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

Search Result 19,412, Processing Time 0.05 seconds

광독성, 광알러지성 물질의 안정성과 생체이용율증가 및 기전연구

  • 김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328-328
    • /
    • 1994
  • 광독성 및 광알러지를 일으키는 제반 약물이나 화학물질의 안정성과생체 이용율을 높이고 현재까지 확실하게 규명되어있지 않은 약물 및 화학물질에의한 광독성 광알러지성의 기전을 이해하고 설명할수있는 학문적 기초를 확립 하고저 phenothiazines 중 몇가지 약물를 택하여 적혈구를 이용한 광용혈 여부와 이에 미치는 ascorbic acid, butyl hydroxy anisole, dibutyl hydroxy toluen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약물 농도를 50$\mu\textrm{g}$/m1로 하고 UVA(350nm.2.5 ㎽/cm)조사시간은 30분으로 하여 적혈구의 광용혈현상을 Kahn등의 방법에의해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한결과 chlorpromazine, perphenazine, thioridazine매 의한 광용혈정도는 ascorbic acid에의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또한 적혈구를 가하기 전 각 약물을 미리조사시켜 생성된 물질에의한 광용혈현상의 광독성생성물질은 chlor- promazine과 thioridazine에서 보여졌으며, chlorpromazine의 광독성생성물질에 의한 적혈구 용혈현상만 ascorbic acid에의해 감소되었다.

  • PDF

Analysis of Distribution System and Power Quality Integrated with 1000kW Suncheon Photovoltaic Generations (1000kW 순천 태양광 발전시스템 계통해석 및 전력품질 분석)

  • Yoon, Gi-Gab;Lee, Hak-Ju;Jung, Won-Wook;Kim, Suk-Cheo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312-317
    • /
    • 2007
  • 최근 다수의 태양광 발전기가 배전계통에 연계되고 있으며 특히, 특정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의 태양광발전 단지가 구성되어 배전계통에 연계되고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순천에 구축된 l000KW급 태양광발전소의 계통해석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PSCAD/EMTDC 툴을 이용하여 모델링 하고 태양광발전이 연계된 배전계통 조류해석과 태양광 발전의 출력에 의한 22.9KV 배전계통의 전압변동을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태양광발전에 따른 역조류에 의한 배전계통 전압변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태양광발전기의 배전계통 연계 전,후의 배전선로의 임의의 지락고장 모의로 태양광발전기가 고장전류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태양광 발전이 양호, 불량한 경우에 대한 상전압, 고조파 전류, 역률 등의 측정결과에 의한 전력품질을 분석 하였다.

  • PDF

Making Folding LED Streetlight Equipped with Solar Panels for Pollution Prevention and Easy Maintenance (오염방지 및 쉬운 유지보수를 위한 접이식 태양광 전지판을 장착한 LED가로등 제작)

  • Lee, Ky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1a
    • /
    • pp.417-41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전지판을 장착한 LED 가로등을 설계 제작하였다. 제작비용을 고려하여 간단한 구조에서 태양광 전지판에 많은 양의 태양광을 받도록 하고, 태양이 없어 발전을 하지 않을 때는 태양광 전지판에 오염 물질이 적게 부착되게 하며 또 태양광 전지판에 붙은 이물질, 오염 물질을 쉽게 제거 작업을 하게 하기 위하여 태양광 전지판을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LED 인버터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직류를 그대로 사용하게 하므로 전기 변환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따라 시스템의 효율을 기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LED 등 설계 및 제작 기술, 인버터 변환 없는 직류 사용 효율 증대 기술, 원격 및 수동 조작 Controller 설계 및 제작 기술, 접이식 Sollar Cell 기구물 개발 기술을 확보하고 향후 태양광 전지판 가로등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 PDF

초단 광펄스와 광롱신 및 광 신호처리

  • 김경헌
    • Op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7 no.2
    • /
    • pp.40-49
    • /
    • 2003
  • 근래에 들어와 초단 광펄스 생성 기술이 발전되어 다양한 초고속 현상 및 물성 분석 연구에 활용되고 있으며 통신 및 신호처리에 대한 응용 기술에 대해서도 연구되고 있다. 특히 대용량 광통신 기술로는 이미 기술적인 성숙도를 보인 파장분할다중 (WDM) 기술과 더불어 전기적 신호를 다중화하여 광신호로 변환하여 통신하는 전기적 시간분할다중 (ETDM) 기술이 있으며, 초단 광펄스를 이용하는 40 Gbps 급 이상의 고속 광시간분할다중 (OTDM) 광통신 기술도 연구되고 있다. 이 OTDM기술에 있어서는 초단 광펄스 생성 기술과 고속 광신호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술. 광동기신호 재생 기술 등이 주요 핵심 기술을 이루고 있다. 본 글에서는 근래에 들어와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광통신용 펨토초급 초단 광펄스 생성 기술과 이를 이용한 40 Gbps급 이상의 고속 광시간분할다중 (OTDM) 광전송 및 광신호처리에 관련된 기술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결정질 실리콘 컬러 태양광 모듈 기술 동향

  • Song, Hyeong-Jun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 /
    • v.5 no.1
    • /
    • pp.38-45
    • /
    • 2019
  •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시장의 증가에 따라 미적(Aesthetic) 요소가 결합된 태양광 모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시장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가지고 있는 컬러 태양광 모듈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여러 제안된 컬러 태양광 모듈 기술 중 결정질 실리콘(crystalline-silicon) 기반 태양광 모듈에 컬러 유리 혹은 컬러 층을 도입하는 기술은 기존 실리콘 모듈의 장점인 신뢰도와 가격 측면에서 다른 방식 대비 큰 장점이 있다. 결정질 실리콘 모듈에 컬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현재 크게 세가지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가장 먼저 제안된 방식은 태양전지 전면에 반사 방지막 형성 시 특정 파장만 반사할 수 있는 층이 도입된 컬러 태양전지(color photovoltaic cell)를 이용하여 색상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다른 한 방식은 일반 검정색 태양전지에 반사가 가능한 입자 혹은 박막층을 태양광 모듈 전면에 도입하는 반사형(Reflective) 컬러 태양광 모듈 기술이다. 마지막으로 특정 파장을 흡수하여 다른 파장으로 발광하는 염료 혹은 안료를 이용한 발광형(Luminescent)방식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본고에서는 각 방식의 동작 특성 및 기술 동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

국내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개발 및 하부 작물 생육 특성 분석 및 고찰

  • Kim, Geun-Ho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 /
    • v.6 no.2
    • /
    • pp.15-24
    • /
    • 2020
  •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농업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동시 상생이 가능한 기술로 현재와 같은 농업 환경 및 생태계 개선 그리고 에너지 전환의 시대에 대처해야 하는 훌륭한 대안이다. 한국형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개발 및 보급을 위한 국내 첫 연구개발 사업인 농림축산식품부(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의 "한국형 태양광 이모작(농업&태양광 발전 병행) 스마트 영농 시스템 개발(과제번호: 1545015977)"과제를 통해 총 60kW급 규모의 5개소 실증단지(10kW급 3개소 신규 개발 및 구축)를 활용한 최적 시스템 개발, 6품종(벼 2품종, 감자, 배추, 마늘, 양파 및 배) 표준재배기술 도출 등을 수행하였다. 기존 태양광 발전용 모듈(72cell) 대비 half-size(36cell) 모듈 개발, 작물 별 최적 구조물(차광률 30% 미만 적용) 도출, 대상 작물 감수율 20% 미만 달성 및 표준재배기술개발을 수행하였다. 추후 장기간 동안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의 경제성 확보, 시공성 개선 그리고 다양한 작물 대상 표준재배기술 최적화 등의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확산 및 보급을 위해 국가적 지원과 농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불가능 하다. 그리고 본 개발 기술은 농업인을 위한 기술로 범국민적인 수용성 개선 또한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정부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대한민국의 식량안보와 에너지안보를 확보를 위해 농업진흥지역에 대한 최대 20년까지 타용도 일시전용이 가능하도록 농지법 개정으로 화답 할 때이다.

Improvement of Number of Sensor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Optical Sensor Network Using Frequency domain Optical CDMA with Excess Noise Suppression (엑세스 잡음 억압에 의한 광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동시 접속 가능한 광센서 수량의 증가)

  • Park, Sang-J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2 no.6
    • /
    • pp.243-249
    • /
    • 2007
  • I propose the excess noise suppressed optical sensor network using optical CDMA with gain saturated optical amplifier in order to increase number of sensor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network. Simulation analyses confirm that the maximum number of sensor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optical sensor network can be largely increased by increasing the gain of gain saturated optical amplifier owing to the pression of access noises with the assignment of sweeping frequency of optical sensors within 10MHz. In the case of the requested SNR of 20dB and the sweeping frequency of 10MHz, the maximum number of sensors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optical sensor network can be increased four times as many as the conventional system.

  • PDF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Suppressed Sensor Network Using Optical CDMA with Bipolar Receiver and Modified PN Code (간섭잡음을 억압한 양극성 수신기와 PN 부호에 의한 광 CDMA 방식을 사용한 센서 네트워크)

  • Park Sang-Jo;Kim Bong-Kyu
    • The KIPS Transactions:PartC
    • /
    • v.13C no.3 s.106
    • /
    • pp.311-316
    • /
    • 2006
  • We propose the optical sensor network using optical CDMA with bipolar receiver and modified Pseudorandom Noise codes which are widely us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e numerically analyze the performances in the optical sensor network. In the proposed network, multiple access interferences between two sensors are suppressed by performing synchronization between the optical encoder and the optical decoder and adjusting the delay times of optical delay lines. Numerical simulations confirm that the performance can be acquired by suppressing the beat noise among optical signals as the number of sensors increases.

Effect of LED Light Wavelength on Chrysanthemum Growth (LED광 파장이 국화생육에 미치는 영향)

  • Im, Jae Un;Yoon, Yong Cheol;Seo, Kwang Wook;Kim, Kyu Hyeong;Moon, Ae Kyung;Kim, Hyeon Tae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2 no.1
    • /
    • pp.49-54
    • /
    • 2013
  • In this study, I was focusing on LED (Light Emitting Diode) light effect in growth of chrysanthemum. For this reason, I formed six monochromatic lights (red 650 nm, 647 nm, 622 nm, blue 463 nm, 450 nm, white), six mixed lights sources red : blue (9 : 1, 8 : 2, 7 : 3, 6 : 4, 5 : 5) and 3 control beds in light sources ratio between rad : blue (8 : 2) including sun light. It was totally 15 control beds. Depending on light investigation time in growth, 6/6 (on/off) was highest in the length of plant, the number of leaves, the fresh dry and leaf area.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n't accepted in general. In case of monochromatic lights, length of plant and leaf area is biggest in the Blue 450 mm and the length of root is highest in RED 650 mm. Except for this 3 measuring points (length of plant, the number of leaves and fresh weight), sun light and white was highest. Besides there are monochromatic light effect but various wavelength range in light sources are needed to crop growth. In terms of mixed light resources, except for sun light, It turned out the length of plant is highest in the highest red light rate red : blue (9 : 1), and Red : white (7 : 3) is highest in fresh weight and dry weight. The sun light is the highest one in the leaf area. The results from LED light effect in growth of chrysanthemum are obviously effect on growth and building up the shape. We need to choose suitable light sources in the monochromatic lights and mixed lights for growing high quality of chrysanthemum or Supplemental Lighting.

An Enhancement Technique for Separation of Direct Light and Global Light Using High Frequency Illumination pattern (고주파 조명패턴을 사용한 직접광과 간접광의 분리성능 향상 기법)

  • Jo, Mi-Ri-Na;Park, Dong-Gyu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2 no.9
    • /
    • pp.1262-1272
    • /
    • 2009
  • In computer graphics, there exist many studies about illumination and radiance for a realistic description of the 3D modeling and rendering. When we see a scene, the scene is lit by a source of light and the radiance of the points by a source in the scene. The radiance has direct light and glight component. The direct light gets lights directly from light source, but the global light gets lights indirectly by interreflections among complicated geometrical components. In this paper, we studied a method for increasing the accuracy of separating direct light and global light components from a scene by using high frequency illumination pattern. For experiments, we applied the separating method of Nayar's and found the best configurations for the separation through the experiments. We improved the separation accuracy of direct and global light by measuring the value of unilluminated area, which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 Furthermore, we enhanced invisible scene of the global light by applying the image filtering techniqu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