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육 수행 정도

Search Result 1,14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Impact of Nurses' Attitude toward Dignified Death and Moral Sensitivity on Their End-of-Life Care Performance (간호사의 품위 있는 죽음태도와 도덕적 민감성 정도가 임종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 Jo, Kae Hwa;Kim, Yeon Ja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v.16 no.4
    • /
    • pp.223-23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nurses' attitude toward dignified death and moral sensitivity affect their end-of-life care performance. Methods: Study participants were 172 nurses who work at university hospitals in a metropolitan city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0 through August 13, 2012 using the Dignified Death Scale, Moral Sensitivity Scale, and End-of-Life Care Performance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19.0 program. Results: Factors affecting nurses' end-of-life care performance included moral sensitivity, dignified death and education level. Conclusion: Moral sensitivity, dignified death and education level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an educational program for nurses' end-of-life care performance.

중학교 함수영역에서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한 수행과제와 구체적 평가기준안 개발

  • Jo, Won-Ju;Gwon, O-Na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4
    • /
    • pp.349-370
    • /
    • 2001
  • 21C 사회는 실생활의 많은 현상들과 문제들을 수학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21C가 요구하는 수학교육의 역할도 실생활에서 접하는 현상 또는 문제들의 수학적 모델을 구성하여 해를 구하고, 그 결과를 실생활에 비추어 해석하는 경험을 제공하고 그 능력을 발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적 모델링이 수학에 대한 사회적 요구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하나의 방법이 될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중학교 수학 교육의 중심 제재인 함수의 지도에 활용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를 '1. 일선 수학 교사들은 수학적 모델링의 개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으며 그 활용가치와 활용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가?', '2. 중학교 함수 영역의 수학적 모델링 수행 과제와 그에 따른 구체적 평가 기준안을 개발한다.’로 설정하고, 연구문제 1을 해결하기 위해 임의로 선택된 서울과 경기도의 현직 수학교사 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 2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설문결과에서 얻은 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중학교 함수 영역의 수학적 모델링 수행과제와 구체적인 평가 기준안을 개발한 후, 개발된 과제와 평가 기준안은 현직교사 3인의 자문을 얻어 내용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LIS Capstone Design Curriculum and the Learning Satisfaction Survey (문헌정보학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 운영과 학습만족도 측정연구)

  • Noh, Younghe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6 no.3
    • /
    • pp.89-118
    • /
    • 2015
  • We had opened a course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developed and applied a syllabus and some manuals for this course, and analyzed the performance by conducting a survey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As the results, first, the necessary component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of 0.414 with the expected performance effects and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of 0.452 with the expected learning outcomes. Second, the understanding degree of the Capstone Design course was 3.56 before implementing the curriculum. It was improved to 4.07 after implementing the educational courses. Third, the recognition of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Capstone Design course was improved from 4.13 to 4.39 after carrying out the course. Fourth, the perception of the expected performance effects of the Capstone Design course was improved from 3.77 to 3.88 after the course execution. Fifth, the perception of the expected learning outcomes of the Capstone Design course was improved from 3.79 to 4.22 after the course implementation.

HOME NURSING CARE NEEDS IN RURAL KOREA (한국 농촌 지역의 가정간호 요구에 관한 연구)

  • KIM, SUNG SIL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18 no.1
    • /
    • pp.44-69
    • /
    • 1988
  • 보건의료기술이 고도로 발달되었다 하더라도 의료의 혜택이 필요할 때 누구에게나 언제든지 제공될 수 없는한 전체 국민의 건강요구를 포괄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제도나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사회 집단의 최소 단위인 가정을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는 지역사회 가정간호의 합리적 수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가정간호 요구의 사정 및 가정간호 수행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가정 간호(Home Nursing Care, Home Health Care)는 추후관리를 받아야 할 대상자, 고령자, 만성질환자에게 규격화되어 있는 병원간호를 가정이라는 친숙한 분위기에서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가정 중심의 심리적 안정은 물론 시간과 경비를 절감하는 효과적 간호수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농촌가정의 가정간호의 요구는 무엇이며 그 요구의 원인은 무엇인가\ulcorner 둘째, 농촌가정에서 가지고 있는 상병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행하여 지고 있는 가정간호의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ulcorner 셋째, 가정간호 수행자는 누구이며 이에 대한 수혜자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ulcorner 본 연구의 방법은 1985년 6월 18일 부터 8월 7일 까지 C군에 거주하는 주민중 11개소 보건진료소가 소재한 반의 주민 전체 1,027명 중 상병자 159명과 30세 이상의 인구 440명, 가구주 239명을 대상으로 가정방문을 통한 면접으로 질문지를 기록케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첫째 간호요구의 측정을 위한 도구로 Virginia Henderson의 기본간호활동 14가지를 기초로 지역주민 50명과 현직 간호원 50명에게 개방질문으로 얻은 내용을 중심으로 제작하였으며 둘째, 가정간호수행에 대한 도구로 Orem의 간호이론 중 간호방법 5가지를 근거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보건진료원에 의하여 사정된 간호요구와 그 원인들을 인간의 기본요구 영역별로 분류하여 가정간호진단을 위한 지역사회 가정간호사정 및 진단도구로 쓸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상병자에 대한 가정간호 수행은 수행빈도와 수행내용에 따른 수행자와 수행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1. 가정간호요구에 대하여 1) 가정간호요구 측정은 신체영역 중 몸을 청결히 하고 몸차림을 단정히 하여 피부를 보호하기 내용에서 더위나 추위에 대하여 옷을 맞추어 조절하기의 요구, 적절한 식사와 수분섭취하기 내용에서 배변의 요구, 또한 몸을 움직이고 바람직한 체위를 유지하기 내용에서 한가지 자세를 계속하기의 요구가 높았고 정상호흡하기 내용에는 일상활동시 호흡에 대한 요구가 높은 편이었다. 사회, 심리, 영적 간호요구 영역에서는 자신이 신앙에 따라 예배하기 내용에서 신앙으로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요구가 높았으며 여러가지 오락의 형태를 취하여 이에 참여하기 내용에서는 취미생활의 요구가 높았다. 2) 가정간호요구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고 성별로는 여자의 가정간호요구가 남자보다 높았으나 내용별 요구의 차이는 없었다. 2. 가정간호수행에 대하여 1) 가정에서 수행되는 가정간호내용으로는 직접간호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내용으로는 구강청결, 옷 갈아 입기, 투약, 음식투여, 대ㆍ소변보기의 빈도가 많았다. 건강한 환경제공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적당한 실내온도 유지하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내용에서는 투약요령 알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보호와 지지내용과 교육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현 상태 인정하기와 투약 방법에 대한 교육하기의 간호수행빈도가 가장 많았다. 2) 간호수행자에 있어서 직접간호 수행은 본인 스스로 하는 빈도가 가장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 및 교육의 간호수행은 전문가가 많았고 보호와 지지간호는 가족이 많았고 건강한 환경제공간호는 배우자에서 더 많았다. 3) 간호수행자에 대한 만족도는 직접간호 방법에서는 가족이, 안내와 지도는 배우자가, 보호지지, 건강한 환경제공 및 교육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간호수행 만족도가 높았다. 4) 상병상태에 따른 주 증상은 관절통 요통이 가장 많았고 상병자는 남자가 많았고 주 중상에 대한 성별간의 큰 차이는 없었다. 이상 가정간호요구와 정도 및 가정간호 수행의 내용을 기반으로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이 시급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으며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을 위한 제도적 보완개선책이 요구된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Household Work Performance of Elderly Living Alone or With Spouse (단독가구노인의 가사노동수행에 관한 연구)

  • 채옥희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3
    • /
    • pp.102-114
    • /
    • 1995
  • 본 연구의 목적은 단독가구노인들이 편안한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가사노동의 복지대책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거주하는 55세이상의 단독가구노인주부이며, 최종분석에 사용된 자료수는 177부이다. 연구의 내용은 단독가구노인주부의 특성에 따른 가사노동수행의 하위영역인 실행정도, 시간, 선호도를 조사하였고 실행정도, 시간, 선호도간의 상관관계를 보았다. 연구의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 수입 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주부가 건강할 수록배우자가 있는 주부일수록 가사노동의 실행정도가 높고, 시간이 길며,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들 하위영역간의 상관관계는 낮게 나타났다.

  • PDF

Study on the Effect of Nurses in Response to New Respiratory Infection Disease on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 (신종호흡기 감염병 대응 간호사의 표준주의지침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Choi, Eun-A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2
    • /
    • pp.285-29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study to find out the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the nurse's standards precaution(SP)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m. The research method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from nurses at two general hospitals in B city and analyzed with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As a result of the average level of knowledge of the SP 22.55/25, recognition 3.68/4, and performance 3.77/4. The recognition of SP and implementation of SP(r=.250, p=.003) had a significant amount of correlation. The influence factor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P was recognition of the SP(β=-.582, p=.001).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P and to respond well to new respiratory infections, accurate awareness of the SP of nurses and opportunities for systematic education and participation in education are needed by medical institutions.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간호대학생의 의료관련감염 표준주의지침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Kim, Yu-Jeong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4
    • /
    • pp.349-361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rsing students'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Methods: Subjects were 334 nursing students who were 3rd and 4th years in the nursing university in Gwangju.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April 24 to May 25, 2018.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IBM SPSS 21.0 program. Results: Mean scores of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about standard precaution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were 19.95±2.43, 4.71±0.37, 4.55±0.49, respective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th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 related to grade(t=-3.627, p=.000) and experience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t=3.239, p=.001).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among knowledge(r=.201, p=.000), awareness(r=.522, p=.000)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 in nursing students. The results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at awareness(β=.507, p=.000) and grade(β=.169, p=.000) and experience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β=.094, p=.043) predicts 30.8% in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F=50.520, p=.000). Conclusions: to enhance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 for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a program that experience of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grade group and enhances awareness.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간호학생의 재해관련 경험, 재해간호에 대한 인식 및 재해간호 핵심수행능력)

  • Ahn, Eun-Kyong;Kim, Seon-Ky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6
    • /
    • pp.257-267
    • /
    • 2013
  •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This paper was aimed to investigate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for development of disaster nursing program. 172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a department of nursing complet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2012 to December 23, 2012. The result were as follows; The average level of perception about disaster nursing was 18.16 out of 25 points, suggesting that they generally perceived disaster nursing as an important matter. Core competencies of the subjects on disaster nursing was 41.56 out of 75 points, which was moderate for the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about disaster nursing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saster nursing program to reflect the needs of the field in Korea.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dequately address this issue.

A Study on the Quality of Service Educ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서비스 교육품질과 고객 지향성에 관한 연구)

  • Kim, min-ju;Park, D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181-18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기업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 교육 품질이 실제적으로 직원의 고객지향성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해보고자 한다. 기업에서는 서비스 교육에 대해 막대한 비용과 노력을 들여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효과성에 대해서는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서비스 교육이 실질적으로 서비스 수행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지도 확인해 보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교육 실행 시 교육품질에 대해서 측정해보고 서비스 교육품질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고객 지향성을 가장 높일 수 있는 서비스 교육 품질에 대해서도 논의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Worker's Attitude and Awareness of Associated Factors of Falls (노인요양시설종사자들의 낙상에 대한 태도 및 낙상영향요인 인식에 관한 연구)

  • Jeon, Hye-Won;Kim, Sun-Ae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 /
    • v.30 no.4
    • /
    • pp.89-11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lderly care facilities worker's attitude and awareness of associated factors of falls. The subject was 194 the elderly care facilities workers in Chungbuk.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tiliz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score of attitude was $2.98{\pm}.34$ out of 4, the score of awareness of associated factors was $3.00{\pm}.43$ out of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attitude and awareness of associated factors of fall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of attitude and awareness of associated factors of falls was significantly positive. Falls is important health related problem in elderly care facilities, so effective fall prevention program is needed for elderly care facilities work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