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 서비스

검색결과 3,571건 처리시간 0.026초

대통령기록물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기반의 교육서비스 모형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Service Models Using Presidential Archives based on Ubiquitous Technology)

  • 심갑용;임지훈;박종옥;송나라;장효정;김용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27-155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기록관 중 대통령 기록관에서 제공하는 교육서비스를 해외 기록관과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환경의 기술을 접목하여 대통령기록물활용 교육서비스 모형을 개발했다. 유비쿼터스 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기관의 협업을 유기적으로 이루기 위함이며, 이를 정보활용능력을 위해 개발된 BIG 6 모형을 변형해(BIG 8 모형) 적용하였다. 유비쿼터스 기술이 기록관의 교육서비스에 미치는 기대 효과는 교육적 측면, 콘텐츠 개발 측면, 서비스 개발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사이버교육 구현을 위한 학습 정보 서비스 시스템 연구 (Study on the Design & Distance location system for web)

  • 박한나;우혜림;김계철;이기민;최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227-1230
    • /
    • 2002
  • 현재 원격수업 교육 시스템은 21세기를 맞이하여 초고속정보통신망의 발전과 함께 사회전반에 크게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현재는 특정 업체나 단체에서 교육을 독점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해 웹 기반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질 학교에서는 자체적으로 특정 교과를 독립적으로 교육을 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는 현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원격 교육서비스를 통하여 학습자가 언제, 어디서든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아서 학습 및 평가를 받을 수 있는 주문형 수업 시스템을 제안한다. 공급자와 수요자에게 사용상에 특별한 지식을 요구하지 않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 교육 정보갱신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며, 특정 교과를 독립적으로 서비스가 가능하며, 서비스상에 특별한 인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수요자는 원하는 시간에 자신의 능력별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

  • PDF

중등 NCS 직업교육의 학업성취도와 취업만족도 관계 분석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NCS Vocational Education)

  • 최수호
    • 서비스연구
    • /
    • 제8권1호
    • /
    • pp.41-5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NCS 직업교육의 학업성취도와 취업만족도 관계를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있는 실업계 고등학생과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 250여명을 대상으로 약 2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내용은 연구가설을 5개로 구분하여 "첫째 NCS 교육 이해, 둘째 교육서비스 품질, 셋째 직업교육 필요성, 넷째 학업성취도, 다섯째 직업만족도"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중요도와 신뢰도, 타당성, 연관성 분석 등을 살펴보기 위해 SPSS WIN 18.0 등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독립변수에서는 교육서비스 품질과 직업교육의 필요성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채택되었으나 NCS 교육 이해는 채택되지 못하였다. 매개변수에서 학업성취도는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교육기관에서 직업교육 서비스품질과 직업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향상시켜 나간다면 학업성취도는 높아질 것이고 학업성취도는 취업 후 직업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 E-Learning 교육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P사의 E-Learning 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Learning Effects of E-Learning : The Case of E-Learning Service of 'P' Company)

  • 최혁라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9-88
    • /
    • 2005
  •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정보화사회라는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웹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이 기업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서비스품질 이론과 심리학에서의 공동체의식 이론, 웹기반 원격교육의 효과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기업의 e-Learning 교육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추출하고 e-Learning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의 사례를 중심으로 실증적 연구를 통해 관련 요인들간의 영향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 품질의 개인화. 학습공동체 특성인 감정적 유대감과 영향력 그리고 학습자 특성인 학습동기,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등이 e-Learning 교육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공동체 특성인 욕구의 통합과 충족은 e-Learning 교육효과에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스쿠버다이빙의 교육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사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Scuba Diving)

  • 신명수;오경아;박성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327-1337
    • /
    • 2019
  • 본 연구는 스쿠버다이빙의 교육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사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소재의 스쿠버다이빙장의 스쿠버를 모집단으로 선정하고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되어졌다고 판단한 46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154부의 자료를 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 서비스품질 중 시설(β=.349), 프로그램(β=.340)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서비스품질에 대한 고객만족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교육 서비스품질의 전체 변량 중 약 47%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 서비스품질과 재구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육 서비스품질 중 비용(β=.215), 프로그램(β=.442)이 재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서비스품질에 대한 재구매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교육 서비스품질의 전체 변량 중 약 53%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만족과 재구매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만족(β=.555)은 재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에 대한 재구매의 설명력을 살펴보면, 전체 변량 중 약 5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연구: 창업교육 만족도를 매개효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Entrepreneurial Education)

  • 조영준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2호
    • /
    • pp.95-103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창업 교육서비스 품질이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대학창업 교육현장에 창업관련 전문가들을 통해 실전창업교육이 활성화 되고 있어, 이를 통한 대학의 창업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대학창업 교육서비스품질을 유형성, 공감성, 차별성 등으로 3개요소를 설정하였다. 첫째, 설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창업 교육서비스 품질(유형성, 공감성, 차별성)이 창업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둘째, 창업교육 만족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셋째, 대학창업 교육서비스품질이 창업의지 영향에 창업교육 만족도가 매개 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형성, 공감성, 차별성이 창업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교육 만족도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감성, 차별성이 창업의지 영향에 창업교육 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정되었고 유형성은 창업의지 영향에 창업교육 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창업교육을 위한 편의시설과 좋은 환경구축 보다는 수강생들에 대한 관심과 서비스, 창업에 대한 교육목표 등 창업관련 전문가들의 실전교육이 대학 창업활성화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창업교육 만족도에 대한 요인이 창업의지에 공감성과 차별성이 확보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위하여 K공과대학교의 창업 강좌 수강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제공기관 직급별 교육요구조사: 아동재활치료서비스를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Needs Analysis depending on Service Providers' Position for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gram: Focusing on the Rehabilitative Treatment and Services for Children)

  • 신재은;송윤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63-16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제공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급별 교육 필요도와 직무 실행도 인식을 분석하여 교육요구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중 아동재활치료기관 종사자 619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육 필요도와 직무 중요도의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기관장의 경우, 전문자격분야 10개, 사업운영관리분야 2개, 고객관리분야 4개, 서비스개발 및 마케팅분야 4개이었고, 실무자의 경우 전문자격분야 3개, 사업운영관리분야 2개, 고객관리분야 2개, 서비스개발 및 마케팅분야 5개였다. 치료사의 경우는 35개 모든 교육내용의 필요도 및 직무 수행도 간에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종사자들의 교육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유산기관의 협업을 통한 교육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 기록관·도서관·박물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ervices to Collaborate between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 한희정;육혜인;오유진;김용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1-60
    • /
    • 2014
  •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은 각자가 다루는 자원은 다르지만 서비스 부문에서는 여러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특히 교육 분야에서는 다양한 자료와 관점을 아우르는 통합적인 서비스가 필요하기 때문에 향후 각 문화유산기관들은 효율적인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로 협력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협력의 필요성을 제고하고, 국외와 국내에서 문화유산기관이 협력하여 서비스를 제공한 사례를 분석했다. 특히 각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그 공통점과 특화된 영역을 제시하여 향후 교육서비스 모형을 개발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자 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문화유산기관의 협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ADDIE모형을 적용한 개발 프로세스를 통해 교육서비스 모형을 제시했다.

대학 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tartup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ship Intention)

  • 김상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183-19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창업교육 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대학에서 다양한 창업교육이 운영되고 있지만 창업의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의도를 높이기 위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창업 교육의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대구.경북 소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298부에 대한 통계 분석을 SPSS 22를 활용하여 진행하였다.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에 미치는 다중회귀분석결과 유형성, 응답성, 확신성, 공감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신뢰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교육만족은 창업의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최근 우리나라 창업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창업교육, 창업지원정책, 사업화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생겨나고 있다. 대학의 창업 교육서비스품질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데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서비스품질 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미래 교육 콘텐츠 구성요건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스마트홈서비스 환경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Grounded Theory Study on Content and Structure of Future Education in Smart Home Services)

  • 원종서;이정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32-448
    • /
    • 2018
  • 4차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교육도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될 것으로 예견된다. 본 연구는 미래의 교육이 어떻게 변화하여야 하는 지를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미래형 스마트홈서비스 환경에서 사용자들이 기대하는 교육콘텐츠의 내용과 구성에 대하여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근거이론분석을 하였다.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코딩 결과의 부분적인 검증을 위해 빅데이터분석 결과와 대조하였다. 결과적으로 스마트홈서비스 교육콘텐츠 활용의 맥락을 11개의 범주들로 정의할 수 있었다. 스마트홈서비스 교육콘텐츠 활성화를 위해서는, 필요성을 강조하여 가치 창출(중심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콘텐츠 차별화를 통해 햄릿증후군을 극복(인과적 조건)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하며, 내용의 다양성과 각 콘텐츠 요소들 간의 연결성(맥락적 조건)을 확보해야 하고, 사용자 경험을 높일 수 있는 연구(중개적 상황)가 선행되어, 콘텐츠는 큐레이션되고 즉시성(상호작용전략)이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선택 코딩에서는 사용자들이 근미래 스마트홈서비스에서 제공되기 바라는 교육콘텐츠의 유형은 자기계발, 살림고수, 건강관리, 마음치유의 네 가지로 대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