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 소자

Search Result 1,464,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Optical Communications Convergence SOP Technology (광통신 융합 SOP 기술)

  • Lim, K.S.;Lee, J.J.;Lee, S.H.;Kang, H.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4 no.1
    • /
    • pp.1-11
    • /
    • 2009
  • 광통신 융합 SOP 기술은 현존하는 다양한 통신망의 부품 및 시스템 개발에 적용 가능하고, 다양한 시스템에 호환되도록 표준화된 플러거블(pluggable)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며 전기적 수동 능동 소자는 물론 광 수동 능동 소자 및 센서 소자들의 통합 패키징이 가능한 패키징 기술로 광 통신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융합된 기반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본 고에서는 SoC, SiP, MCM의 단점 및 한계를 대체할 차세대 시스템 집적기술로서의 SOP의 기술적 배경과 광통신 융합 SOP 기술 소개, 그리고 국내외 기술 개발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A Study on Control Algorithm of a Switching Device for Junction of Photovoltaic Modules by Using Soft Starting (소프트 스타팅을 이용한 태양광모듈 접속장치용 스위칭 소자의 제어기법에 관한 연구)

  • Kim, Eun-Soo;Ha, Yong-Ho;Hwang, Seon-Hwan;Lee, Jaese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7.07a
    • /
    • pp.306-30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모듈과 전력변환장치간의 접속장치로 사용된 전력용 반도체 스위칭 소자의 소프트 스타팅 기법을 통해 초기 돌입전류를 저감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태양광 모듈의 경우, 릴레이나 DC차단기 등을 사용하여 전력변환장치와 연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경우 태양광모듈의 수명과 접속장치의 전압 강하 및 응답성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전력변환장치 출력단의 커패시터에 초기 동작 시 과도한 동일전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태양광모듈의 과전류 현상을 발생시켜 모듈의 수명과 더불어 퓨즈의 차단 및 발열 등 비이상적인 현상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위칭 소자를 사용한 접속장치 적용하였고, 소프트 스타팅 기법을 이용하여 돌입전류를 저감하고자 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경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검증하고자 한다.

  • PDF

CdSe/ZnS 양자점 전계발광소자에서 전하수송층인 Zinc Tin Oxide의 비저항이 소자의 발광 특성에 미치는 영향

  • Yun, Seong-Ryong;Jeon, Min-Hyeon;Lee, Jeon-Guk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10a
    • /
    • pp.44-44
    • /
    • 2011
  • Unipolar 구조의 양자점 발광소자는 소자에 주입되는 전자로 구동 가능하게 설계되어 bipolar 구조와 달리 직류뿐만 아니라 교류로도 구동이 가능하다. 소자의 구조는 패턴된 ITO 유리기판 위에 Radio frequency magnetron sputter로 성장시킨 투명한 금속산화층 사이에 콜로이드로 분산된 양자점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하 수송층으로 사용되는 Zinc Tin Oxide (ZTO)가 전압 인가 시 발생하는 과부하로 인해 낮은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 EL)특성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ZTO층의 비저항과 EL특성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ZTO의 비저항 값을 변화시키기 위해 sputter 공정 중 인가 전력과 작업압력, 산소 분압 등의 성장 조건을 변화시켰다. ZTO의 조성비에 따른 비저항 및 전기적 특성을 홀 측정 장비로 측정하였다. 인가전력이 낮고 작업압력이 낮을수록 비저항 값이 낮았으며, 그에 따라 소자의 동작전압이 낮아지고 EL특성 또한 우수하게 나타났다.

  • PDF

Demonstration of All-Optical Flip-Flop using DFB SOA (DFB SOA를 이용한 전광 Flip-Flop 구현)

  • Kim, Byung-Chae;Kim, Young-Il;Son, Chang-Wan;Lee, Seok;Woo, Duk-Ha;Yoon, Tae-Hoon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07a
    • /
    • pp.146-147
    • /
    • 2002
  • 대용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처리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전자소자 성능은 제한이 있기 때문에 광소자의 개발과 그 응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광쌍안정 소자는 파장 변환기, 광클럭 발생기, 광신호 재생기, 광논리소자, 광메모리 등의 광 기능소자에 이용될 수 있다. 광쌍안정 소자는 매질의 비선형 특성과 궤환 구조를 필요로 하며, 주요 메커니즘에 따라 흡수형 광쌍안정 소자와 분산형 광쌍안정 소자로 구별된다. (중략)

  • PDF

전광 전달망(AOTN)에서의 물리적 보안 관리

  • 김성운;신주동;한종욱
    • Review of KIISC
    • /
    • v.13 no.1
    • /
    • pp.42-55
    • /
    • 2003
  • 차세대 광 인터넷 백본망 기술은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기반의 고속 대용량 전광 전달망인 AOTN (All-Optical Transport Network)으로 발전하고 있고, 가입자의 원활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망 생존성 보장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광소자의 고유한 특성을 교묘히 이용하는 물리적 공격은 AOTN의 투명한 데이터 전달 특성으로 인해 기존의 오버헤드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아, 새로운 검출/회복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본 고에서는 AOTN에서 발생 가능한 공격 유형을 광소자별로 분석하고, 광 레벨에서의 공격 검출과 회복 메커니즘을 소개한다. 이를 바탕으로 공격관리 시스템(Attack Management System: AMS)의 제어 모델을 기술한다.

Optical Switchies based on Bacteriorhodopsin Thin Film (박테리아로돕신 박막 소자의 광 스위칭 특성)

  • 유연석;김남훈;신정록;조현일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114-115
    • /
    • 2000
  • Halobacterium halobium에서 추출한 Bacteriorhodopsin(bR)을 고분자 물질에 첨가해 박막화하였다. 이 단백질 박막 소자의 photodynamic특성을 이용하여 광 switching system을 구성하였다. 광 switch system은 pump광을 이용해 B상태와 M상태에서 축퇴4광파 혼합방식으로 구성했다. Red, blue, violet 광원을 사용하여 B상태와 M상태 격자를 형성하고 on-off되는 위상공액신호를 측정했다. (중략)

  • PDF

A Slim PZT Actuator for Small form Factor Optical Disk Drives (초소형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압전형 액츄에이터 제작)

  • Woosung Yang;Lee, Seung-Yop;Park, Young-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3.05a
    • /
    • pp.762-76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적층형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초소형 및 슬림형 광디스크 드라이브용 광픽업 구동기를 개발하였다. 최근에 휴대용 정보기기의 급격한 발달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초소형 정보저장기기가 사용되고 있으며 착탈식 형태의 초소형 광디스크를 사용하는 ODD가 개발 중에 있다. 적층 형태의 압전소자와 유연 힌지 형태의 변위 확대기구를 사용하여 구동기의 출력 힘과 허용 변위를 증가시키도록 설계하였다. 압전형 구동기의 동특성을 고려한 모델링과 이론적 해석을 통해 목표 변위와 성능을 만족하도록 설계 변수를 최적화하였고 이를 ANSYS를 이용한 해석과 비교하였다. 상용화된 적층형 압전소자를 이용한 prototype 올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론적인 예상 값과 잘 일치함을 보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해석과 실험 결과를 토대로 높이가 2.5mm이며 15V 에서 $\pm$400$\mu\textrm{m}$의 변위를 갖는 슬림형 및 초소형 ODD에 적합한 압전형 구동기를 설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