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교각길이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Concrete Bridges Considering the Lap Splices of T-type Column (T형 교각의 겹침이음을 고려한 콘크리트 교량의 지진취약도 분석)

  • An, Hyojoon;Cho, Baiksoon;Park, Ju-Hyun;Lee, Jong-Ha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3
    • /
    • pp.287-295
    • /
    • 2023
  • The collapse of bridges due to earthquakes results in many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s. Thus, accurate prediction and preparation are required for the behavior of bridges during earthquakes. In particular, colum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eismic behavior of bridges. The risk of collapse due to an earthquake increases when there is a problem of the insufficient lap splice in the column. In this study,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p splice in the column, a numerical model was defined for the insufficient lap-spliced columns and verified using experimental data. The developed column model was applied to a commonly used RC slab bridge. Nonlinear static analysis for the colum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nge in the performance of the column according to the lap-spliced length. In addition,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 of the lap-spliced length on the seismic fragility analysis.

Stream effect on institution angle characteristics with bridge piers (교각의 설치각도가 하천 흐름에 미치는 영향)

  • Lee, Hyo-Jung;Song, In-Ryul;Ahn, Se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06-809
    • /
    • 2009
  • 도시주변 하천에서 수공구조물의 설치가 하천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게 나타난다. 특히 최근 급격한 기온상승에 따른 게릴라성 호우에 의한 홍수시 그 영향은 더욱 크게 나타나 재산, 인명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주변 하천이며, 관측자료가 풍부한 금강유역의 금남교 지점으로부터 공주대교지점까지 약 14.7km 지점에 대하여 교각의 설치각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 하였다. 교각의 설치각도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장방형교각(폭${\times}$길이: $3{\times}8m$)으로 가정하여 RMA-2모형을 이용하였으며, 교각의 설치각도는 $0^{\circ}$, $15^{\circ}$, $30^{\circ}$, $45^{\circ}$로 표면유속 및 수위분포에 대한 모의를 하였다. 모의된 결과는 현재 설치되어있는 원형교각(지름: 3m의 병렬교각)의 경우와 교각이 없는 경우를 비교하였고, 유량측정에 의한 관측자료(2003년 6월 20일${\sim}$2004년 6월 20)와 모의자료를 비교하여 매개변수 보정을 실시하였다.

  • PDF

Bridge Pier Scour Protection by Sack Gabions (돌망태에 의한 교각세굴 방지)

  • Yun, Tae-Hun;Kim, Dae-Hong;Lee, Ji-S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6
    • /
    • pp.725-731
    • /
    • 2000
  •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in a clear water condition to investigate the functioning of a sack gabion as a scour countermeasure at bridge piers. For different sizes of fill materials of sack gabion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initial movement of sack gabions. Significant factors on the dislodging of sack gabions are approaching flow depth and velocity, pier width, and thickness and length of sack gabions. It was observed that the stability of the sack gabions is increased in a collective body of riprap stones than the placement of individual riprap stone. The length of a sack gabion has significant effect on its initial movement and the stability of a sack gabion was found to be increased by lengthening the length of gab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used to derive formulas sizing gabions for scour protection at bridge piers. piers.

  • PDF

Experimental Study on Debris Reduction Effects Verification by Deflector (우회말뚝을 이용한 유송잡물 저감효과 검증실험)

  • Kim, Sung Joong;Kang, Jun Gu;Kim, Jong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13-513
    • /
    • 2017
  • 홍수 시 하천을 따라 유하되는 유송잡물은 구조물에 집적을 통해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고 구조물 주변의 지반을 약화시키거나 월류로 인한 심각한 피해를 야기 시킨다. 교량의 경우 유송잡물의 집적은 교각의 항력을 증가시켜 전도파괴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교각주변 흐름교란을 통한 하상 세굴로 인해 기초부를 파괴시키기도 한다. 또한 통수단면적 증가로 인해 높아진 수위는 제방월류로 인해 재산 및 인명피해를 유발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유송잡물의 집적을 억제시키는 저감시설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유송잡물 저감시설 중 우회말뚝을 대상으로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고 실규모 실험을 통해 저감효과를 검토하였다. 우회말뚝은 교각 전면부에 상류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말뚝형태의 구조물로 유송잡물의 우회를 통해 교각에 집적을 저감하는 목적으로 설치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실험 및 실규모실험을 통해 우회말뚝의 저감능력 검토를 수행하였으며, 1개의 말뚝을 대상으로 교각과의 이격거리와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의 결과 유송잡물의 길이가 경간장의 100% 일 경우 저감시설이 없을 경우 교각에 87.6% 집적이 발생하였으나 말뚝이 설치되었을 경우 교각에 직접적으로 집적되는 유송잡물은 없으며 31.7% 유송잡물은 우회말뚝에 집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규모 실험의 경우 우회말뚝이 없는 경우 집적률은 60%의 집적이 이루어졌으나 우회말뚝을 설치한 경우 10%의 집적률로 나타났다. 우회 말뚝설치에 따른 저감효과는 발생하였으나 이격거리에 대한 저감능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회말뚝의 이격거리가 길어질수록 말뚝주변에서 회전되어진 유송잡물이 교각에 간헐적으로 집적되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따라서 말뚝의 위치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유송잡물의 길이를 고려하여 설치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the hydraulic structure of geometric shape according to sediment transportation and bed change characteristic (수공구조물 설치에 따른 유사확산 및 하상변동 특성에 관한 분석)

  • Ahn, Seung-Seop;Song, In-Ryul;Lee, Hyo-Jung;Lee, Nam-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63-96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최근까지 유사관측을 수행하고 있는 금강본류 하도구간의 금남$\sim$공주 지점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이 지점의 총유사량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 부유사량 관측 및 수위, 유량과 같은 하천 흐름 등에 관한 과거의 자료를 수집 정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교량의 교각에 대한 기하학적 형상은 원형, 정사각형, 정팔각형, 장방형으로 하였으며 분석 모형은 SED2D-WES 모형을 이용하여 유역에 대한 교각의 형상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그 결과 지름이 6m, 경간장 57m인 원형교각의 경우 교각에서 약 14.3m 떨어진 곳에서 최고 유속 0.75m/s가 발생되었으며, $6{\sim}6m$의 정사각형교각의 경우 교각으로부터 약 15.8m떨어진 곳에서 0.68m/s의 최대 유속이 발생하고 $6{\sim}6m$ 정팔각형교각의 경우 교각으로부터 약 16.2m떨어진 곳에서 0.65m/s의 최대유속이 발생하고, 마지막으로 $3{\sim}6m$ 장방형교각의 경우 교각으로부터 약 21m 떨어진 구간에서 0.63m/s의 최고 유속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유역의 길이가 길고, 유속이 낮으므로 유출지점까지 흘러내려가는 유사량보다 하천내에 유입된 유사가 그대로 퇴적되는 경우가 많아 24시간 분석결과 하상변동량은 퇴적량과 침식량을 합하여 약 0.22%정도 변동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각형상에 따른 하상변동특성으로 원형교각의 경우 세굴이 일어나는 지점은 교각에서 약 16.88m떨어진 지점까지 하상변동이 일어났으며, 정사각형 교각의 경우 교각에서 약 10.96m떨어진 지점까지, 정팔각형 교각의 경우 교각에서 약 6.32m떨어진 지점까지, 장방형 교각의 경우 교각에서 약 18.23m떨어진 지점까지 하상변동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 PDF

Riprap Scour Countermeasures around Nonuniform Bridge Piers (불균일단면교각 주위의 사석 세굴 보호공)

  • Yun, Tae-Hun;Park, Gi-D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4
    • /
    • pp.385-392
    • /
    • 2000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nonuniform pier on the stability of riprap placed around bridge piers. A nonuniform pier is one of which the cross-sectional dimension varies over the length of the pier and comprises a cylinder of diameter bp placed on a larger diameter of foundation bf. and the stability of riprap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height of foundation z. The critical height of foundation is defined as the height of foundation which has the same critical velocity to that of uniform pier without foundation, and it was found to be zc=0.8bf. For z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three-dimensional flow structure and turbulence structure around a bridge across a river (유송잡물 집적으로 인한 하천 횡단교량 주위 3차원 흐름 구조와 난류 구조에 관한 실험적 연구)

  • Young Kyu Kim;Jeong Sook Jeon;Seok Koo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40-240
    • /
    • 2023
  • 홍수시 교각이나 교량 상판에 집적되는 유송잡물은 하천통수단면을 급격히 축소시켜 수위 상승을 일으키고 교량에 가해지는 유수압을 가중시켜 교량 파괴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흐름의 변화는 교각 기초부의 세굴 깊이와 면적을 증가시키고 교각 및 교량 상판에 대한 유수압을 증가시켜 교량 자체의 안전성을 위협할 뿐 아니라 수위 상승으로 인한 범람 및 인근 구조물 파손 위험도 초래한다.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교량에 유송잡물이 집적된 경우 변화하는 흐름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이해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 연구는 교량에 유송잡물이 집적된 경우 발생하는 교각 기초부의 세굴 양상의 변화에만 초점을 두거나, 교량 인근의 국부적 범위에 대한 흐름 특성 변화에만 집중하여 조사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하천 내 횡단 구조물 특성 변화로 인한 흐름의 변화는 해당 구조물이 위치한 지점뿐 아니라 상하류의 상당한 범위에 걸쳐 지속적으로 해당 구조물 및 주변 시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용 개수로에 교량 모형을 설치하여 수리모형실험을 수행하였고 유송잡물로 인한 교량 폐색이 발생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두 가지 조건을 고려하였다. 관찰 구간은 유송잡물이 집적된 교량의 상하류에 발생하는 흐름 변화를 상류는 교량 상판 길이의 약 3.33배 떨어진 위치까지 관찰하였으며 하류로는 교량 상판 길이의 10배 떨어진 위치까지 아우르는 구간에 대하여 관찰하였다. 두 가지 경우의 교량 모형에 동일한 흐름 조건을 적용하여 3차원 초음파 유속계를 이용하여 순간유속을 측정하였고, 시간평균유속, 레이놀즈 응력 및 난류 운동 에너지를 계산하여 평균 흐름 및 난류 특성의 변화를 비교 분석 하였다. 수리모형실험을 통해 유송잡물 집적으로 인한 교각 전면부와 후면부에서 하강류의 크기가 약 2배 정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교각주변의 정적세굴에 관한 연구

  • Kim, Hui-Jong;Sin, Dong-Su;Lee, Se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87.07a
    • /
    • pp.87-87
    • /
    • 1987
  • Bridge piers are sometimes damaged by local scour. Although the problem of local scour around pier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it has been difficult to estimate local scour deth quantitatively.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local scour around semicylindrical piers arranged in various types under the condition of clear water scour. Through dimension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scour depths were relative to Re, Fr, and Ns. In the case of semicylindrical piers, the variation of dimensionless scour depth with dimensionless time (effect of Ns, pier diameter and length, incidence angle) and the variation of scour depth with vortex intensity and resistance a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o obtain a formula. And forula for estimating the maximum depth of scour is obtained.

  • PDF

A study on the clear water xcour around piers (교각주변의 정적세굴에 관한 연구)

  • Kim, Hui-Jong;Sin, Dong-Su;Lee, Seung-U
    • Water for future
    • /
    • v.20 no.1
    • /
    • pp.41-47
    • /
    • 1987
  • Bridge piers are sometimes damaged by local scour. Although the problem of local scour around pier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it has been difficult to estimate local scour depth quantitatively.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local scour around semicylindrical piers arranged in various types under the condition of clear water scour. Through dimension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scour depths were relative to Re, Fr, and Ns. In the case of semicylindrical piers, the variation of dimensionless scour depth with dimensionless time (effect of Ns, pier diameter and length, incidence angle) and the variation of scour depth with vortex intensity and resistance are investigated experimentally to obtain a formula. And formula for estimating the maximum depth of scour is obtained.

  • PDF

Case Study for Buckling Design of Temporary Bridges using System Buckling Analysis (시스템좌굴 해석법을 이용한 라멘형가교 주요부재의 좌굴설계에 관한 사례 연구)

  • Kyung, Yong Soo;So, Byoung Hoon;Bang, Jin Hwan;Kim, Moon 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9 no.1
    • /
    • pp.87-98
    • /
    • 2007
  • Generally, main girders and steel piers of temporary bridges form the steel rahmen structure. In this study, the rational stability design procedure for main members of temporary bridges was presented using a 3D system buckling analysis and second-order elastic analysis. Six types of temporary bridges, which can be designed and fabricated in reality, were chosen and the buckling design for them wa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load combinations of dead and live loads, thermal load, and wind load. Effective buckling length of steel piers, transition of 3D buckling modes, and effects of second-order analysi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case study involving six temporary brid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