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사 지식

검색결과 1,456건 처리시간 0.026초

지질답사 전후 예비 초등 교사의 지질 영역에 대한 지식과 지질답사에 대한 자신감의 변화 (Changes in Geological Contents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before and after Geological Field Trips)

  • 이면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4호
    • /
    • pp.484-495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geological contents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before and after the geological field trips. Fifty seven undergraduate students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o serve the purpos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before and after the geological field tri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nges of geological content knowledge (p<.05). However, participants' self-confidence about the geological field trip changed significantly (p<.01).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of both variables in terms of gender (p<.05). An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grouped into two: science track that selected science areas and non-science track with social study selected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of geological contents knowledge and self-confidence in terms of science or non-science track (p<.05). Third, in terms of the geological content knowledge, 24 pre-service teachers showed an increase, 12 students unchanged, and the 21 participants decreased. In contrast, per participants' self-confidence about the geological field trip, fifty three students indicated an increase with only one participant unchanged, and three preservice teachers decreased on the score. Finally, after the geological field trip, participants' comments indicated that they could feel the mystery of nature with the mind of a great experience. As a result, data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became interested in geology, and motivated more in learning geological area than ever.

  • PDF

중학교 자유학기 교과의 수업 모형 연구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Model for Middle School Free-Learning Semester Curriculum)

  • 김평원
    • 한국교육논총
    • /
    • 제38권2호
    • /
    • pp.81-108
    • /
    • 2017
  • 자유학기제는 과도한 경쟁과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학생의 꿈과 끼를 일깨우는 행복 교육으로의 전환을 목적으로 추진된 교육 정책으로, 2016년부터 모든 중학교에 자유학기가 적용됨으로써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재량권이 더욱 강화되었다. 자유학기 교육과정은 보통 오전 교과와 오후 자유학기 활동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가 표방하는 독특한 교육과정, 수업 형태, 평가, 운영 등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교과 수업모형을 아우르는 표준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자유학기 수업 경험이 있는 중학교 현장 교사의 의견 수렴을 통해 수정 보완한 표준 수업 모형을 현장에 제공함으로써 자유학기제 운영의 실천적 지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자유학기 교과 수업 모형은 기존의 수업을 학습 - 실행 - 작품화 단계로 변형한 것으로, 이는 각각 학습, 실행, 사회생활 능력과 인성을 강조하는 유네스코의 제안을 반영하여 설계한 것이다. 자유학기 교과 수업을 운영할 때는 그동안 학생들을 공부하게 만드는 기제로 작용했었던 정규고사를 잠시 내려놓고 활동 중심 수업을 통해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지식 중심 수업은 철저하게 구조화된 유의미 수용학습을 추구해야 하며, 활동 중심 수업은 재미를 추구하되 작품화를 지향해야 한다.

  • PDF

과학 교육에서 STS 수업모형의 적용효과에 대한 메타 분석 (A Meta-analysis on the Application Effects of ST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 정미진;윤기순;권덕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2권2호
    • /
    • pp.51-70
    • /
    • 2008
  • 이 연구의 목적은 STS 과학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STS 수업모형의 적용효과를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대상 논문은 1991년부터 2006년까지 출판된 석사학위 논문 104편과 과학교육 저널에 출판된 논문 78편을 포함한 총 180편이었다. STS 수업 모형의 효과 평가에 총 56편이 선정되었다. STS 수업 모형 적용 효과의 평균효과크기는 0.40이었다. 이 결과는 STS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학업 성취도, 탐구능력, 환경에 대한 태도 및 환경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전통적인 수업보다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STS 수업은 환경에 대한 태도의 증진에 가장 큰 평균효과 크기를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STS 수업에서 가장 좋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결과들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향후 STS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하기 위해서는 STS 수업 모형의 효과와 과학-기술-사회의 상호관계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초등과학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초등예비교사의 지식수준과 공간지각 능력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level and Space Perception Abilit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on 'Earth and Space' of Elementary Science)

  • 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52-26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out the correlation of level of knowled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with space perception ability on 'Earth and Space' of elementary science.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2013, for 15 weeks, the classes were conducted for 3 hours per week and we find out knowledge Understanding degree and select terms offered by 5th grade science courses 'The solar system and the stars', 'Earth and Moon', 'change of seasons' section and measured space perception ability degree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with a questionnaire. We analyzed the correlation of understanding level of knowledge in the field of astronom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with space percep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wed a low level of knowledge understanding as it goes the upper grades about upper concept in 'The solar system and the stars', 'Earth and Moon', 'change of seasons' section' of astronomy area of elementary science 'Earth and space sector'. Th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to acquire knowledge of astronomy area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show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dividually in 'finding solid body' of sub-element of space perception ability. This shows that 'finding solid body' factor is associated with space perception ability. Third, in the section of 'The earth and the Universe' for elementary education, 'Reflection' and 'Finding solid body' which are low-level components of space perception ability were verified that have a corelationship with general grades in the astronomy conception test.

학생정보마이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tudent Information Mining System)

  • 공현선;김명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55-63
    • /
    • 2003
  • 현재 초 중등학교에서는 교육행정시스템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데이터를 관리한다. 이 시스템의 일부인 교무업무지원 시스템은 학사 및 교무 업무를 지원하는 단위 시스템으로써 학생들에 대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데이터의 단순 검색 및 통계 데이터 계산을 허용하여 교육 정보 자원의 통합관리에 큰 도움을 준다. 그러나 현재의 교무업무지원 시스템은 데이터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사이의 연관 관계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의 연관 관계 분석을 통해 학생 교육에 유용한 데이터 추출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이고, 그러한 분석을 손쉽게 할 수 있는 도구인 SIMS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SIMS는 데이터 상호 관계 분석에 연관규칙 기법을 사용한다.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기존의 도구들을 사용하려면 전문 지식이 필요한 반면 SIMS는 일선 교사들이 수월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의 교육행정시스템에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PDF

과학 수업에서 통합적 적용 경험에 따른 초등학교 교사들의 통합 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 및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of Elementary Teachers depend on Application Experience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 맹희주;손연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601-61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pplication group and nonapplication group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in the science class about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and PCK.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bout science teachers' fundamental background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This result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didn't have relation with the fundamental background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application group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has a lower frequency than the application group, however, it has been analysed that the application group has been applied at the introduction stage for students' motivation, focused on biology as twice every month. Second, to apply a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it has analysed that not only teachers should need to understand about application method and concept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but also science textbook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 should be developed and diffused in the well-integrated science. Third,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ity of elementary teachers to teach the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is not comparatively high and non-application group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has a lower PCK than the application group. Therefore, it should be provided that not only training programmes to learn interdisciplinary knowledge related to science, can lead to more understanding about instructional design, teaching strategies and concept for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but also chances to participate in various training programmes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elementary teachers' professionality for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국내 초.중등학교의 포트폴리오 활용 실태 분석에 기반한 e-포트폴리오 설계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 Direction of e-Portfolio Based on the Current State Analysis of Portfolio Application of Domestic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 김상수;김영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2호
    • /
    • pp.83-94
    • /
    • 2007
  • 포트폴리오는 구성주의 학습을 지원하는 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현재 교육 현장에서 포트폴리오의 사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현장 적용의 실태나 발전적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약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국의 초 중등학교 재직 교사를 대상으로 포트폴리오 운영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분석하며, 이를 기반으로 지식정보화 사회에 필요한 e-포트폴리오의 설계 방향을 제안한다. 포트폴리오에 대한 이해도, 유형별 운영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교급에 따른 차별화된 시스템 설계와 고경력자에 대한 연수 확대, '안내도우미' 기능 구비를 필요로 한다. 포트폴리오 작성을 위해 많은 시간을 소요하고 일회적, 형식적 수행 평가의 일환으로 운영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학습과 평가를 하나의 과정에서 통합하는 시스템의 설계가 필요하다. 더불어 상호작용 및 자기 주도적 학습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e-포트폴리오의 설계가 요구된다.

생명보험설계사의 직무경험 의미 탐색 (Searching the Meaning of Life Insurance Planner's Job Experiences)

  • 김연철;한상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190-206
    • /
    • 2016
  • 이 연구는 생명보험설계사의 직업적 안정과 고성과 및 고소득 창출을 위한 직무경험 의미의 탐색이다. 연구방법은 영업현장에서 활동 중인 생명보험설계사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 후 그들의 직무경험 의미 탐색을 위해 내러티브접근 연구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생명보험설계사의 직무역량 인식수준은 경험의 차이에 따라 달랐다. 경험이 전무 한 후보자 시절에는 생명보험설계사의 직무를 누구나 할 수 있는 일이라고, 입문교육을 마친 신입설계사는 상품지식과 컨설팅능력을 갖춰야 할 수 있는 일로, 그리고 경험이 쌓일수록 고객을 대하는 훌륭한 태도와 꾸준히 일하는 습관이 형성되어야 설계사로서 성공할 수 있다는 그들의 인식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명보험설계사가 느낀 직무경험 의미는 직업의 가치 인식과 사명감으로 봉사하는 일이라고 판단하였고, 그들의 성공적인 직무활동 기대요인은 스스로를 교사, 의사, 천사의 역할 수행 및 개인과 가정의 경제적 안정을 지키는 행복전도사로 인정을 받고, 이를 위한 전문 봉사활동가로 직무역량을 과시하고자 함을 기대하고 있음이 탐색되었다.

웹2.0 기반 온라인 로봇교육 커뮤니티의 개발 (Development of an online robot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Web 2.0)

  • 성영훈;하석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73-280
    • /
    • 2009
  • 인터넷은 지식정보화 사회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되면서 사람들 간의 정보 교류와 의사소통의 장으로 확장되고 있다. 최근 로봇교육기관들도 인터넷을 이용한 각자의 홈페이지들을 구축, 운영하면서 다양한 로봇관련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로봇교육기관 홈페이지들은 대부분 제한적인 검색기능과 일반적인 자료만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들을 위한 유용한 로봇교육정보들과 교육활동들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로봇교육교사들과 사용자들을 위한 로봇교육소식제공, 로봇학습기능, 다양한 로봇교육경험의 공유, 실시간 정보교류를 할 수 있는 온라인 로봇교육 커뮤니티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 PDF

초등학교에서 PBL 기반 영어과학수업을 위한 문제 개발 연구 (Problem Development for PBL-based English Science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 박인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3-38
    • /
    • 2020
  • PBL(Problem-Based Learning)에서 가장 중요하며 학습자들의 창의성 및 문제 해결 능력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열쇠는 문제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문제 개발 절차를 구체화하고 초등학교 영어과학 수업에 적합한 PBL학습의 문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문제 개발을 위해 교육 내용 파악 단계, 학습자 특성 파악 단계, 문제 발견 단계, 역할과 상황 설정 단계, 문제 작성 단계로 요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 개발 단계를 바탕으로 Y 초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영어 교과 과정 중 하나인 영어과학 수업에서 PBL 학습법이 적합한 주제를 선정하여 5개의 문제를 개발하였다. 여전히 많은 영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사 중심 수업, 모범 답안을 위한 지식 습득, 획일적인 평가가 아닌 21세기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 반드시 요구되는 창의적 사고, 문제 해결 능력, 발표력, 자신감,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협동심,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PBL 학습법에 적합한 문제 개발은 지속해서 연구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