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 소자

Search Result 1,46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Optical amplification by evanescent field coupling of a side-polished fiber (측면 연마된 광섬유의 소산장 결합에 의한 광 증폭)

  • 손경락;김광택;이소영;송재원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2a
    • /
    • pp.98-99
    • /
    • 2000
  • 코어 가까이 측면 연마한 광섬유를 이용하여 광 여파기, 편광기, 감쇠기등의 광통신 소자로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1]}$ 이 소자는 광섬유를 절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코어 가까이 측면 연마하여 광학적 기능을 가진 소자를 제작함으로서 공정이 간단하고 삽입손실이 작은 특성을 가지며 기계적 신뢰성이 우수하다. 측면 연마된 광섬유를 이용한 광 증폭의 경우 광섬유의 소산장(evanescent field)과 펌핑광에 의해서 여기되는 활성 물질과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광 이득을 얻는다. 소산장 결합에 의한 평면도파로에서의 광 증폭$^{[2]}$ 과 다중 모드 광섬유에서의 펄스 레이저 증폭, 단일 모드 광섬유에서 632.8nm He-Ne 레이저의 연속광원 증폭$^{[3]}$ 은 이미 보고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측면 연마된 다중 모드 광섬유의 연마된 부위에 색소가 첨가된 용액을 떨어뜨림으로서 발생하는 소산장 결합에 의해서 광섬유내를 진행하는 연속적인 He-Ne 레이저 광을 증폭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중략)

  • PDF

Time-Domain Modeling of Wavelength Conversion in 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Directional Coupler (반도체 광증폭기로 형성된 방향성결합기에서 파장 변환에 대한 시영역 모델링)

  • 정호연;정영철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24-25
    • /
    • 2000
  • 파장변환 소자는 최근에 급격히 발전하는 광네트웍을 구축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소자로서 여러 가지 형태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최근에는 반도체 광증폭기로 형성된 방향성 결합기구조(semiconductor optical amplifier directional coupler)에서의 상호 이득 포화(XPM : cross-phase modulation)에 의한 파장변환에 대한 개념이 제안되고 가능성이 실험적으로 입증된 바 있다. 이런 구조의 파장변환 소자는 입력 광신호의 파워가 작을때는 위상 정합이 되어 반도체 광증폭기의 광모드가 완전히 결합되어 cross state로 변환된 파장의 광파워가 많이 출력되고, 신호 입력 파워가 증가함에 따라 결합이 감소하게 되어 Cross state에서의 출력 파워는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소자는 입력 신호광과 변환된 신호광이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 광필터가 필요없이 파장변환이 가능하고, 변환 후의 소광비가 향상되기 때문에 향후 다양한 형태로 응용될 가능성이 있으며, 적정 설계 및 성능 예측을 위해서는 시영역에서 모델링할 수 있는 방법론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연산자 분리 방법$^{(1)}$ 을 적용하여 상술한 파장변환기를 해석하기에 적당하도록 시영역 동적 모델을 구현하고, 파장변환 특성을 여러 가지 면에서 분석하여 보았다. (중략)

  • PD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nic-inorganic hybrid photopolymer film for holographic memory (홀로그래픽 메모리를 위한 유-무기 하이브리드형 포토 폴리머의 특성)

  • Shin, Chang-Won;An, Jun-Won;Kim, Jung-Hoi;Kim, Nam;Park, Ji-Young;Kim, Eun-Kyung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56-57
    • /
    • 2003
  • 포토 폴리머를 광 소자 재료로 이용할 경우 경제성 및 다른 수동 광 소자와의 집적이 가능하므로 최근 들어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포토 폴리머는 광 소자로서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차세대 광 소자 매질로서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포토 폴리머는 고감도, 간단한 실시간 처리, 저렴한 가격 등의 이점 때문에 광굴절 결정보다 홀로 그래픽 저장기술 응용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중략)

  • PDF

variation or optical coupling between coupled waveguides according to the curvature (광도파로간 거리 변화에 따른 광결합 정량화)

  • 이현식;오범환;이승걸;박세근;이일항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7a
    • /
    • pp.206-207
    • /
    • 2003
  • 광집적회로의 등장으로 그 설계에 있어서 다양한 구조의 광배선은 필수적 요소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전기적 배선 및 소자간에 전자기파의 간섭으로 인해 신호의 왜곡이 야기될 뿐 아니라 기생정전효과 등에 의해 소자 시간지연이 유발되듯이, 광 집적회로에서도 광배선간 감쇄필드의 겹침으로 인해 원하지 않는 광결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광집적회로내에서의 이러한 불필요한 광결합을 줄이기 위해서 곡선형 구조의 광배선들이 이용되며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곡선형 도파로 부분의 광결합은 무시된다. (중략)

  • PDF

Fabrication of Magneto-Optic Spatial Light Modulator based on 1D Magnetophotonic Crystal (MPC-MOSLM) (1차원 자성 포토닉 결정을 이용한 자기 광학 공간 광 변조기의 제조)

  • ;;Misuteru Inoue;Hideyoshi Horimai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192-193
    • /
    • 2000
  • 공간 광변조기(spatial light modulator)는 빛의 진폭, 위상 혹은 편광 상태를 공간적으로 변조하는 소자이다. 2차원적인 화소 배열을 갖는 공간 광 변조기는, 전자 소자들이 지니지 않는, 정보를 고속으로 병렬 처리할 수 있는 기능에 힘입어, 광상관기, 광컴퓨터, 프로젝션 TV, 빔 프로젝트, 홀로그래피 메모리의 핵심 소자로 지난 50년간 활발히 연구되어, 액정 공간 광 변조기, 자기 광학 공간 광 변조기$^{(1)(2)}$ 등이 개발되었다. 이 중에서 자기광학 공간 괌 변조기는 화소의 스위칭 스피드가 빠르고, 견고하고, 내방사능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비휘발성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주로 우주항공용의 Miniature Ruggedized Optical Correlator(MROC)$^{(3)}$ 에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개념의 공간 광 변조기인 자성 포토닉 결정을 이용한 자기 광학 공간 광 변조기(MPC-MOSLM)의 제조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중략)

  • PDF

Research of a detector for the active alignment of 64channel optical fiber using Hadamard algorithm (하다마드 복원 알고리즘을 적용한 64채널 광섬유 능동정렬용 검출기 연구)

  • Cho, Nam-Won;Kwak, Ki-Suk;Yoon, Tae-Sung;Park, Jin-B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1c
    • /
    • pp.472-475
    • /
    • 2003
  • 현재 광 정렬 시스템에 채용하고 있는 다채널 광 파워미터는 측정 채널의 수가 증가하는 상황이다. 그러나 기존 시스템 제어를 통한 각 채널의 정밀한 정렬은 다 채널 광 파워미터 기술에 적합하지 않은 방식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기존 방식을 채택한 광 정렬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 하다마스 변환 복원 알고리즘을 이용한 광 능동 정렬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다채널 광학 정렬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채널의 증가에 따라 채널별 정렬의 정밀도가 떨어진다. 기존 정렬 시스템에서 채용하고 있는 다채널 광 파워미터의 기술 수준은 약 4채널까지 동시 측정이 가능하였다. 이 방법은 채널 양쪽에 검출기를 설치하여 광량의 최대 지점을 최적 정렬 위치로 결정한다. 그러나 시스템 채널이 증가할 수록 안쪽에 위치한 광소자를 정렬을 무시하기 때문에 정확한 정렬에 적합하지 않다. 그리고 고속, 대용량의 데이터 처리요구에 맞추기 위한 64채널 광소자 생산을 위해서는 16개의 4채널 광 파워미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신뢰할 만한 수준의 측정치를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새로운 개념을 적용한 다채널 동시측정을 위한 광소자 측정 기술 및 광 파워미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다마드 변환 복원 알고리즘을 이용한 광 능동 정렬 검출 시스템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하다마드 변환 복원 알고리즘을 이용한 광 능동 정렬 검출 시스템이 기존의 시스템보다 우수한 알고리즘과 성능을 가지고 있음을 실험을 통해 입증한다.

  • PDF

ZnO의 광소재 응용

  • 박영식;한명수;고항주;송봉석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17 no.5
    • /
    • pp.3-12
    • /
    • 2004
  • 지난 십년동안 정보산업의 지속적인 고속성장과 맞물려 단파장 광소자와 고출력, 고주파 전자소자의 성능에 대한 사양이 날로 높아 감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 소자 제조 공정에서 고품위 박막 성장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자연스럽게 연구자들은 이러한 소자에 대한 높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 발광소재(GaN, 6H-SiC)를 근간으로 소자의 성능을 개선하려는 노력 뿐 아니라 기존 물질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발광소재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중략)

  • PDF

The characteristics and optimal modeling of input source for optical device using thin film filter in optical telecommunication network (광통신용 박막필터형 광소자 분석을 위한 최적화 모델링과 특성분석)

  • 김명진;이승걸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4 no.3
    • /
    • pp.306-311
    • /
    • 2003
  • In this paper, we modeled the incident beam in order to analyze and evaluate the optical thin film device for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in optical telecommunication network. As applied ray tracing method to the optical path, we were compared the accuracy of coupling efficiency simulated by two modeling methods. In the results of sinulation, ceil modeling method was preferred to annual modeling method in micro-optic device because of accuracy for coupling efficiency and Gaussian intensity distribution. In the results of optimal simulation for optical device using thin film filter, the distance (d1) between optical fiber and GRIN lens, the distance (d2) between GRIN lens and thin film filter and the coupling efficiency were 0.24 mm, 0.25 mm and -0.11 ㏈ respectively. As d2 was displaced at 0.25 mm and d1 was varied in order to evaluate the optimal value, d1 and maximum coupling efficiency were 0.24 mm and -0.35㏈, respectively. Then the results of experiment were corresponded to that of optimal simulation by cell modeling and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performance for optical device using thin film filter by the simulation.

GaAs소자의 최근 기술동향

  • 이원성;문병종;권영세
    • 전기의세계
    • /
    • v.31 no.12
    • /
    • pp.812-816
    • /
    • 1982
  • 실리콘이 집적회로의 개발로 인하여 반도체 재료로 보편화되어 있으나 최근에는 실리콘으로는 어려운 고속동작이나 광소자에의 응용을 위해 GaAs에 대해 관심이 점증하고 있다. GaAs는 현재로는 실리콘에 비해 완벽한 결정성장을 하지 못하고 있으나 일본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기판의 대량생산을 서두르는 등 실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광소자와 초고속 집적회로에 대한 최근의 기술동향을 간략히 알아보았다.

  • PDF

SPICE Simulation of All-Optical Transmitter/Receiver Circuits Configured with MQW Optical Modulators and FETs (다층 양자우물구조 광 변조기와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광 송/수신기회로의 SPICE 모사)

  • 이유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9.05a
    • /
    • pp.420-424
    • /
    • 1999
  • In this paper, an optical switching circuit and several types of all-optical transmitter/receiver circuits which are configured with photodiodes, multiple quantum-well(MQW) optical modulators, and field-effect transistors(FETs) were simulated using PSPICE and their results of these are examined and discussed. 20 $\mu\textrm{m}$ ${\times}$ 20 $\mu\textrm{m}$ of window size was used for the optical modulators and 100 $\mu\textrm{m}$ wide FETs with the transconductance value of 55 mS/mm were used for the simulations. Simulation results clearly show that in order for the high speed operation of the all-optical circuits, the size of each device should be minimized to reduce the parasitic capacitance, the circuits should be designed to operate at the wavelength where the resposivity of photodiodes becomes the maximum peak, and the use of short, high-intensity input optical signal beams is very advantageo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