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 체계성

Search Result 2,15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Study on Competency Assessment and Evaluation Service for improving IT Job Skill Competency(Based on Field Applications) (효과적인 IT 직무기술능력 향상을 위한 기술역량측정 및 평가에 관한 연구(현장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Kim, Bongkeun;Lee, Chingon;Jeung, D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411-412
    • /
    • 2010
  • IT 기술은 최근 20 년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직무를 수행하는 기술자는 변화하는 IT 기술에 맞추어 자신의 기술능력을 개발하고 학습했다. 하지만, 체계를 갖춘 직무구분, 직무에 필요한 IT 기술요소의 정리 및 효과적인 교육과 향상된 기술력에 대한 적절한 평가 및 검증 체계의 부족함을 인지하고 있다. 일례로 ISP 혹은 HRD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도 결과를 도출하는 자사의 프레임워크는 가지고 있으나, IT 기업에 적용해야 하는 적합한 직무체계 및 기술요소의 분류, 평가 및 검증 체계는 제공해 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IT 기업의 기술능력 향상에 필요한 체계 및 IT 산업계에서 인정하는 표준 직무, 기술, 평가 및 검증에 대한 방향과 이를 실제 기업에서 적용한 적용사례를 바탕으로 그 효율성에 대한 효과를 보여 주고자 한다.

대학에서의 여성학 교육의 필요성

  • Jeong, Jin-Seong;Bae, Eun-Gyeong
    • 대학교육
    • /
    • s.96
    • /
    • pp.74-82
    • /
    • 1998
  • 대학에서의 여성학 교육은, 고학력 여성들로 하여금 개인적 각성과 사회참여 욕구를 불러일으킬 뿐 아니라, 자신의 사회참여를 가로막는 그 장벽까지도 변화시켜 나가도록 인도함으로써 사회 전체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하나하나의 개인적 경험들이 어떻게 사회 전체의 성(gender) 체계와 연관되어 있는지를 밝혀내고 이런 작업을 통해서 일상생활의 정치화를 유도함으로써, 개인의 범주를 넘어서는 사회구조를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 PDF

현장연구중심대학원의 평가모형 연구

  • Jang Jae-Jung;Seol Seong-Su;Lee B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129-145
    • /
    • 2006
  • 본 연구는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를 중심으로 한 과학기술계의 새로운 대학원모델을 평가하는 기법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UST와 일본의 SOKENDAI(The Graduate University for Advanced Studios)를 비교함으로써 새로운 대학원모델의 필요성을 말하고 있다. UST는 커리큘럼과 도제식 수업, 맞춤형 교육체계, 현장 중심형 인력양성체계들이 아직 높은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반면 교육목적과 비전이 상당 수준 만족스럽다는 결과를 얻고 있는 조사를 바탕으로 한 UST의 평가에 관해 다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평가체계의 네 가지 유형과 함께 토론회와 모든 평가에 부합되는 고급 평론을 통하여 UST에 방법론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평가방식을 제안한다. UST를 위한 새로운 평가방식은 대학원평가를 위한 특수성과 보편성으로 서로 동일하다. UST는 다 학제적이며 신생 융합기술분야에서 현장중심형인 리더십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동시에 세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두 요소는 특수성이 더욱 강조된 5:5, 6:4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 후속적인 보완연구가 추가되면 더욱 활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Performance of Structured On-the-job Training for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중소기업의 체계적 현장직무교육훈련(S-OJT) 프로그램 구성요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Gye-Jeong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2.11a
    • /
    • pp.279-291
    • /
    • 2012
  •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S-OJT 프로그램 구성요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S-OJT프로그램의 효용성을 증진할 수 있는 구성요인과 실행방안을 연구할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 S-OJT프로그램 구성요인은 교육훈련 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의 지원은 학습자의 특성과 무관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동기가 낮은 경우, 교육훈련의 적절성과 환경에, 학습동기가 높은 경우에는 교육훈련의 훈련전문가의 역량이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 스스로가 학습능력이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는 교육훈련 내용의 적절성이 교육훈련 프로그램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OJT 실시에 있어 조직의 지원은 프로그램 성과에 긍정적인 기여효과가 있으며, 훈련전문가의 역량은 현업적용도, 직무성과를 높일 것이다. 아울러 훈련프로그램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을 높일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볼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 System based on Web through Instruction Navigation Implementation(INI) Model (INI모텔을 통한 웹기반 교육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권민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688-690
    • /
    • 2002
  • 최근 인터넷 교육은 실시간 자료처리 및 양방향 지도가 가능하여 과속 인터넷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e-Learning의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고 그에 부응하여 많은 교육용 웹 애플리케이션이 만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길 애플리케이션의 중요성과 복잡성이 증가하는 반면에 체계적이지 못한 개발 프로세스와 스크래치 수준의 개발 환경에 의해 길 애플리케이션은 품질 저하와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게 되었다. 따라서, 교육용 길 애플리케이션의 비효율적인 개발 방식의 개선을 위해 INI(Instruction navigation Implementation)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교육용 웹 애플리케피션 개발을 체계적으로 이끌고 모델을 통한 추적성을 제공함으로써 유지보수성의 지원이 가능하다. 또한,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에 맞는 컨텐츠의 제공과 적절한 피드백으로 반복학습을 통한 교육의 질적 제고를 목표로 한다.

  • PDF

Validation of a tool evaluating MOOCs for highe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service

  • Sung-Wan, Ki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3
    • /
    • pp.177-187
    • /
    • 2023
  • This study aims to validate a tool evaluating MOOCs for higher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service. Based on the results of related researches, a potential model for evaluating MOOCs (4 factors and 8 sub-factors) was made. An evaluation tool consisting of 18 survey items was delivered to 138 college students. After data cleaning, 136 surveys were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varimax rotation) and reliability analysis that confirmed the fitness of the potential model. Four exploratory constructs and seven sub-factors were extracted: Factor I was labeled as 'Systemic Learning Experience,' Factor II, 'Value Experience,' Factor III, 'Co-creation of Value Experience,' and Factor IV, 'High Order Learning Experience.' Reliability estimates using Cronbach's alpha indicated that the evaluation tool had good internal consistency. In conclusion, the evaluation tool for MOOCs in higher education was proven to be valid and reliable.

Perspectives of Design Education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ld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디자인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 Seo, Yong-Mo;Lee, Ye-Joong;Ahn, You-Jeong;Oh, Chi-Gy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2
    • /
    • pp.1047-105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ld. We studied preschool education professionals for perspective of design education in young child. So the study contents of our paper are design education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ld. Preschool education professionals recognized that design education work unsystematic manner in present education program. They recognized the important factor for enlightenment of creativity in young chid. They need a relevant and contents for design education issues. Our studies show that they realized an absence of the perception of design education and design education professionals for young child. They could not distinguish between the conventional art activities and design activities. So they required a design teaching aids. We realized that they are respond to the design education in young child positively. Our study states that preschool education professionals need a contents of design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a relevant programs for young child.

청년층(靑年層) 고용문제(雇傭問題)에 대한 제도적(制度的) 접근(接近)

  • Lee, Ju-H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5 no.3
    • /
    • pp.95-130
    • /
    • 1993
  • 청년층(靑年層) 고용문제(雇傭問題)가 80년대 중반(中盤) 이후(以後) 계속 악화된 것은, 80년대 초 고등교육(高等敎育)의 확대와 80년대 일반계(一般系) 고교(高校)의 팽창에 따른 고학력화(高學歷化)의 충격(衝擊)에 대응(對應)하여 그동안 정부(政府) 학교(學校) 기업(企業)에서 적절한 제도적(制度的) 정비(整備)가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청년층은 학교로부터 직장으로 이행(移行)하는 데 있어서 교육체계(敎育體系)의 선별기능(選別機能), 직업기술교육(職業技術敎育)의 현장성(現場性), 고등교육(高等敎育)의 경쟁성(競爭性), 고용관행(雇傭慣行), 산학협동체계(産學協同體系), 직업능력개발체계(職業能力開發體系), 학교(學校)-기업(企業)간 제도적(制度的) 네트워크, 병역제도(兵役制度) 등 제반제도(諸般制度)의 문제(問題)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 PDF

A Proposal of Informatics curriculum content system for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in connection with the 2022revised curriculum (2022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한 유치원·초등학교정보교과내용 체계 제안)

  • Youngho Lee;Inhwan Yo;Youngkwon Bae;Wooyeol Ki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6 no.6
    • /
    • pp.491-505
    • /
    • 2022
  •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education is recognized at home and abroad, and education policies are changing in the direction of expanding informatics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an elementary school information curriculum content system was developed by forming an expert group consisting of professor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College of Education working in the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information teachers with experience in curriculum development. Specifically, a content system was developed for the area of elementary school information education with linkage and hierarchy with the secondary information curriculum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core ideas for each area, content elements for each area, and instructional content for each grade level. Through this study, connectivity was secured in inform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it is meaningful that the content elements of digital literacy were included in each content area. It is expected that the content system of the elementary school information curriculum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ertified textbooks and independence of information subject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