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수-학습활동

Search Result 1,240,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Learner Activity Modeling Based o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Data (교수-학습 활동 데이터기반 학습자 활동 모델링)

  • Kim, Kyungrog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5 no.9
    • /
    • pp.411-418
    • /
    • 2016
  • Learning analytic has been utilized to helps us to successfully complete the course by using the interaction of the teacher and the learner data generated from the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system. In other words, Learning analytic is a meth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ivities of learners. In the learning analytic, the data model is needed in order to utilize the more useful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data.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a user centric data model of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objects. This model is expressed by aggregating of user learning style, learning objects, and learning activities. The proposed model is significant that laid the foundation for analyzing the activities of the learners in course units.

The Analysis o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Using Mobile Devices in Higher Education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대학 수업 활동 분석)

  • Chon, Eun-Hwa;Lee, You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2
    • /
    • pp.477-48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using mobiles devices in a university. We analyzed the instructional methods, instructional strategies, devices types, and evaluation activities. In addition, we conducted deep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ho used the mobile devices in terms of their understanding on the mobile learning, mobile learning methods, evaluation methods, difficulties and their expectations. These findings will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mobile devices in higher educ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Learn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ICT Education Integrated Support System (ICT 교육 통합 지원시스템을 위한 교수,학습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Lee Jongmin;Kwon Hyukseung;Kim Kapsu;Lee Suk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70-72
    • /
    • 2005
  • 최근 초고속 통신망과 같은 우리나라의 발달된 인터넷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e-Learning 콘텐츠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에 개발된 콘텐츠와 평가를 포함한 교수,학습 활동 계획을 관리할 수 있는 ICT 교육 통합 지원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브시스템 중 교수,학습 콘텐츠 관리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미 개발되고 중앙교수학습센터 및 시,도 교수학습 지원센터 등에서 제공되고 공유되는 학습자료를 활용하기 위해 KERIS 등에서 제시한 표준을 본 시스템의 설계에 반영하였다. 교수,학습 콘텐츠 관리 모듈은 학습객체를 분류 저장 데이터베이스화 하였으며 실제 활용이 매우 쉬어 특별한 훈련이나 교육을 받지 않아도 기초적인 수준의 PC 활용 능력만 있다면 누구나 쉽게 교수,학습 콘텐츠를 수집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시스템은 기 개발된 학습객체의 재사용으로 인한 효율성 증가는 물론 교과, 단원 학습 주제별로 구조화하여 저장 관리하여 교사의 교수활동 준비 시간을 줄임으로써 실제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여 ICT 활용 교수,학습 활동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Data Modeling for Learning Analytics (학습분석을 위한 데이터 모델링 연구)

  • Kim, Kyungro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6.04a
    • /
    • pp.348-349
    • /
    • 2016
  • 교수자와 학습자 활동에 대한 정보를 피드백하여 사용자 스스로 동기부여와 참여를 증대시키기 위해 학습분석이 활용되고 있다. 이는 교수-학습 지원 시스템(LMS, LCSM 등)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상호작용에서 발생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이러한 데이터를 보다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모델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교수-학습 활동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을 제안한다. 이는 사용자와 교수-학습 활동을 결합하여 표현한 것이다.

Classification of Online Simulation Content for Effective Engineering E-Learning Courses (효과적 이러닝 실습전략을 위한 온라인 시뮬레이션 구현방법 및 학습활동 분류)

  • Hwang, Su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 /
    • v.2 no.1
    • /
    • pp.77-83
    • /
    • 2010
  • Effectiveness of the e-learning hands-on practice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depends on the quality of the contents of which simulation is a part and the teaching strategy of the instructor. Instructors who develop and use the simulation-included e-learning content should emplo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which would make online simulation practice effective. Thus, the strategy for the effective e-learning simulated practice in engineering courses should be known and used effectivel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ssify the development methods of the simulation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of the development types classified. The comparis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leads to sugges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effective use of the online simul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 PDF

Teaching/learning Strategy for Blended learning by Teams and Design of Management system (팀별 혼합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안 및 관리시스템의 설계)

  • Kim, Jae-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75-37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IT관련 실습 교과목에서 프로젝트, 프로그래밍, 문제풀이 등의 과제가 주어졌을 경우에 학습능력을 고양시킬 수 있는 팀별 혼합학습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학습자 및 교수자 전략안과 교수/학습관리시스템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자활동, 교수자활동, 운영자활동을 통해 팀별 혼합학습 전략안을 도출하고, 전략안 및 시스템의 흐름도에 따른 팀별 혼합학습 시스템의 모형을 설계하였다.

  • PDF

A Literature Review of Mobile Activities in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With Regard to Support for Learners' Agency (과학 교수학습 모바일 활동에 대한 국내 문헌 분석 -학습자 주체성 지원에 관하여-)

  • Kim, Hyojoon;Song, Jinwo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0 no.5
    • /
    • pp.451-462
    • /
    • 2020
  • According to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activities using mobile technology have emerged as a major concern. The features of mobile technology show potential supporting the emergence of learners' agencies in science education. In this study, 22 research literature on mobile activities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ublished in Korea from 2011 to April 2020 were selected. First, the framework of Suarez et al. (2018) was revised and the types of mobile activities were categorized and investigated. Second, the emergence of agencies was examined in the context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also, the relevance of mobile activity types ('Access to content', 'Data collection', 'Peer-to-peer communication', 'Contextual support') to support learners' agency dimension ('goals', 'content', 'action', 'strategy', 'reflection', 'monitoring') was analyzed. The first analysis show tha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mobile activities are changing from traditional to student-centered. Through these activities, students become more involved in learning and get the opportunity to become agents of learning. As a result of the second analysi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mergence of learners' agencies has been supported and strengthened through mobile activities. Whereas, it needs to look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agency and mobile activities in the overall context of science class. This consideration led to implications for the use of mobile technology in future science education and the transition to student-centered education.

Development of Face-To-Face Learning Supply System for Cyber Education (사이버 교육을 지향한 대면학습 지원 시스템 개발)

  • 홍성준;양천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2.06a
    • /
    • pp.229-238
    • /
    • 2002
  • 본 연구는 기존의 대면학습체계에서 가상교육체제로 변화되고 있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에 대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점진적으로 교육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대안적인 방안으로써 인터넷을 기반 대면학습 지원 시스템 제안 한다. 가상교육체제는 고도의 정보 인프라와 학습자 및 교수자 모두에게 일정수준 이상의 정보기술이 요구되고, 실험실습, 실기교육 등과 같은 참여교육에 제한이 따르며, 교육체제에서 기본적으로 수반되는 비정형적 교수-학습 활동들을 수용하는데 교육컨텐츠 및 운영 시스템에 대한 정교한 설계 및 준비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교육체제의 문제점과 기존 면대면 학습체제의 보완을 위한 방안으로써 교육체제에서 수반되는 비정형적 교수-학습 활동 요소들을 정보시스템에서 운영이 가능한 정형화 프로그린 및 프로세스로 전환하여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대면학습 지원시스템은 교수 및 학습 활동에 요구되는 전반적인 자료들을 교수-학습 지원 프로그램 및 프로세스에서 체계적으로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도록 모듈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분석적 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작도 문제의 활용

  • Han, In-Gi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189-199
    • /
    • 2000
  • 수학 교수-학습을 동해 개발 ${\cdot}$ 육성할 가치가 있는 중요한 인지 활동들 중의 하나가 분석적 활동이다. 분석적 활동의 중요성은 이미 오래 전부터 강조되어 왔으며, 저자는 이미 수학 교수-학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몇 가지 분석적 활동의 유형들을 제시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분석적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한 방법으로, 다양한 작도 문제를 활용하는 방법과 다양한 학습 자료들을 제시할 것이다.

  • PDF

Data Model Study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or Learning analysis (학습분석을 위한 교수학습활동 데이터 모델 연구)

  • Kim, Kyungrog;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672-673
    • /
    • 2015
  • 교수학습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를 이해하기 위한 학습 분석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교수학습지원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는 다양한 형식으로 이를 결합하고 통합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사용 메타데이터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 관점에서 교수학습 활동 중심의 데이터 모델을 제안한다. 이는 학습자의 학습양식을 바탕으로 학습 이벤트가 발생할 때 참여 활동한 데이터를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특성을 식별하고 학습활동에 참여 정도를 파악하여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