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동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초

도심광장의 생태적건전성 활성화방안 - 강릉시 교동 광장을 사례로 - (A Study of Activating Urban Square's Ecological Soundness - Focusing on Gyodong Square in the City of Gangneung -)

  • 김지연;강선홍;조태동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837-846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lapidated Fine View Square located in the city of Gangneung and analyze problems for building it into a sustainable space under an effective management plan. Further to creating an ecological base for restoring the natural circulation, a restorative method for the damaged area, a spatial assignment by the UNESCO's Man and Biosphere Programme (MAB), and an urban ecological park, we not only wanted to provide an environment that is citizen friendly, but also a practical and realizable project to connect with the various methods and programs mentioned above, while utilizing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s ecosystem conservation fund. In conclusion, we foun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building an urban ecological park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roposed while restoring the lost natural circulation in Gyodong Square in the city of Gangneung and ecological soundness of the city along with the reduced heat island effect and the increased biological diversity and Ecological Soundness.

전북 전주시 달동네 환경 분석과 마을 가꾸기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북 전주시 교동 자만마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nvironment of Daldongnae and Regeneration in Jeonju - Focused on the Jaman-maeul area in Jeonju City -)

  • 이성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1-48
    • /
    • 2013
  • The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problems of Daldongnae (hillside shantytown) in Jaman-dong, Jeonju, and to propose the countermeasures for village regeneration. Based on the survey of current conditions in the area and the case study of successful regeneration projects, this study suggests regenerating concepts for the community. The study on the current state analyzes that Jaman-dong is faced with the population decline, especially among the young, the lack of community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and the unfavorable situation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case study involves three successful Daldongnae regeneration projects: the culture-based regeneration of Cultural Village (in Gamcheon-dong, Busan), the regeneration focused on healthcare and education of Ibagugil (in Choryang-dong, Busan), and the community-led regeneration of Rainbow Village (in Dae-dong, Daejeon). The regenerating concepts for the community are as follows: utilizing the existing local community center as a gathering place for the residents, furnishing a cultural space for a growing number of visitors, adding new parking space, installing convenient facilities in order to provide better pedestrian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and elderly, improving street landscapes, and establishing citizen participation programs.

초등 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측정 도구(SE-TEBI) 개발 (Development of Software Education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이소율;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93-10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교수(Teaching)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교사의 신념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STEBI-B 문항의 번안본을 바탕으로 소프트웨어 교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문헌 연구를 통해 추가하여 개인 효능과 결과 기대의 범주의 하위 요소로 구성하였고, 35개의 예비 문항에 대하여 초등 현직 교사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5개 문항을 삭제하여 최종 문항을 완성하였고, 완성된 30개의 최종 문항에 대한 요인 분석 및 신뢰도 분석을 수행하여 문항 구성의 적절성을 입증하여 소프트웨어 교육 교수효능감 측정 도구(SE-TEBI)를 개발하였다.

창녕(昌寧) 교동(校洞) 제 11호분 발견(發見) 직물편(織物片)의 적색안료(赤色顔料) (Red Pigment used on the Piece of Textile Excavated from Tomb No. 11 of Kyodong in Changnyong)

  • 장은혜;안병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권
    • /
    • pp.87-91
    • /
    • 1999
  • 본7038 답(沓) 일괄유물을 보존처리하며 적색물편(赤色物片)을 발견하였다. 색도(色度)측정, 용제(溶劑)에 대한 용해도(溶解度) 및 탈(脫)·변색(變色)시험, 현미경 단면조사 그리고 SEM-EDS를 이용한 성분분석 등의 과학적인 조사를 통해 이 물질이 철사(鐵砂)(Fe2O3 ; Hematite, Red Ochre) 안료(顏料)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시료는 가야시대(伽倻時代) 최초로 발견된 적색안료이며 직물 위에 존재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와 함께 김해(金海) 대성동(大成洞) 제 11호분 출토(出土) 방패[순(盾)]흔적에서 발견한 적색안료가 황화수은(HgS)으로 확인된 사실을 추가하면 가야국(伽倻國)에서 사용한 적색안료가 같은 시대 삼국(三國)의 사정과 일맥상통(一脈相通)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창녕(昌寧) 교동(校洞) 제 89호분 출토 금동제 안교장식 - 보존처리와 제작기법 조사 - (The Gilt Bronze Saddle Accessory Excavated from Tomb No. 89 of Kyodong in Changnyong 75 - Reports on Conservation Treatment and Manufacturing Technique -)

  • 김경희;한만성;안병찬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권
    • /
    • pp.75-86
    • /
    • 1999
  • 국립김해박물관 개관전시를 위해 일제시대 창녕 교통 제 89호분에서 출토된 금동제안교장식(金銅製鞍橋裝飾 이하 "안교장식")을 보존처리하였다. 안교장식은 수많은 편으로 파손된 채 다른 유물과 뒤섞여 보관되어 왔다. 보존처리는 유물의 원형을 되찾고 재질을 안정화시키는 점에 두고 과학적인 조사와 처리를 실행하는 한편 유물의 제작기법도 상세히 조사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안교장식의 두꺼운 부식생성물을 벗기고 파편을 접착하여 원래 모습으로 복원하게 되었고 전시와 관리도 가능하게 조치하였다. 또한 다양한 고대 제작기법이 적용된 안교장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방도서지역 주민의 여름철 식품 및 영양섭취 상태조사 -경기도 강화군 교동도를 중심으로- (A Survey of Nutritional Status on Inhabitant in a Isle by Area of Demilitarized Zone in Korea. -In Kyodong Island Area located at Kanghwa-Gun, Kyungki Province-)

  • 장수경;이성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3-24
    • /
    • 1988
  •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obtain some fundmental data to improve the dietary life and to establish the nutritonal education and policy on inhabitants limed in isle area near by demilitarized zone in Korea. For this, 33 families in the area of Kyodong island located at Kanghwa-Gun, Kyungki province were randomly selected. Trained surveyors visited each house to survey the food and nutritional status in summer during 3 days in August, 1987.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number of foods they were taking totalled 17 categories and 134 kinds of which 104 kinds were vegetable foods. The average amount of food intake was 1465.3g per person per day, animal food occupied 9.6% only. The intake amount of fruit among vegetable foods, and fishes, shells, milk and eggs among animal foods was lower than the national average. Each proportion of carbohydrates fat and protein to the total energy intake was 70.4%, 9.7% and 19.9%. The foods they used to take a lot were rice, potatoes. cucumbers, cabbage KIMCHIE and YULMOO KIMCHIE in order of their intake amount. The energy intake was 3064 Kcal which is higher than nutritional requirements, and the energy ratio of cereals to the total energy in take is 76%. If the amount of fat intake is fixed to 20% of total energy intake, the amount of fat intake is 68g, but the actual amount of fat intake was only 33g. With an increase of total energy intake, supply of calcium and vitamin A should be increased much more.

  • PDF

수직형 구조 GaN 발광다이오드의 n-GaN 위 전극구조에 따른 활성층 영역에서의 전류분포 전산모사 (The Effect of Current Flow on Active Layer by n-GaN Electrode Patterns in GaN-based Vertical Light-Emitting Diodes)

  • 이병규;신영철;김은홍;김철민;이완호;김태근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Vol.21
    • /
    • pp.326-326
    • /
    • 2008
  • 갈륨 질화물 (GaN) 기반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최근 디스플레이, 교동신호등, 휴대폰용 키패드의 광원 등에 널리 사용되는 전자소자로, 차세대 조명용 광원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인 수평 구조의 LED에 비해 수직형 구조 LED 는 발광면이 n-GaN 표면 전체이며, 전류 확산 특성이 매우 뛰어남으로 인해 차세대 구조라고 표현되어 진다. 이런 구조에서 활성층 영역에서의 균일한 전류 분포는 전류밀집 현상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현재까지도 전류확산에 따른 발광다이오드의 성능향상에 대한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형 GaN LED 의 전극 패턴에 따른 활성층 영역에서의 전류밀도 분포에 대해 조사하였다. 전극 패턴의 크기 및 구조 변화에 따른 활성층 영역에서의 전류분포도를 삼차원 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활성층 영역으로 주입되는 전류 밀도의 크기가 내부양자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활성층 영역에서의 균일한 전류밀도 분포를 갖는 전극구조를 설계하였으며, 각각의 전극구조를 적용한 수직형 GaN LED의 전기/광학적 특성에 대해 전산모사 하였다. 최종적으로, n-GaN 위 전극의 크기 및 구조 변화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균일한 전류분포 및 내부 양자효율 향상을 위한 전극패턴 설계 방침을 제안한다.

  • PDF

경기만 연안지역의 염생식물 분포 (Floristic Survey of Salt Marshes and Dunes on Gyeonggi Bay in Korea)

  • 심현보;서석민;최병희
    • 환경생물
    • /
    • 제20권1호
    • /
    • pp.25-34
    • /
    • 2002
  • 경기만 염습지의 식물상을 1999년 8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조사하였다. 본 조사는 경기만에 위치한 14개 내륙연안과 도서지역의 38개 지역에서 자연염습지, 사구, 폐염전 및 해안제방을 구분하여 수행되었다. 이 지역에서 조사된 염생식물은 17과 32속 46종이었는데, 이중 자연염습지에만 자라는 식물은 지채 (Triglochin mariti-mum L.), 천일사초 (Carex scabrifolia Steud.), 퉁퉁마디(Salicornia herbacea L.), 방석나물 (Suaeda australis (R. Br.) Moq.), 해홍나물 (S. martima Dum.), 칠면초 (S. japonica Makino), 기수초(S. malacosperma Hara) 등 7종이었으며, 사구에만 자라는 식물은 갯방풍(Glehnia littoralis Fr. Schm.), 갯사상자 (Cnidium japonicum Miq.), 모래지치 (Messerschmidia sibirica L.), 갯씀바귀(Ixeris repens A. Gray), 호모초(Corispermum stauntonii Miq.), 순비기나무 (Vitex rotundifolia L. fil.), 갯쇠보리(Ischaemum anthephoroides Miq.), 통보리사초 (Carex kobomugi Ohwi) 등 8종이었다. 각 조사지 역별 염생식물은 교동도 21종, 석모도 17종, 강화도 남쪽해안과 동검도 28종, 장봉도 16종, 신,시도 16종, 대무의도 23종, 덕적도 23종, 이작도 10종, 영흥도 29종, 소래 25종, 대부도 15종, 쌍송리 6종, 호곡리 16종, 매향리 10종 등으로 조사되었다.

월동 전후 물장군(Lethocerus deyrollei: 물장군과, 노린재목) 개체군의 형태적 특징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etween New-born and Over-wintered Populations of the Giant Water Bug (Lethocerus deyrollei: Belostomatidae, Hemiptera))

  • 김선이;윤태중;김동건;조신일;배연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11-115
    • /
    • 2008
  • 본 실험은 월동 전후 물장군 개체군의 형태적 차이를 구명하고자 경기도 교동도에서 채집된 월동 전후 관계가 명확한 성충 개체들(월동 전후 개체군)과 실험실에서 사육으로 얻은 성충 개체들(사육개체군)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여 일반적인 외부형태를 비교 관찰하였다. 관찰의 결과, 월동 전후 개체군간의 외부구조에 있어서의 근본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앞다리 밑마디의 연결 부위에 위치한 앞가슴 배면의 가장자리와 앞다리 넓적마디의 종아리마디 연결 부위는 월동 후 개체군에서 크게 마모되어 있었다. 또한 월동 전 개체군에서는 가운데 다리 발톱 길이가 2번째 발목마디의 1/2이상이었으나, 월동 후 개체군에서는 1/2미만이었다. 반날개(hemelytra)로 되어 있는 물장군 앞날개 막질부분의 가장자리는 월동 후 개체군에서 크게 찢겨 마모되었고, 날개와 마찰이 일어나는 배마디 등면 중 5번째 배마디 표면의 털의 수가 월동 후 개체군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강화군(江華郡) 교동도(喬桐島) 및 삼산도내(三山島內) 학교입구(學校入口)의 폐흡충감염(肺吸虫感染) 조사(調査) (A Survey on Paragonimus Infection Among School Population in Kyodong and Samsan Island, Gangwha-Gun)

  • 한경민;안영겸;이근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7권1호
    • /
    • pp.66-73
    • /
    • 1982
  • Paragonimus westermani is one of the most popular endemic parasitic diseases in Korea. The nation-wide prevalence survey were carried out by Gobayashi (1921) with sputum examination and by Walton and Chyu (1959) with the intradermal skin test respectively. Recent studies showed the decline of positive rate in intradermal skin test of the local inhabitants and also showed the less distribution of intermediate host. The fact seemed that caused by economic improvement of village people, decrease of intermediate host by increasing use of pesticides, becoming lower water level at streams and rivers and better irrigation and finally by better community health education etc. Gangwha area of Gyeonggi-Do was found out as an endemic area of Paragonimus westermani through some studies in the past, however, in the vicinity area of Gangwha, the study in Kyodong island (myon) was carried out in 1965 by Yun et al. Therefore author carried out the intradermal skin test for 2,380 students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Kyodong island and Samsan island.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 1) The positive rate of intradermal test for paragonimus westermani infection showed positive in 152 among 1,845 students (8.2%) in Kyodong island, and 21 among 637 students (3.3%) in Samsan island respectively. 2) According to grade levels, 49 among 973 students (5.0%) in primary school, 62 among 962 students (6.4%) in middle school and 53 among 445 students (11.9%) in high school showed positive rate. This showed the higher grade the higher positive rate. 3) Among these total 164 positive cases in the intradermal skin test, only in 3 cases eggs were found in sputum. 4) Finding out the intermediate host, only 28 crayfishes from Kyodong island and 12 from Samsan island were collected and examined for metacercaria infection, however, none of metacercaria was found. 5) As a control group, 2 primary schools from the main island were selected. In these schools from the sixth grade students showed positive rate of 4.8% in Naega primary school and 0% in Hajeom Primary school respectively. Those results showed much decrease than studies carried out in the past. 6) The survey for food habit showed that 15 among 1,274 students (1.2%) had experiences of eating raw intermediate host(crayfish) and 266 among 988 students (27.0%) ate cook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