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수-학습 양식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2초

중학생의 학습양식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교수양식과의 연관성 탐색 (Exploration of relations between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f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their teaching styles)

  • 최규리;최경희;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7-275
    • /
    • 2009
  • 학생들의 능력이나 적성 등을 고려하여 교육 방법을 다양화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학습 시에 나타나는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에 적합한 교수 학습 방법이 무엇인지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 학습에서 나타나는 중학생들의 학습양식 유형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이러한 인식이 그들의 교수양식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자료는 20명의 경력 교사들과의 개별면담으로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학습양식에 대한 인식과 교수양식과의 연관성에 있어 크게 네 가지 유형을 보였다. 첫째,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맞는 교수양식을 제공하는 유형, 둘째, 학생들의 부족한 학습양식을 채우거나 보충할 수 있는 형태의 교수 양식을 제공하는 유형, 셋째, 다양한 교수양식을 제공 하는 유형, 넷째, 교사의 신념에 따른 자신 있는 교수 양식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유형이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교사들은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의 다양한 학습양식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과 달리, 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맞춘 교수양식을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학습 양식 기반의 프로그래밍 교수 전략과 방법 연구 (Study of Teaching Strategies and Methods of Programming Education based on the Learning Style)

  • 최현종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3-21
    • /
    • 2012
  • 이 연구는 학생이 선호하는 학습 전략과 방법이 있다는 학습 양식을 전제로 교사가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 양식에 따른 프로그래밍 교수 전략과 방법을 제안한다. 관련 연구들은 대부분 학습 양식집단이 특정 능력에 차이가 있음을 증명하는 연구들이기 때문에 교사가 수업을 설계하거나 실현할 때, 연구의 결과가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실제 수업을 설계하고 실현할 때 도움을 주기 위한 교수전략과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컴퓨터 교육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문가 설문을 통해 연구된 학습 양식에 따른 프로그래밍 교수 전략과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교수 전략과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험 집단을 구성하여 실제 프로그래밍 교육을 설계하여 실현하였다. 수업을 마친 후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 차이를 학습 양식 집단별로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실험자의 수가 적고 적용기간이 짧다는 제한점이 있지만, 앞으로의 학습 양식에 기반한 교수 전략과 방법 연구에 좋은 사례 연구가 될 것이다.

  • PDF

교수-학습 활동 데이터기반 학습자 활동 모델링 (Learner Activity Modeling Based o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Data)

  • 김경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5권9호
    • /
    • pp.411-418
    • /
    • 2016
  • 교수-학습 지원 시스템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참여 활동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공적으로 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학습 분석이 활용되고 있다. 즉, 학습 분석은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이다. 교수-학습 활동 데이터를 보다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모델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학습양식과 학습객체 데이터모델(LSLODM)을 제안한다. 이는 사용자, 학습양식, 학습객체, 학습활동을 결합하여 표현한 것이다. LSLODM은 이를 기반으로 교수-학습 데이터를 수집하고, 교수-학습 활동 요소의 속성들을 최근성, 빈도성, 지속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단위 과목에서 학습자의 교수-학습 활동을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이다.

사이버 학습에서 학습양식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차이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internet-based learning style)

  • 조은순;김인숙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30
    • /
    • 2005
  •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주로 학습자의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습자를 가르치고 지도하게 되는 교수자들이 인식하는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대한 비교연구는 드문 편이다. 이는 교수자들이 학습자들에 대한 인식을 학습자들 자신과 다르게 하고 있을 경우 학습내용 및 활동의 전개는 물론 학습결과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게 하는 부분이며, 특히 기하급수적으로 확산이 되고 있는 인터넷학습의 경우 학습자들뿐 아니라 교수자들의 학습자 인식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향후 사이버 학습체제로 학교와 가정에서 인터넷 학습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될 초등과 중등 학습자들이 인터넷 학습시 어떤 유형의 학습양식을 선호하고 있으며, 이는 교수자들의 인식과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인터넷 학습에서 고려할 시사점들을 도출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전국의 초등학생 386명, 중학생 627명, 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학습자와 교수자들의 인식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초등 및 중등의 학습자들은 인터넷환경에서 자기 주도적으로 학습하는 양식을 선호하였으며, 교수자들도 학습자들이 인터넷 자기주도형의 학습양식을 선호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하지만 초등과 중등 모두 교수자들은 학습자들이 스스로 판단하는 것보다 상당히 자기주도형 이면서도 의존형이라고 인식함으로서 향후 인터넷학습의 설계와 개발전략에 고려할 점을 시사하고 있다. 본 논문은 결과로 향후 초등과 중등의 인터넷학습에서 학습자양식을 반영한 설계와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하며, 이는 각 교과목에 반영이 되어야 하고, 교수와 학습전략에서 상당한 변화를 가져와야 하며 사이버교사들의 튜터링에서도 차별화된 전략을 가져와야 함을 강조한다.한다.분야 별로 아키텍쳐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전자 부품은 분야는 오히려 모듈형에 가까웠음). 비단 항공기 개발과정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는 틀을 마련함으로써, 기존 연구개발기회에서 산업기술 분석을 통한 체계적 기획으로 전환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다. 결과적으로 산업기술의 특성과 구조를 반영한 기술개발 방법론으로 아키텍쳐 이론을 적용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했으며, 이것은 본 논문이 기대하는 바이기도 하다.쁖잖⨀쁖잖⨀/ࠐ쁡잖⨀焆덐瀆倆Ā뫫뫫ĀĀĀĀꪛ䂇잖⨀?잖⨀⁅잖⨀耇잖⨀梷熸ጁ庆䌀―?⨀က䀜徾遖洀ᘘ⼄ⴟᠯЭ⠘

  • PDF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교수-학습에서 학습자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er's Characteristics on the Student's Achievement in ICT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 김정겸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47-56
    • /
    • 2004
  • 이 연구는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교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 교육청 관내 중학교 2학년 140명이었다. 학습자들에게 ICT를 활용한 교수 학습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학습양식검사, 자아개념검사, 인지양식검사, 학업성취도검사가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Ver. 11.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피어슨의 적률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ICT 교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 중 정서적 사회적요인과 학업성취도는 관계가 있었다. 둘째, ICT 교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업적 자아개념과 학성성취도와는 관계가 있었다. 셋째, ICT 교수-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에 따라 학업성취도는 차이가 있었다.

  • PDF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양식을 고려한 수학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thematics teaching-learning model considering learning styles of the students of engineering college)

  • 정수연;강윤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4호
    • /
    • pp.407-428
    • /
    • 2013
  • 본 연구는 공과대학생들의 수학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활용 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과정에서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학생들의 학습양식과 수학학습태도를 조사하여 둘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의존적이고 참여적인 성향이 강한 것으로 파악되었기 때문에, 이런 성향의 학습자들이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모형을 한 학기 공업수학 강좌에 적용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 이 모형은 공과대학생들이 메타인지적으로 자기 학습과정을 진단하고 조정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학 학습에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데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학습자 특성 및 학습양식과 성취도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s and Achievements in Online Programming Course)

  • 김지선;김영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9-68
    • /
    • 2015
  • 본 연구는 온라인 프로그래밍 학습 환경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특성 및 학습양식과 성취도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중 고등학생 104명을 대상으로 Grasha-Reichmann의 학습양식 검사를 실시한 후, 12주간 C언어 프로그래밍 학습과 과제를 수행하였다. 먼저, 학습자 특성에 따른 학습양식 차이 결과, 성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존형이 높았고, 학교급에서 중학생이 경쟁형과 회피형이 고등학생보다 높았다. 성취수준에서는 독립형과 참여형이 차이가 있었다. 학습양식과 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독립형(r=.253, p<.01)과 참여형(r=.303, p<.01)이 정적 상관을 보여 두 분석 결과 독립형과 참여형이 성취도와 연관이 있는 학습양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의 주 학습양식에 따른 학습 소감을 조사하여 학습유형별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조사 결과를 통해 학습양식별 온라인 프로그래밍 교수 학습 전략을 도출할 수 있었다.

튜터링 활동에서 학습행동양식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Learning Behavior Style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Tutoring Activities)

  • 추성경;변소연;윤혜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594-602
    • /
    • 2021
  • 본 연구는 효과적인 튜터링 운영방안 모색을 위해 학생들이 인식하는 학습행동양식을 파악하고, 나아가 학습행동양식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대학교 튜터링 프로그램 참가자 10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문제에 따라 기술통계, 상관분석 그리고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튜터링에 참가한 학생들의 학습행동양식은 환경의존적 자기주도학습 행동형과 독자적 자율학습행동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행동양식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 간의 상관을 보면 적극적 협동학습행동형과 독자적 자율학습행동형이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행동양식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회귀분석에서는 적극적 협동학습행동형이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독자적 자율학습행동형과 환경의존적 자기주도학습행동형, 소극적 학습행동형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학교 측면에서 학습행동양식은 학생들의 학업적 성공과 실패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될 수 있으므로,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행동양식을 확인하고, 이에 적합한 튜터링 교수·학습 설계 방안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미래 교수-학습 및 공간의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of Future Teaching-Learning and Space)

  • 조진일;최형주;홍선주;안태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9권1호
    • /
    • pp.13-24
    • /
    • 2020
  • 본 연구는 미래 교수-학습방법 유형과 학습 공간 유형을 분석하여 교수-학습방법 유형에 적합한 공간 유형을 연결(matching)해보고, 공간 유형별 교수-학습방법과 학습양식의 활용정도를 학교급별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플립 러닝, 디퍼 러닝, 협력 학습, 몰입형 가상현실 학습, 놀이 학습, OER활용 학습 등 6가지의 교수-학습방법 유형과 놀이 및 탐구 공간, 제작 및 거치 공간, 발표 및 전시 공간, 독립된 학습 공간, 학습의 장으로서의 교실, 학습의 내용으로서의 교실 등 6가지의 학습 공간 유형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Table 12와 13과 같이 미래 교수-학습방법 유형에 적합한 공간 유형을 연결해보고, 공간 유형별 교수-학습방법뿐만 아니라 22가지 학습양식의 활용정도를 학교급 또는 학년군별로 제시하였다.

인터넷 수업의 학습양식에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 차이에 대한 비교 (Comparative Analyse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Learning Style in IBL(Internet Based Learning))

  • 조은순;김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0호
    • /
    • pp.59-68
    • /
    • 2007
  • 본 논문은 사이버 학습체제의 확산으로 학교와 가정에서 인터넷 학습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게 되는 초, 중등 학습자들이 인터넷 학습 시 어떤 유형의 학습양식을 선호하고 있으며, 이는 교수자들의 인식과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인터넷 학습에서 고려할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전국의 초등학생 386명, 중학생 627명, 사이버 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학생들과 교사들의 인식차이 분석을 하였다. t-검증 결과, 초등학생과 중학생들은 인터넷 학습 환경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양식을 선호하였고, 교사들도 학생들이 자기주도적 학습양식을 선호한다고 판단하였다 하지만 교사들의 관점은 학생들 스스로가 자신들을 자기주도적, 의존형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에 비해 더욱 많이 학생들을 자기주도적, 의존형이라고 판단함으로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향후 초, 중등 학습자들을 위한 인터넷 학습의 설계와 개발 전략 수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결론으로 본 논문은 향후 초, 중등 인터넷 교육 콘텐츠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양쪽의 학습양식에 대한 시각을 반영한 설계와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각 교과목별로도 특성화된 교수전략 및 학습전략을 수립하고, 사이버 교사들의 튜터링 전략에서도 차별화가 이루어져야함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