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 혁신

Search Result 1,18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Direction of College Education Prosperitiy via Innovation of Vocational Education - As for the Times of Coexistance with Crises and Opportunities (직업교육혁신을 통한 전문대학 교육의 발전방향 - 위기와 기회가 공존하는 시대를 위하여 -)

  • Kim, Ho-D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6a
    • /
    • pp.197-205
    • /
    • 2002
  • 대학의 위기 시대에는 기회가 동시에 오는 것이므로 전문대학 발전전략을 어떻게 수립하는 가가 생존의 열쇠이다. 본고에서는 전문대학의 직업교육혁신 방안으로서 5대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전문대학 교육혁신의 이념적 바탕은 전문대학의 정체성 확보에 있고 이는 고등교육법에서 제시한 전문직업인의 개념의 해석에 있다. 지식기반사회 에서의 전문직업인의 정의를 확고하게 설정하고 이에따라 직업교육체제 혁신, 전문대학의 기능혁신, 전문대학 교육의 질혁신, 직업교육의 문화혁신, 전문대학 경영 혁신 등을 이루어 나갈 때 전문대학의 생존은 수요자와 사회를 위하여 가능한 것이다.

  • PDF

A Linkage between Educational Autonomy Innovation and School Space Innovation - Focusing o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 (교육자치혁신과 학교공간혁신 연계 방안 - 세종특별자치시를 중심으로 -)

  • Lee, Yong-Hwan;Koo, Joong-Phil;Kim, Kwan-Young;Park, Joung-Lan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18 no.4
    • /
    • pp.33-43
    • /
    • 2019
  •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concept of school space innovation to aim at the importance of user educational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s of students, teachers, or consumers connected with the educational autonomous innovative curriculum and various school-government educational activities and suggest the ways to link school space innovation to the best possible reflection for demander-centered or the demander needs To this end, the basic concepts of the autonomous education and school space innovation were reviewed, and the literature survey on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and educational autonomous innovati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educational goals and basic value-added awareness of the curriculum. The purpose was to research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through the survey and analysis of basic values of education, the functions of school education, the direction of school environment and space spatial composition, and school space.

국가 명운을 바꾸려면, 고등교육 일대 혁신에 전심전력하라

  • Choe, Hyeon-Seop
    • 대학교육
    • /
    • s.151
    • /
    • pp.9-11
    • /
    • 2007
  • 신임 대통령과 정부가 해야 할 일은 수없이 많겠지만, 그 중 고등교육의 혁신만큼 국가 경제와 산업의 지속적 성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안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선진제국들이 앞다투어 고등교육의 혁신에 몰두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를 잘 입증해 주고 있다. 여기서는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일대 혁신을 위해 신임 대통령과 정부가 특별히 역점을 두었으면 하는 바를 밝혀 보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a Research Tool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of School Space Innovation (학교공간혁신의 교육효과 분석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 Lee, Sang-Min;Lee, Hyun-ju
    • The Journal of Sustainable Design and Educational Environment Research
    • /
    • v.21 no.3
    • /
    • pp.26-37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tool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of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which is being promoted on a large scale at the national level. In order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of school space innovation, it is first necessary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space altered by the school space innovation. Research and analysis should be possible, so a user survey tool was developed for this purpose. It is expected that the survey tool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pre-investigation in the pre-planning stage of the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 and as a post-evaluation tool fo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space innovation.

Analysis of Online Learning Satisfaction and its Effect on Learners' Core Competencies at the Digital Innovation Sharing University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학습자의 온라인 수업 만족도와 핵심역량에 대한 영향력 분석)

  • Lee, HyunK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7a
    • /
    • pp.381-384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에너지신산업 분야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온라인 교육과정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인식을 조사하고, 학습자의 수업만족도와 핵심역량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에너지신산업 분야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교육과정을 수강한 학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 결과를 양적, 질적 방법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혁신공유대학 교육과정 설계 및 개발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디지털 혁신공유대학 교육과정 질 관리 환류 체계를 마련하고, 지속적인 교육과정 질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chooling, Technology-specific Training and Economic Growth: a Theoretical Approach in a Model of Endogenous Innovation (학교교육과 기술특화교육의 기술혁신 및 경제성장효과: 내생적 기술혁신모형에서 이론적 접근)

  • Kim, Sang Choon;Choi, Bo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5
    • /
    • pp.285-304
    • /
    • 2017
  • This paper introduces household's decision for schooling and firm's decision for technology-specific training together into the second generation model of endogenous innovation, and analyses how schooling and technology-specific training interact each other, how they respectively affect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and also how the portfolio mix of schooling and technology-specific training changes as economy becomes more innovativ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hooling and technology-specific training both have "inverted-U"shape growth effects. Second, schooling investment per labor required for growth maximization is always greater than that for firm profit maximization. Third, the optimal schooling for growth maximization decreases with technology-specific training. Fourth, the schooling effect on technology-specific training is "U"shaped, so that for firm's profit maximization schooling is substitutable for technology-specific training at the relatively lower level of schooling but complementary at its relatively higher level. Fifth, as economy becomes more innovative, the portfolio mix of education changes in favor of schooling.

대학 통합, 성과와 과제(부산대-밀양대)

  • Kim, Yu-Geun
    • 대학교육
    • /
    • s.147
    • /
    • pp.56-60
    • /
    • 2007
  • 부산대학교의 통합은 대학구조개혁과 캠퍼스별 특성화를 동시에 이룩한 국립대 구조개혁의 표본적 성공 사례라 할 수 있다. 통합으로 인해 입학정원 감축, 단과대학 및 산업대학원 통폐합, 유사·중복학과 통폐합, 행정조직 감축, 신입생 충원율 개선 등의 성과가 있었으며, 캠퍼스 특화 전략에 따라 부산캠퍼스는 연구중심대학으로, 양산캠퍼스는 세계적 의료 허브로, 밀양캠퍼스는 나노·바이오 분야로 특화하였다. 향후 부산대학교는 지속적 개혁을 통하여 혁신을 도모함으로써 단발성, 일회성이 아닌 일상적, 상시적 혁신을 추진하여 혁신의 시스템화를 정착시키고자 한다. 그리고 진정한 혁신을 위해 교육 분야 혁신, 산학연구 혁신, 행정 혁신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이다.

  • PDF

국립대학의 경영혁신 전략

  • An, Gil-Sang
    • 대학교육
    • /
    • s.95
    • /
    • pp.74-83
    • /
    • 1998
  • 국립대학 구조조정의 원칙은 핵심역량을 살려 나가야 하고, 시너지 효과가 발생해야 하며, 자율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터한 구조조정의 방향은 첫째, 교육중심대학인지 연구중심대학인지 분명히 정하고, 둘째, 특정 분야를 집중 육성하며, 셋째, 학과 통폐합 및 정원 감축을 단행해야 한다. 경영혁신 전략은 중복 행정업무의 통합화와 단순화, 일반 행정업무와 지원업무의 아웃소싱, 공생 마케팅.전략적제휴 추진, 혁신적 교육방법과 내용의 채택을 들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