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역흐름

Search Result 31,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Trade Flows under the Globalized Economy : Expansion of Intra-Firm Trade and the Impacts on the International Trade Flows (세계화경제에서 국제교역흐름의 변화 : 기업내 교역의 증가와 그의 국제교역 흐름에 미치는 영향)

  • Keumsook Le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3 no.1
    • /
    • pp.35-51
    • /
    • 2000
  • International trade flows have been determined by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environment around the world as well as economic elements. The environment of international trade has changed rapidly as the world has globalized. Significant changes have been generated in the international trade flow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economic globalization on the international trade flows. The changes in international trade flows examined comprehensively by integrating trade with industrial locations, investment, and the various trade related environments. The focus laid on the integration of world economies, such as widening and intensifying international linkages in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relation. Special concerns are laid on the impact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s (FDI) by Trans National Corporations (TNCs), which affect the supply-demand distributions of commodities by industrial relocations, and the expansion of intra-firm trade flows on the international trade flow patterns.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ile origins and destinations of FDI flows analyzed, since the spatial patterns of the intra-firm trade flows are determined by them. The FDI and intra-firm trade flow patterns have changed significantly over time.

  • PDF

Intra-European Trade Flow and Trade Structure (유럽연합 확대와 역내 교역흐름 및 교역구조 변화)

  • Moon, Nam-Cheol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4
    • /
    • pp.406-420
    • /
    • 2009
  • European economic integration and geographical enlargement brought change in the intra-european trade flow and a trade structure. The first, an european enlargement contributes to the increase in intra-european trade, but its effect relatively becomes smaller successive enlargement. The second, the intra-industry trade increases in the intra-european trade according as an european economic integration and enlargement make possible the economy of scale. In the intra-industry trade, the horizontal intra-industry trade decreases and the vertical intra-industry trade increases. The third, the Western Europe's trade is generally an intra-industry trade, the trade of Southern Europe, Central and Eastern Europe is an inter-industry trade. But the South Europe's trade and Central and Eastern Europe's trade change from the inter-industry trade to the intra-industry trade.

  • PDF

Estimation of the international water footprint according to the trade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농.축산물 교역에 따른 물발자국 산정)

  • Lee, Sang-Hyun;Choi, Jin-Yong;Yoo,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02-802
    • /
    • 2012
  • 물발자국은 개인이나 지역, 집단 등이 소비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하는데 필요한 물의 총량을 나타낸다. 물발자국은 실제 눈에 보이지 않지만 생산품에 내포되는 수자원으로서 농 축산물의 국가간 교역시 가상수의 흐름이 내포되어 있고, 이에 따라 국가별, 품목별로 농 축산물 수출입에 따른 물발자국이 산정될 수 있다. 농 축산물의 물발자국은 농업용수와 관계가 있기 때문에 수출입 정책과 농업용수 수자원 확보를 동시에 고려하기 위하여 주요 농 축산물에 대한 국가간 가상수의 흐름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국내의 물발자국의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 축산물 교역을 통하여 이동되는 가상수의 흐름과 양을 산정하고 국내의 내적, 외적 물발자국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과거 5년 이상의 국가간 농 축산물의 교역량을 조사하고, 주요 농 축산물에 대한 가상수량을 적용하여 국가별, 품목별 Green, Blue, Grey 물발자국을 각각 산정하고 비교하였다. 특히 Blue water는 인위적으로 공급되는 용수이므로 수자원 절약의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다음으로 주요 농 축산물의 국가간 물발자국 산정결과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내적, 외적 물발자국을 산정하였다. 내적 물발자국은 자국내에서 생산되는 농 축산물의 가상수를 의미하고, 외적 물발자국은 수입되는 농 축산물에 대한 가상수를 의미한다. 내적, 외적 물 발자국의 비교를 통하여 품목별로 우리나라의 수자원 의존도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단순히 농 축산물의 교역이 물품의 흐름이 뿐만 아니라 물품에 포함되는 가상수의 흐름을 동시에 고려한 것으로서 향후 농 축산물 수출입 정책과 수자원 정책을 동시에 고려하는 농축산업 관련 정책 수립시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Effe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Virtual Water Trade (사회경제적 요인이 가상수 교역에 미치는 영향)

  • Park, Sung je;Ryu, Si Saeng;Yoon, Jo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79-579
    • /
    • 2016
  • 물이 상품에 내재되어 국가간 이동을 한다는 가상수 개념은 기후변화로 인해 물부족 현상이 심화되면서 세계 각국의 관심을 얻고 있다. 향후 물부족 현상 및 가상수 이동과 관련해 국제적인 물거래에 대한 전세계적 차원의 조치가 있을 가능성이 예상되면서 가상수의 국제적인 이동 추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상수 교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회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탐색한다. 사회경제적요인으로서 국가의 경제위기 경험 유무, 경제규모, 생활수준, 경제성장속도, 그리고 수자원 정책기조를 선정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전세계국가 및 한국의 가상수 교역량 변화에 어느 정도나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했다. 가상수 교역량에 대한 자료는 UNESCO, UN, FAO의 자료를 토대로 데이터셋을 구축해 활용했다. 총 10개 농축산 품목을 대상으로 산정한 가상수 교역량에 대해 1989년부터 2013년까지 총 24년간의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아시아 외환위기, 미국발 경제위기 등 세계적 수준의 경제위기는 전반적으로 가상수 교역추이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미국발 경제위기는 가상수 교역흐름 완화와 일정 정도 관련성을 보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경제규모와 가상수 교역량은 전반적으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한국의 경우에는 경제규모 및 생활수준 모두 가상수 교역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경제성장속도는 가상수 교역량과 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시간적으로 보았을 때 한국의 경우 생활수준은 2007년도 이후에 가상수 교역량과 매우 큰 상관관계를 보였다. 경제적 요인, 특히 경제규모가 가상수 교역량과 높은 관계를 보이는 것은 경제력이 상승하면서 생활습관이 변화해 육류소비가 많은 것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적 요인과 관련해 분석한 수자원 정책의 기조변화는 가상수 교역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Forecasting the Port Trading Volumes for Improvement of Port Competitive Power (항만경쟁력 제고를 위한 항만교역량 예측)

  • Son, Yong-Ju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5 no.1
    • /
    • pp.1-14
    • /
    • 2009
  • This study predicted Port trade volume by considering Korea's export to China and import Com China separately using ARIMA model (Multiplicative Seasonal ARIMA Model). We predicted monthly Port trade volumes for 27 months from October 2008 to December 2010 using monthly data from September 2008 to January 2001 using monthly data. As a result of prediction, we found that the export volume decreased in January, February, August and September while the import volume decreased in February, March, August and September. As the decrease period was clearly differentiated, it was possible to predict export and import volume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generate useful basic data for policy makers or those working for export and import enterprises when they set up policies and management plans. And to improve competitive power of Port trade, this study suggests privatization of Port, improvement of information capability, improvement of competitive power of Port management companies, support for Port distribution companies, plans for active encouragement of transshipment, and management of added value creation policy.

  • PDF

An Analysis on the Trade Effect of FTA using Intensity of Trade (무역결합도를 활용한 FTA 효과 분석)

  • Jeong, Jae-Hwa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4 no.1
    • /
    • pp.141-170
    • /
    • 2012
  • There are a couple of methods to analyze the trade effect of FTA. Some compare bilateral trade amounts, partner's share in total export, or market share in partner's total import. Others set up partial equilibrium models or general equilibrium models for more sophisticated analys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bilateral trade between Korea and Chile, Singapore, Switzerland and Norway using the Intensity of Trade and Special Country Bias. The Trade Intensity Analysis focuses on how much the real trade diverges from the expected one which is derived by the Gravity Model, and it enable us to define how much the bilateral trade is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compared with the rest of the world. Also by excluding the effects of changes in Trade Complementarity, it enables us to evaluate the trade effect of FTA. The results show that regarding Korea's export, the biggest trade effects are found with Norway, and the effects are evading after a couple of years of outstanding accomplishment with Chile and Singapore. With Switzerland, however, almost no effect is found. Regarding Korea's import, Norway has recorded the biggest advance into Korean market, whereas, other countries do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 PDF

Trend Analysis of Virtual Water Trade at the Global Level for Overcoming Water Scarcity (국제 물거래에 대비한 가상수 이동 추이 분석)

  • Yoon, Jong-Han;Park, Sung je;Ryu, Si 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33-133
    • /
    • 2016
  • 지구온난화와 그에 따른 기후변화로 수자원부족현상이 전지구적으로 나타남에 따라 세계 각국은 물부족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대처방안을 찾고 있다. 가상수 이론은 전세계적 차원에서 상품에 내재된 가상수를 통해 물을 공급하고 배분함으로써 물부족을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으로서 물부족현상에 처한 세계 각국의 관심을 끌고 있다. 특히 향후 국제적 수준에서 물거래에 대한 조치가 예상됨에 따라 이에 가상수가 국가간에 얼마나 어떠한 형태로 이동하는지 '가상수 이동'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가상수 흐름에 대한 정보는 미국이나 일본 등을 중심으로 한 자료뿐이었다. 한국을 중심으로 한국의 관심사를 반영한 가상수 이동에 대한 연구결과는 충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세계적 수준에서의 가상수 이동추이를 한국을 중심으로 분석하도록 한다. 분석수준은 전세계적 수준과 국가간 수준이며, 분석기간은 1989년부터 2014년까지 총 26년이다. 분석 대상은 가상수 교역이 활발한 주요 16개국의 11개 농축산물이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UN과 세계식량기구의 자료를 활용해 데이터셋을 구축했다. 분석결과 전세계적 수준에서는 콩, 옥수수, 밀, 보리가 주요 가상수 수출입 품목으로 밝혀졌다. 시기별로는 1999년 까지는 밀의 교역이 압도적이었으나 1999년 이후 콩 가상수의 교역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가상수의 유형과 관련해서는 녹색가상수의 교역이 청색가상수보다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국가간의 가상수 이동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을 알 수 있었다. 가상수의 주요 수출국은 미국을 비롯해 브라질, 아르헨티나, 호주 등 농업대국이 상위권을 차지했고, 주요 수입국은 중국, 일본, 한국 등 동북아시아 국가들이었다. 가상수 수출은 미국이 분석기간 내내 우위를 차지하나, 2000년대 이후 중국의 부상이 눈에 띄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가상수 수입과 관련해서는 2000년대 이후 중국의 가상수 수입 증가 추세가 두드러졌다. 국가간 수준의 분석에서는 한국과 미국, 한국과 중국, 한국과 호주 등 한국의 주요 가상수 교역국가간의 흐름을 분석했다. 국가간 수준의 분석에서 특기할 만한 점은 미국에서 한국으로 이동한 전체 가상수의 81퍼센트를 녹색가상수가 차지하며, 한국에서 중국으로 이동한 가상수의 74퍼센트가 축산물 가상수라는 점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해 향후에는 가상수 이동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것이 요구되며, 가상수 이동추이의 변화가 가져올 시나리오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The Origin-Destination analysis of KORUS trade volume using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를 활용한 한-미 교역액의 기종점 분석)

  • Kang, Hyo-Won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8 no.3
    • /
    • pp.47-72
    • /
    • 2016
  • The Government of Korea has always focused on developing and maintaining a surplus on the balance of payments as a successful trade policy. The focus should now be on spatial information hiding, revealing patterns in trade activities that enable viewing trade in a more sophisticated manner. This study utilizes trade statistical data such as the United States-South Korea imports and exports from 2003 to 2015 officially released by the two countries. It allows us to analyze and extract the spatial information pertaining to the origin, transit, and destination. First, in the case of export data to the United States, the origin of the trade goods has expanded and decentralized from the metropolitan area. With regard to transit, in 2003, most of the exported goods were shipped by ocean vessels and arrived at the ports on the western coast of the United States. However, trade patterns have changed over the 12-year period and now more of that trade has moved to the southern ports of the United States. In terms of destination, California and Texas were importing goods from South Korea. With the development of the automotive industry in Georgia and Alabama, these two states also imported huge volumes of automobile parts. Second, in case of import data, most imported goods from the United States originated from California and Texas. In this case, 40% of goods were shipped by air freight and arrived at the Incheon-Seoul International Airport; most ocean freight was handled at the Port of Bu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compose the spatial information from the trade statistics data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to depict visualized bilateral trade structure by origin, transit, and destination.

  • PDF

Calculation of Virtual Water Trading Between Countries (국가 간 가상수 거래 산정)

  • Park, Sung Je;Kang, In Hye;Park, Jui;Ryu, Si 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10-210
    • /
    • 2018
  • 효과적인 물 사용과 물 관리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산업적 차원에서의 물 발자국 연구를 통해 산업 전반적인 수자원 활용 상황을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앞으로 국가 차원의 물 안보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와 국제환경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물발자국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국외에서는 일찍이 물과 환경전문 교육기관인 UNESCO-IHE를 중심으로 물발자국 산정방식의 이론적 연구와 함께 가상수 무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이하 ISO)는 2014년 물발자국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국제표준으로 지정하였다. 국내에서는 2009년 가상수와 물발자국에 대한 이론이 소개되어 공공기관의 주도로 가상수 및 물발자국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도 하였으나 1차 산업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 2차, 3차 산업 등 다른 산업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상태이다. 따라서 앞으로는 2차, 3차 산업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제 가상수 거래의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WIOD의 input-output tables와 environmental accounts 등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산량, 물사용량과 관련된 지표를 결합하여 가상수량을 도출하는 과정을 제시하고, 가상수 이동흐름 및 추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주요 16개국(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캐나다, 중국, 프랑스, 독일, 인도, 일본, 한국,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미국, 베트남)의 농축산물 주요 10개 품목(쌀, 보리, 옥수수, 밀, 콩, 감자, 채소, 소고기, 돼지고기, 계란)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국가별 가상수 교역량, 국가 간 가상수 교역량에 대한 1989년부터 2014년까지의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이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상수 교역의 품목별 분석결과 주요 16개국의 주요 가상수 수입 품목은 콩, 옥수수, 밀, 보리 순이며, 주요 가상수 수출 품목은 밀, 콩, 옥수수, 쌀 순으로 파악되었다. 가상수의 종류별로 분석한 결과 가상수 교역량은 지난 25년간 녹색 가상수가 94%의 압도적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국가별로 가상수 수출입량을 분석한 결과 1989년에서 2013년까지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호주 등 주요 농업 국가들이 전 세계 가상수 수출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해운이슈 - LG경제정책연, '2012년 경제전망' 발표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s.85
    • /
    • pp.11-17
    • /
    • 2011
  • 국가부채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선진국의 재정긴축기조가 본격화되면서 세계경제는 올 하반기 이후 성장활력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리먼쇼크 당시 위기해결사로 나섰던 정부 부문이 부채급증으로 경기를 떠받치는 능력이 약화되어 선진국 가계와 기업의 수요 심리가 쉽게 살아나기 어려울 전망이다. 선진국의 소비 및 투자부진은 세계교역과 금융시장 불안정성 확대, 경제주체들의 기대심리 악화 등을 통해 세계경제로 파급될 것이다. 중국 등 거대개도국이 제한적으로 버팀목 역할을 하면서 급격한 침체는 막을 것이지만 세계경제 성장률은 지난해 5% 수준에서 올해와 내년에는 3%대 중반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국내경제도 성장세가 둔화될 전망이다. 다음은 LG경제정책연구원에서 발표한 "2012년 경제전망"의 주요 내용을 정리 요약한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