE RESIN RESTORATION USING ORTHODONTIC BANDS)

  • 박성동;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17
    • /
    • 2005
  • 소아, 청소년 환자의 경우 성인에 비해 구치부 인접면 우식의 빈도가 높은 편이며, 그 수복 재료에 있어서 심미성이나 치질 삭제량 감소 등의 이유로 복합레진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복합레진을 이용한 구치부 인접면 수복에 있어서, 술자의 기호와 기술에 따라 여러 가지 매트릭스 밴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매트릭스 밴드는 인접면 변연의 적합성과 이에 의한 미세 누출의 감소, 타액에 대한 방습 효과 및 마무리와 연마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등 많은 임상적인 기능을 가진다. 본 증례에서는 복합레진과 교정용 밴드를 이용하여, 유치와 영구치 각각의 인접면 우식의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교정용 밴드를 이용한 2급 와동의 복합레진 충전에 있어서 기존의 매트릭스 밴드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1. 우수한 변연 적합성에 의해, 치아 외형의 재현이 용이 하였으며 타액에 대한 방습 효과도 우수하였다. 2 복합레진의 충전이나 중합에 있어서, 교정용 밴드의 견고성에 의해 수복물의 변형이 작다고 판단되었다. 3. 간격 유지 장치 등의 이유로 교정용 밴드의 장착을 많이 시행하고 있는 소아치과 의사의 경우, 타과 전공 치과의사에 비해 비교적 교정용 밴드의 장착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적절하게 선택된 교정용 밴드는 위와 같은 장점들에 의해 수복 치료를 보다 용이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 PDF

수종 치과 교정용 밴드 시멘트의 세포독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In vitro cytotoxicity of four kinds orthodontic band cements)

  • 이원철;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51-362
    • /
    • 2004
  • 고정식 교정 치료시 교정용 밴드가 장착된 치아의 치주조직 손상은 접착된 치아에서 보다 자주 발생한다. 일반 치과치료에 사용되는 시멘트는 세포독성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치주조직과 직접 접촉하거나 구강 내에서 밴드시멘트의 성분들이 용출되는 교정용 밴드 시멘트는 치주조직의 손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정용 밴드 시멘트의 생체 친화성은 재료의 물성과 함께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교정용 밴드 시멘트의 세포독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현재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zinc phosphate cement (ZPC), glass ionomer (GI), resin modified glass ionomer (RMGI), compomer의 생체 친화성을 평가하기 위해 human gingiva fibroblast를 배양하고 이 세포에 대한 세포수 산정 및 세포 형태관찰,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한천중층시험 등의 세포독성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세포수 산정 및 형태 관찰 시험에서 Gl>ZPC, RMGI, RMG124, GI24>compomer24, ZPC24, compomer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2. MTT assay 에서는 GI>ZPC, RMGI>GI24>ZPC24, compomer, RMGI24, compomer24 순으로 세포독성이 높게 나타났다. 3. 한천중층시험에서 는 GI>GI24, ZPC, ZPC24, RMGI>RMG124, compomer, compomer24 순으로 세포독성 이 높게 나타났다.

지르코니아 기성관에 컴포머와 레진 시멘트로 접착한 교정 밴드의 결합력 (Bond Strength of Band on Zirconia Crown with Compomer and Resin Cement)

  • 박찬희;이종형;이한길;김지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7-13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지르코니아 기성관에 대한 교정용 밴드의 접착제로서 컴포머 시멘트와 레진 시멘트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총 30개의 시편을 준비하였다. 상악 우측 제 2유구치의 스테인리스 스틸 기성관에 컴포머 시멘트로 교정용 밴드를 접착한 I군과 지르코니아 기성관에 컴포머 시멘트로 밴드를 접착한 II군, 지르코니아 기성관에 레진 시멘트로 밴드를 접착한 III군으로 나누었고 밴드의 결합력을 측정하기 위해 인장력을 가하였다. I군, II군과 III군의 결합력의 평균값은 각각 0.79 MPa, 1.09 MPa 그리고 1.56 MPa였다. II군이 I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합력을 보였고, II군과 III군 의 결합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컴포머 시멘트와 기능성 단량체를 포함한 레진 시멘트는 유구치 지르코니아 기성관에 대한 교정용 밴드의 시멘트로서 양호한 결합력을 보였다.

교정용 밴드를 이용한 구치부 수복 (MOLAR RESTORATION WITH AN ORTHODONTIC BAND)

  • 이석우;이제호;최형준;손흥규;김성오;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1-95
    • /
    • 2009
  • 소아 및 청소년에서 유구치 및 대구치는 인접면이나 평활면에 광범위한 치아우식증으로 치질이 많이 파괴되거나, 치수치료로 인하여 치질 부위가 약해져서 파절되기 쉬운데, 치료방법으로 기성금속관이 사용되고 있다. 기성금속관은 1950년대 Humphrey에 의해서 소개되었고, 장점으로 내구성이 강하고, 임상적 수명이 길며, 성공률이 높지만, 치질 삭제로 인한 치수노출 위험성과 인접 치아의 삭제의 가능성이 있고, 다수의 치아 수복 시에 교합면 높이를 맞추기 어려우며, 큰 크기의 기성금속관을 선택한 경우 금속관의 변연에 의해 인접 치아의 맹출을 방해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기성금속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구치부 수복 시 교정용 밴드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 치아우식증으로 파괴된 치질 부위를 교정용 밴드와 복합레진, 또는 글래스아이오노머, 아말감 등으로 수복하는 방법이다. 교정용 밴드를 이용한 구치부 수복은 치경부와 교합면에 치아우식증이 있어 치질이 많이 파괴되거나, 치수치료한 치아, 법랑질 저형성된 대구치 등에서 사용될 수 있고, 시술 시간이 짧아 행동조절이 어려운 어린이에서 유용하다. 그러나, 치료 후 구강위생상태를 청결히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 증례들에서는 유구치와 대구치에 광범위한 치아우식증의 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아에서 교정용 밴드를 이용한 보존적 수복치료를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보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교정용 밴드 제거 후 미생물 분포 및 치주 조직의 임상적 변화 (Changes of periodontopathogens and clinical parameters of periodontal tissue after debanding)

  • 양유미;김성식;전은숙;박수병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63-274
    • /
    • 2006
  • 본 연구는 밴드 제거 직후 및 4주 경과 후 치주조직의 임상적인 환경변화와 미생물 분포 변화를 알기 위해 시행하였다. 최후방 구치에 밴드를 포함하는 고정식 교정 장치를 장착하고 교정 치료를 1년 이상 시행한 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나이 22세, 남자 6명, 여자 11명). 최후방 구치의 밴드를 제거한 직후와 제거 후 4주가 경과한 다음에 치주조직의 탐침 깊이와 출혈 빈도를 측정하였으며, 치은 연하의 치태를 채취하여 미생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치주질환에 관련성이 깊은 미생물 중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를 직접 Polymerase Chain Reaction 방법으로 존재 여부를 확인하였다. 밴드 제거 직후와 제거 후 4주가 경과한 시점의 치주조직의 탐침 깊이와 출혈 빈도, 병원성 미생물의 존재 여부를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탐침 깊이와 출혈 빈도는 모두 하악 좌측 구치 협면에서 감소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상악 우측 구치 설면에서 감소율이 가장 작게 나타났다. 병원성 미생물 중 T. denticola가 밴드 제거 4주 후에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으며, 하악보다 상악에서 감소율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비록 밴드를 장착하여 치주 환경이 불량해졌다 하더라도 올바른 구강 위생 관리가 시행된다면 밴드를 제거한 후 정상적인 치주 상태로 회복될 수 있음을 예시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Ipriflavone 투여가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 후 치주조직의 재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priflavone on the periodontal reorganization following experimental tooth movement in the rat)

  • 민지현;조진형;이기헌;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347-357
    • /
    • 2008
  • 본 연구는 치아이동 후 ipriflavone 투여가 치주조직의 재형성, 나아가 치아회귀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웅성 백서 72마리를 대상으로 상악 좌우측 제1, 2구치 사이에 교정용 고무밴드를 끼워 제1, 2구치를 3주간 이동시킨 다음, 교정용 고무밴드 제거 1일 전부터 매일 체중 kg당 50 mg 또는 400 mg의 ipriflavone을 투여한 실험군과 ipriflavone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구분하였다. 교정용 고무밴드를 제거함으로써 회귀가 나타나기 시작한 날로부터 5일 간격으로 15일까지 각각 실험동물을 희생시켜가며 치아회귀 거리를 계측하는 한편 치주조직 재형성 소견을 관찰하였다. Ipriflavone을 투여하고 치아회귀를 관찰한 결과 용량에 관계없이 대조군에 비하여 적은 양의 회귀를 나타내었으며 시간 간격에 따른 치아회귀를 관찰한 결과 대부분의 회귀가 5일째 나타난 대조군과 달리, 늦게 그리고 점진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Iprinavone을 투여하고 조직소견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치조골연이 매끄러운 양상을 보였으며 시간 간격에 따른 조직소견을 관찰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치주인대 재배열이 빠르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ipriflavone의 투여가 치주조직의 재형성을 통하여 회귀를 억제함으로 교정적 치아이동 후 보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수종의 밴드 접착 시멘트의 물성에 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PHYSICAL PROPERTIES FOR VARIOUS BAND CEMENTS)

  • 양규호;김기백;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27-432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밴드 시멘트들을 종류별로 이용하여 교정용 밴드의 결합강도를 비교하고, 각 시멘트의 파절 양상을 비교하여 교정용 밴드에 대한 사용지침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100개의 발거된 인간의 제 3대구치를 이용해 실험군은 총 5개의 군으로 하였으며, 각 군당 시편수가 20개가 되도록 임의적으로 분류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밴드 시멘트는 다음과 같다; Ormco gold, Ultra $Band-Lok^{TM}$, Fuji $Ortho^{TM}$ LC, 3M $Unitek^{TM}$ Multi-Cure Glass Ionomer, $Ketac-Cem^{TM}$. Universal testing machine(Instron Corp., Canton, MA, USA)를 사용하여 최대하중값을 측정하였고, 전단결합강도 값을 계산하였다. 밴드가 탈락한 후, 탈락 부위를 평가하여 법랑질과 시멘트, 시멘트와 밴드 사이로 구분하였다. 밴드의 전단강도는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Tukey 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또한 탈락 부위는 Chi-squre analysis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Fisher's exact test로 군간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실험 결과 평균 파절 강도는 Ormco군이 가장 높았고(2.44${\pm}$0.57), Fuji $Ortho^{TM}$군(2.24${\pm}$0.50), $Ketac-Cem^{TM}$군(2.10${\pm}$0.57), 3M $Unitek^{TM}$군(1.82${\pm}$0.43), $Band-Lok^{TM}$군(1.73${\pm}$0.28) 순이었으며, Ormco군은 $Band-Lok^{TM}$군과 3M $Unitek^{TM}$군, Fuji $Ortho^{TM}$군은 $Band-Lok^{TM}$군과만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였다(p<0.05). 파절 양상에서 Ormco군과 $Band-Lok^{TM}$군은 서로뿐만 아니라 다른 군과 유의할만한 차이를 보였으며, Fuji $Ortho^{TM}$, 3M $Unitek^{TM}$, $Ketac-Cem^{TM}$ 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의 치아우식예방 및 진행억제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ffects of fluoride releasing orthodontic sealants on the prevention and the progressive inhibition of enamel demiheralization in vitro)

  • 채승원;;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79-995
    • /
    • 1997
  • 고정성 교정장치 주변에 발생되는 백색반점은 임상적으로 쉽게 눈에 띄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잔치제거 후 심니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야기하는데, 이는 곧 교정치료의 실패를 의미한다.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고정성 교정장치가 구강내 세균환경을 변화시켜 세균집단의 증식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고정성 장치 부착 후, 법랑질 탈회의 발생빈도가 증가된다는 사실이 보고 되어 왔으며 장기간이 소요되는 교정치료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브라켓 또는 교정용 밴드 주변의 법랑질 탈회나 치아우식증을 예방 또는 억제시키기 위한 연구가 함께 진행되어 왔다. 이는 환자에 대한 구강위생 교육이나 치아관리 노력에도 불구하고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불소가 유리되는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의 치아우식 예방 및 진행억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각각 7개의 편광현미경군(A군-G군)과 주사전자현미경군(A'군-G'군)으로 분류하였고 [1. A & A'군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지 않은 정상치아군, 2. B & B'군 :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의 항온용기 에 72시간 보관한 비처치군,3. C & C'군 :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 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군, 4. D &D'군 :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광중합형 교정용 전색제군, 5. E & E'군 표면에 아무처리 없이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후, 이를 다시 아무런 처치없이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비처치군, 6. F & F'군 : 표면에 아무런 처치없이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후,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를 도포하고 이를 다시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 7. G & G'군 :표면에 아무런 처치없이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 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후, 광중합형 교정용 전색제를 도포하고 이를 다시 STPP 인공우식용액에 담그고 $37^{\circ}C$ 의 항온용기에 72시간 보관한 광중합형 교정용 전색제군], 이들을 편광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조직의 변성 여부를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편광현미경적 연구에서 인공우식병 소의 깊이는 $A군(5.08{\mu}m),\;B군(47.82{\mu}m,\;C군(8.42{\mu}m),\;D군(7.20{\mu}m),\;E군(85.41{\mu}m),\;F군(60.38{\mu}m),\;G군(60.13{\mu}m)$,이었다. 2. 인공우식 병소의 깊이에 있어서, B군은 A군,C군,D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고(p<0.05), E군은 F군,G군과 비교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3.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는 법랑질탈회 예방효과가 있었다. 4.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는 법랑질탈회 진행억제효과가 있었다. 5. 광중합형 및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 표본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에서 인공우식용액의 시간 경과에 따른 영향은 없었다. 6. 광중합형 교정용 전색제 표본과 자가중합형 교정용 전색제 표본 사이의 차이는 편광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구별할 수 없었다.

  • PDF

자연 치관과 포세린 치관상에서 교정용 브라켓 부착시 전단 결합 강도와 파절 양상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SHEAR BOND STRENGTH AND ADHESIVE FAILURE PATTERN OF METAL BRACKETS BONDED ON NATURAL TEETH AND PORCELAIN TEETH)

  • 이현선;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95-204
    • /
    • 2008
  • 치아 우식증과 침식증의 진단과 본 연구는 교정용 밴드 사용의 대안으로 제시된 직접 부착 술식이 보철 치료를 받은 치아상에서도 적절한 결합 강도를 갖으면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불산과 포세린 전처리제의 사용 여부에 따른 결합 강도와 접착 파절 양상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사람의 상하악 소구치 치관 20개를 대조군으로, 소구치의 협면을 복제한 포세린 치관 80개를 실험군으로 나눈 후, 대조군은 37% 인산으로 산부식한 후 Transbond $XT^{(R)}$를 이용하여 금속 브라켓을 접착하였고, 실험군들은 모두 포세린 치관에 통상적으로 sandblasting 처리를 하되, 9.6% 불산으로 4분간 부식처리를 함께 한 군, 포세린 전처리제를 적용한 군, 마지막으로 sandblasting과 불산 그리고 포세린 전처리제를 모두 적용한 군으로 20개씩 나눈 후 금속 브라켓을 접착하였다. 각 군간 전단 결합 강도와 접착 파절 양상을 비교하여 관찰한 결과, 포세린 치관에 금속 브라켓을 접착할 시, 기존의 비심미적인 밴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sandblasting과 불산 그리고 포세린 전처리제를 이용한 직접 부착 술식으로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