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육시설

검색결과 3,181건 처리시간 0.029초

시설 관리자의 효율적인 유지관리 업무 수행을 위한 건축물 유지관리 이력정보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Management System of Maintenance Historical Data for Effective Maintenance Performance of Building Managers)

  • 이춘경;박태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12-315
    • /
    • 2007
  • 본 연구는 공공시설과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시설관리자의 효율적인 유지관리 업무수행과 유지관리 주체 간의 원활한 정보교환을 위한 웹기반 건축물 유지관리 이력정보관리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시설 노후화와 성능판단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는 유지관리 이력정보 관리과정상 발생하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각 시설의 시설관리 담당자 면담조사를 통하여 시설별 유지관리 이력관리 현황을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통합 유지관리 업무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또한 시설관리 전문가 집단의 요구사항을 수렴하여 공공시설과 교육시설의 특성을 반영한 유지관리 업무 수행 효율화를 극대화와 현장실무적용, 유지관리 이력DB의 활용을 유도할 수 있는 건축물 유지관리 이력정보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체험형 안전교육을 위한 학생 안전체험교육시설의 수요 분석 (The demand analysis of safety-experience-education-facilities for experiential type safety education)

  • 조진일;장재원;박성철;송병준;방영현;윤형욱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6권1호
    • /
    • pp.1-11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기초하여 체험위주의 안전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안전체험교육시설의 현황분석과 수요분석을 통해 학생 안전체험교육시설 설립을 위한 필요 시설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 및 기존 안전체험관의 체험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분석을 토대로 학교급별 체험 프로그램을 추출하였다. 도출된 프로그램을 체험 공간화하여 설정하고, 이에 준하여 기존 안전체험시설을 현황분석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시설 확충 수요 산정을 위해 도출한 산출식을 활용하여 필요 시설 수(체험시설 약95개소, 체험차량 약55대)를 제시하였다. 이는 2015년 학령인구를 기준하여 체험차량의 분담비율을 정하고 필요 시설 수를 산정한 결과이다. 장기적으로는 체험시설의 단위 구축비용과 체험차량의 단위 구축비용의 실제적인 비교를 통한 적정비율을 산출하고, 이를 고려한 중 장기적인 필요 시설 및 차량에 대한 구축 계획 및 연차별 확충을 위한 별도 계획 마련이 필요하다.

강원도내 교육시설관련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발생의 역학적특성과 위험요인 (2020.12.10-2021.9.23)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 and Risk Factor of COVID-19 Cluster Related to Educational Facilities in Gangwon-do, Korea (December 10, 2020-September 23, 2021))

  • 최효숙;김미영;이신영;김은미;김여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1권1호
    • /
    • pp.102-112
    • /
    • 2024
  • 목적: 우리나라 강원도 내 어린이집, 유치원, 초중고(공교육) 교육시설과 사교육시설을 포함한 교육시설 관련 COVID-19 감염병 집단사례의 역학적 특성과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기간은 2020년 12월 10일부터 2021년 9월 23일까지 질병관리청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에 신고된 강원도 내 코로나19 확진자 5,318명 중 교육시설 관련 집단감염으로 분류된 19개의 교육시설 관련 확진자 4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교육시설 관련 확진자는 19개의 교육시설 총 407명으로 19세 이하는 204명(50.1%) 이었다. 선행 전파자는 가족이 155명(38.1%), 교사125명(30.7%)이었다. 이차감염자가 확진자로부터 노출된 장소는 집이 139명(34.2%)으로 가장 높았다. 총 19개 집단에서 9개 집단의 근원 환자(추정)는 교사로 확인되었다. 교사가 선행 감염원인 경우의 평균 발병률(2.4%)이 학생이 근원 환자(추정)인 집단의 평균 발병률(1.5%)보다 높았다. 또한 교육시설 내 위험도 종합평가 점수가 높은 사교육시설에서 발병률과 2차 발병률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교육시설보다는 가정에서의 전파가 더 큰 것이 확인되었고, 교육시설 내 위험도 종합평가점수가 높은 교육시설에서는 교내 발병률이 가정내 발병률보다 높았고, 공교육 시설보다 사교육시설의 위험도 점수가 높은 곳이 많았으며, 교사들이 근원 환자(추정)인 사례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학생들과 더불어 교사들의 방역 수칙 이행에 대한 감시의 강화가 필요하겠다. 또한 지속적인 교육 당국의 모니터링을 통해 감염병 범유행 상황에서 감염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에서 교육이 이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어린이안전교육 (어린이이용시설종사자 안전교육) (Safety Education for Children(Safety Education for Workers in Children's Facilities))

  • 김다희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94
    • /
    • 2022
  • 어린이가 위험에 노출된 경우 그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어린이 안전에 관한 「어린이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이에 어린이이용시설종사자는 행정안전부에서 지정하는 어린이 안전교육 전문기관에서 이론 및 실습 교육을 매년 이수하여야 한다. 한국어린이안전재단은 어린이 안전교육 전문인력 및 시설을 확보하여 어린이 안전교육 전문기관으로 지정되었다. 이에 효과적인 안전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운영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대응한다.

  • PDF

지역별 특수교육시설 정비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intenance status of Special Education Facility)

  • 임창현;김성룡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2호
    • /
    • pp.32-40
    • /
    • 2020
  •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교육받을 권리와 공정한 지역배치 원리를 고려한 특수교육시설의 정비가 될 수 있도록 특수교육시설의 지역별 정비현황의 편차를 파악하고, 그 특성을 분석·고찰함으로써, 앞으로의 시설설립계획에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교육부 특수교육원, 특수교육정책과, 각 시도교육청의 통계자료 및 시설자료를 활용하여 특수교육대상자와 장애영역별 현황을 중심으로 지역마다 주요현황 및 정비지수를 산출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으로 대도시의 경우는 특수학교의 시설부족으로 인해, 특수학급과 일반학급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고, 지방도시에서는 장애영역별로 불균등한 결과를 보이며, 특수교육지원센터가 부족한 체계를 보완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평가해보면, 특수교육시설은 아직 전국적으로 평준화되지 않는 정비 상황을 보인다.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진행되는 천문교육 현황과 계획

  • 이강환;강선아;백창현
    • 천문학회보
    • /
    • 제37권1호
    • /
    • pp.53.1-53.1
    • /
    • 2012
  • 현재 국내에는 약 40여 개의 종합(관측실과 투영관이 있는) 천문시설이 운영 중에 있으며 새로운 시설이 꾸준히 추가로 건설 되고 있다. 그리고 교육과학연구원, 도서관 등 많은 시설에서 천문시설을 갖추고 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천문시설에서는 별자리 설명, 천체투영관에서의 영상물 상영, 그리고 천체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실습 등 한정된 소재와 일관된 형식의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하지만 국립과천과학관에서 방학 중 천문학교실을 운영해본 결과 좀 더 깊이 있는 천문학 교육에 대한 수요가 상당히 많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과학교육 현장에서는 여러 분야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천문학을 주제로 한 교육은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천문학은 새로운 연구 결과가 가장 활발하게 발표되는 분야들 중 하나로, 일반인이나 언론에서도 상당히 많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외계행성 탐사, 초신성 관측, 우주 가속팽창과 같은 최신 천문학 분야의 다양한 주제들을 이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일반인들에게 천문학의 내용을 알리는데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국립과천과학관에서는 방학 프로그램에 이어 조금 더 심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운영할 준비를 하고 있다. 현재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준비 중인 천문교육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보고자 한다.

  • PDF

학교시설 면적기준 개정을 위한 학생 1인당 시설면적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chool Building Area per Student for the Revision of School Facility Standard)

  • 조진일;최형주;박성철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4권2호
    • /
    • pp.1-11
    • /
    • 2015
  • 1997년 제정된 "고등학교 이하 각급학교 설립 운영규정"에 명시된 학교시설 면적기준은 현행 교육과정과 갈수록 다양해지는 교육정책들을 그 목적과 기능에 맞게 구현하기에는 그 수준이 낮은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현행 교육정책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학교시설 면적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의 학교시설 면적기준 및 관련 문헌을 조사, 분석한다. 둘째, 한국교육개발원 교육 통계 DB를 활용하여 학교급별 교지면적, 연면적, 학생 1인당 면적 등에 대한 현황을 분석한다. 셋째, 도면분석, 현장실태 및 설문조사를 통해 기존 학교시설의 실태 및 사용자의 만족도를 분석한다. 넷째, Nelson의 자기수정모형 방식을 활용하여 스페이스 프로그램을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급별 시설 면적기준(안)을 제안한다.

국회시설보안 향상방안 (An Improvement of Security for the National Assembly)

  • 정태황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90-299
    • /
    • 2013
  • 본 연구는 국회의사당의 시설을 이용하는 인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국회의사당의 시설보안 향상방안을 제시하였다. 국회의사당 시설을 이용하는 많은 대상자들은 본인의 보안의식수준이 보통이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국회의사당이 국가중요시설 가급이라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국가중요시설 가급이 어떤 시설인지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의사당의 시설보안설계가 부족하고 현재보다 더 강화된 출입통제 조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스피드게이트 설치 및 장애물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출입통제강화 조치로 인한 불편함을 감수하겠다는 의견은 출입통제장치 설치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보안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비교적 높지만 현재 적절한 보안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현실적이고 적절한 보안교육방법을 찾고 이를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실질적인 교육을 위해 국회시설별 이용자의 보안인식을 고려하고, 교육여건을 감안하여 보안교육역량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학교시설을 위한 교육명세서 기준개발에 관한 연구(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Specification for Modernization of School Facilities(1))

  • 최병관;박영숙
    • 교육시설
    • /
    • 제12권6호
    • /
    • pp.44-5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educational specification describing the school facilities necessary for operating educational curricula in relation to modernization of school facilities. It is required to make out the educational specification as one of procedures needed for driving the modernization of school facilities. The specification, however, has not made out yet in Korea. Educational specification is composed of followings: (1) organization of committee of educational specification, (2) site for a school and land to be expropriated, (3) guideline to form and operate curricula, (4) requisites to form space for school facilities, and (5) plan and process to construct school. Various methods such as literature study, questionnaires survey, workshop, interviews, etc. were utilized to develop educational spec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