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교과교사

검색결과 1,761건 처리시간 0.024초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경험이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s Experiences with School Library Programs and Collaborative Classes on Their Perceptions of the Roles of School Libraries and the Expertise of Teacher Librarians)

  • 김현정;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15-243
    • /
    • 2024
  • 학교도서관은 정보자원을 기반으로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 학교의 교육목적 달성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자원과 이용자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교과교사의 인식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사서교사의 자기인식을 바탕으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경험이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 지역의 국·공립 고등학교 8개교의 교과교사 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의 분석 방법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교사의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경험은 학교도서관의 정보적·교육적·문화적 역할 인식과 사서교사의 교육지원·도서관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운영시에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 전문성에 대한 교과교사의 인식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과학 교과서에 대한 중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Junior High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The Science Textbooks)

  • 손영옥;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40-749
    • /
    • 2002
  • 본 연구는 과학교과서에 대한 중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먼저, 교사 및 학생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교과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사 학생의 교수 학습관에 따른 교과서관의 관계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교사와 학생간의 교과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와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대구 경북지역의 중학교 과학교사 113명과 중학생 71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통계기법으로는 주로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교사와 학생간의 교과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학교 교사의 인구학적 변인 중 교과서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은 학교소재와 학급규모이었고, 교사의 연령, 성에 따라서는 별 차이가 없었다. 중학교 학생의 인구학적 변인 중 교과서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는 변인은 학교소재와 남녀공학여부, 학급규모, 학년이었고, 성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상대주의적 교수관을 가진 교사나 상대주의적 학습관을 가진 학생이 교과서의 지식을 상대적으로 보았으며, 학생중심의 교과서를 선호하였다. 교사들은 학생들보다 더 학생 중심으로 서술된 교과서를 선호하였고, 절대주의적인 지식관과 교수 학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은 교사들보다 더 전자교과서를 선호하였다.

수학교사의 수업과제와 교과교육자료의 과제 분석

  • 김구연
    • 한국수학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0년도 제44회 전국수학교육연구대회
    • /
    • pp.223-223
    • /
    • 2010
  • 이 보고서는 수학교사가 교과교육자료를 수업에 적용할 때, 각 과제(task)의 cognitive demand의 수준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 분석하고 그 변화의 요인을 추정한 연구의 일부분이다. Mathematical Tasks Framework과 cognitive demand의 수준 (Stein & Henningsen, 1996)의 이론적 틀을 토대로, 미국 초등 수학교사의 수업을 관찰하고 인터뷰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와 교과서 등의 교과교육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수업과제의 cognitive demand 수준이 교과교육자료에서 제시한 수준과 다르게 나타났다.

  • PDF

통합정보기술수용모형을 적용한 교과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Library Based Instruction of Subject Teachers Applying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23-148
    • /
    • 2020
  • 본 연구는 새로운 정보기술을 개인이 수용하여 활용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변인 간의 관계를 표현한 통합정보기술수용 모형을 바탕으로 교과교사가 수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도서관활용수업의 교수-학습 방법을 수용하는 변인과 각 변인 간의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으로 검증함으로써 도서관활용수업을 수용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초, 중,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과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AMO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과교사의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은 수업 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과교사들의 행위의도는 사용 행위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과교사의 사회적 영향이 행위의도에 미치는 관계에 인지된 위험이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인지된 위험의 측면에서 도서관활용수업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할 것을 제안하였다.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인식 연구 (Analysi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n Mathematics Digital Textbook)

  • 허남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364-372
    • /
    • 2016
  • 본 연구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한 H대학교의 수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52명의 예비수학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수학교사들은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에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보통으로 인식하였다. 예비수학교사들은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의 흥미 요인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디지털교과서가 학생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통으로 인식하였다. 예비수학교사들은 디지털교과서가 수업운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보통으로 인식하였다. 일부 예비수학교사들은 함수 영역과 기하 영역에서 디지털교과서가 필요함을 강조하였으며, 일부 예비수학교사들은 서책형 교과서가 더 적합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사범대학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수학 교과 독서 지도를 위한 교사 교육 실행 - 예비 교사 교육 사례를 연계한 현직 교사 연수 -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r the Teaching of Content Area Reading in School Mathematics)

  • 김남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3호
    • /
    • pp.471-48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 독서의 이해'를 주제로 수학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교사 연수는 교과 독서 지도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를 심화하고 효과적인 교과 독서 지도의 실천을 유도하고자 계획되었다. 특히, 연수 과정에서는 예비 수학 교사 교육의 지도 내용을 현직 수학 교사 연수 과정에 접목시키면서 교과 독서 지도에 대한 실천 사례를 구체적으로 예시하였다.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교과 독서 지도를 의미있게 실천하는 다양한 방법을 접하면서, 자신의 지도 경험을 반성적으로 되돌아보고 이전보다 개선된 지도 방법을 탐색해 나가는 학습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 교사 양성 기관과 중등학교 현장에서의 실천 사례가 공유되면서 교사 교육자나 교사 모두에게 개선된 교육 실천을 위한 학습 경험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교사 연수의 실행 과정과 그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한다. 나아가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바탕으로 앞으로의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제언을 하였다.

  • PDF

수학교사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활용도 조사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se of Mathematics Textbooks and Teachers' Guide)

  • 김민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3호
    • /
    • pp.503-531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사가 수업을 구성하고 교사학습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탐구하는 것이다. 24명의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이들 중 두 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설문자료와 인터뷰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학교사들은 교육과정의 결정자로서 문서화된 교육과정이 의도된 교육과정으로 전이되는 과정의 주체로 참여하고 있었으며 수업목표, 수업내용, 평가내용 선정과정에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정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에 반해 교수법, 평가방법 선정과정에서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정도는 높지 않았다. 이와 함께 학생들의 성취도 수준, 참여도, 수학에 대한 관심도, 가정환경, 입시제도 등 수업을 구성 계획하는 과정에서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협력수업 시행의지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bout School Libraries to Collaborative Instruction on the Willingness: Focusing on Seoul High Schools)

  • 신윤정;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37-261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과교사들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협력수업 시행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 지역의 고등학교 14개교의 교과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 및 학교도서관 관련 경험이 협력수업 시행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소속 학교 또한 교과교사의 시행의지와 관련된 일부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과교사들의 도서관 인식에 대한 차이가 협력수업 시행의지에 대해서 교육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며, 필요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시행계획에 대해서는 모든 독립변인들의 유의한 영향을 파악하였다.

수학 교사의 교과서 이해 및 활용 의도 탐색 (Investigating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and intention to use textbooks)

  • 조수현;김구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1호
    • /
    • pp.111-131
    • /
    • 2021
  • 이 연구는 수학 교사들이 교과서 등으로 구현되는 교육과정을 어떻게 이해하여 활용하고자 의도하는가를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교사들이 교과서 내용을 수업에 적용하는 의도와 목적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검사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25명의 교사들이 검사에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로, 첫째, 연구 참여 교사들은 대체로 교과서의 내용을 그대로 수업에 활용하려는 경향을 드러낸다. 둘째, 교과서의 문제를 수정하거나 보완을 시도하는 경우에 그 결과물이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능력을 촉진하는 과제의 특성을 포함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대체로 교사들은 학생의 수학적 역량을 개발을 목적으로 두기보다는 평가 준거로서 교과서를 활용하고자 의도하였다. 수학 교사들은 수업 실행에 있어서 교과서의 내용을 해석하여 능동적으로 수업에 활용하기 보다는 교과서 내용을 그대로 수용하여 충실히 따르고자 의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필요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Need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Mathematics)

  • 박주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191-206
    • /
    • 2020
  • 본 연구는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필요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교사를 포커스 그룹으로 구성하여 그룹 토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 필요에 대하여 초등 교사는 불필요와 필요하다는 인식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이 불필요하다는 인식에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 내용의 쉬운 수준과 초등학교 수학 수업의 용이함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이 필요하다는 인식에 대해서는 수학 수업의 다양한 측면 고려, 수학 수업 실패의 누적, 학생에 대한 권위 유지, 사회 변화에 따른 수업 개선 요구, 학교 업무 수행의 영향, 교내 교사 학습 공동체의 영향, 동료 교사의 영향, 교사로의 성장을 위한 노력이 관련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 교과 전문성 개발에서 교사의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