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학활성리간드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8초

Poly(t-MBA-co-GMA-L-Pro) 착체를 이용한 리간드 교환막

  • 박정준;박창규;이영무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3년도 춘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50-51
    • /
    • 1993
  • 광학활성 물질의 분할은 화학공정에 있어서나 생명과학에 있어서 중요한 분야로, 특히 의약이나 농약등의 생리활성물질에 광학이성질체가 상당수 존재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는 경상체간에 생리활성이 현저하게 다른 것이 상당수 존재한다. 이러한 광학활성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크로마트그래피를 이용한 방법, Diastereomer를 이용하는 방법등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 착체막을 이용하여 경상체를 분리하고자 한다. 전이금속착체를 이용한 경상체의 분리는 주로 crown ether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즉 전이금속의 흡착력과 crown ether의 입체구조를 이용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액막에서나 가능한 것으로 고체막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아크릴 계통의 고분자 전이금속 착체막을 이용하여 아미노산 경상체간의 분리를 행하고자 한다. 즉 전이금속의 흡착력과 리간드의 입체구조를 이용하여 경상체를 분리하는 것이다.

  • PDF

광학활성인 mer-[Co(L)2](CIO4)착물의 합성과 성질 [L=4(S)-1-(2-pyridyl)-3-oxo-amino-2-azapentane(S-alaampH)와 4(S)-1-(2-pyridyl)-3-oxo-4-aza-7-thiaoctane (S-metampH)]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Optically Active mer-[Co(L)2](CIO4)[L=4(S)-1-(2-pyridyl)-3-oxo-4-amino-2-azapentane(S-alaampH) and 4(S)-1-(2-pyridyl)-3-oxo-4-aza-7-thiaoctane (S-metampH)])

고체 담체에 고정화된 키랄리간드의 비대칭 촉매반응에의 응용 (Application of Chiral Ligands Heterogenized over Solid Supports on Enantioselective Catalysis)

  • 이광연;카테카 라울;김건중
    • 공업화학
    • /
    • 제17권6호
    • /
    • pp.565-574
    • /
    • 2006
  • 광학순도가 높은 이성체의 응용은 최근 들어 크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도 비대칭 촉매합성반응을 통하여 선택적으로 순수한 광학이성체를 합성하는 것이 가장 매력적인 방법이다. 특히 키랄화합물을 합성하는 비대칭촉매반응에 있어서는 가격이 비싼 촉매를 소량 사용하면서도 활성이나 광학선택성 및 촉매수명을 높이도록 하는 조건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된다. 활성이 큰 키랄촉매를 고정화시키면 반응 후에 반응혼합물을 여과법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다는 등의 취급상 용이한 점을 제공한다. 키랄촉매반응에서 생성물의 광학선택성을 향상시키고 여러 번 촉매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여러 종류의 광학선택적인 불균일촉매에 관한 연구의 현황과 제한점 등을 주로 다루었다.

$Cd^{2+}, H^+$ 및 OH-이온이 EDTA를 포함한 Co (Ⅲ) 착물의 킬레이트고리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for the Change of Chelate Ring of Co (Ⅲ) Complexes Containing EDTA by $Cd^{2+}, H^+, and OH^-$)

  • 김동엽;이동진;오창언;도명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5-170
    • /
    • 1990
  • 광학활성인 $[Co(edta)]^- 착물과 [Co(Hedta)Cl]^- 착물의 반응성과 구조적인 변화를 여러 가지 촉매(H^+, OH^-, 그리고 Cd^{2+})의 존재하에서 연구하였다. Δ-[Co(edta)]- 착물에 촉매로서 H+ 또는 OH-를 각각 작용시키면 착물에 대한 리간드의 G-ring이 열리면서, 광학활성인 [Co(Hedta)OH_2]착물과 라세미-[Co(edta)OH]^{2-} 착물이 생성된다. (-)546-[Co(Hedta)Cl]- 착물에 촉매로서 Cd^{2+}$를 작용시키면, 고리닫힘이 일어나 Δ-[Co(edta)]-착물이 생성되어지고, 이 때 절대배치는 유지되어진다.

  • PDF

광학활성 코발트 (III) 착물과 라세미-코발트(II) 착물간의 입체선택적 전자전달반응 (Stereoselective Electron-Transfer Reaction between Optical Active Cobalt(III) Complex and Racemic Cobalt(II) Complex)

  • 이동진;정맹준;도명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00-505
    • /
    • 1991
  • 광학활성인 ${\bigwedge}$-[CO(EDDS)]$^-$와 리간드의 conformation 변화에 있어 제한되는 착물인 $[Co({\pm}chxn)_3]^{2+}$간의 전자전달반응에 따른 입체선택성을 수용액 중에서 조사한 결과 4개의 conformational isomer($lel_3,\;lel_2ob,\;lelob_2,\;and\;ob_3)$가 존재하는 ${\Delta}-[Co(chxn)_3]^{3+}$가 생성되었으며 각 이성질체의 광학순도는 각각 22% e.e, 25% e.e, 11% e.e, 10% e.e로서 나타났다. Λ-[CO(EDDS)]-와 [Co($\pm$ chxn)$_3]^{2+}$간의 전자전달반응에 따른 입체선택성을 DMSO 중에서 반응시킨 결과 두 개의 conformational isomer($lel_3, lel_2ob$)을 포함하는 ${\bigwedge}$-[Co(chxn)$_3]^{3+}$가 생성되었으며 광학순도는 $lel_3$의 경우가 100% e,e로 나타났으며, $lel_2ob$의 경우는 75% e.e로 나타났다.

  • PDF

고성능 액체크로마토 그래피에 의한 Dansyl-아미노산 광학이성질체의 분리 (Separation of Optical Isomers of DNS-Amino Acids i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이선행;오대섭;박경숙
    • 대한화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6-223
    • /
    • 1986
  • Dansyl 유도화된 아미노산의 광학이성질체를 분리하기 위해 광학활성인 L-arginine과 몇가지 금속(구리, 아연, 카드뮴, 니켈)의 킬레이트를 이동상에 첨가하여 역상 칼럼내에서 분리를 시도했다. 구리 킬레이트 이외의 것은 광학이성질체의 분리가 안되었다. 아미노산의 광학이성질체의 분리 거동은 이동상의 pH 및 유기용매조성, 완충용액의 종류와 농도, 금속의 종류와 킬레이트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Valine, metionine, leucine, phenylalanine은 D형이 먼저 용리되고 serine과 alanine은 L형이 먼저 용리되었으며 threonine은 D형과 L형의 분리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분리거동은 리간드 교환반응에 의한 (D, L-DNS-AA) (M) (L-Arg) 3종류 착물이 형성될때의 입체 특이성효과로써 설명할 수 있다.

  • PDF

다양한 반응조건에 따른 폴리페닐렌에테르의 중합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phenylene ether)s in Various Reaction Conditions)

  • 박종현;김남철;김용태;남성우;김영준;김지흥
    • 폴리머
    • /
    • 제35권3호
    • /
    • pp.244-248
    • /
    • 2011
  • Copper(I) chloride와 아빈 계열의 리간드와의 Cu-amine complex 촉매를 사용한 단량체 2,6-dimethlyphenol (DMP)의 산회중합을 통하여 poly (2,6-dimethyl-1,4-phenylene ether) (PPE)를 제조하였다. 중합반응에 있어서 DMP와 촉매의 비율, 다양한 리간드 및 첨가제로서 2,4,6-trimethylphenol(TMP)의 함량 등 여러 반응 변수들의 영향을 분자량측정, 열분석, 및 광학적 특성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DMP의 산화중합에 사용된 다양한 Cu-amine 촉매 system의 중합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oxygen-uptake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제조된 PPE의 EDTA 수용액을 사용한 정제 방법을 통하여 잔류촉매 제거가 PPE의 열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를 TGA를 통해 확인하였다.

Lanthanides-L-proline 착물의 형성에 관한 열역학적 연구 (Thermodynamic Parameters of Complexation of Lanthanides by L-proline)

  • 최임연;김영인;최성락;현명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5-111
    • /
    • 1993
  • 수용액내에서 란탄족 금속(III)이온과 광학 활성을 지닌 L-proline간의 안정도 상수(1:1)값들을 pH 적정 방법을 사용하여 이온강도 0.1M $NaClO_4$, 25$^{\circ}C$ 조건에서 구하였다. 안정도 상수값은 경란탄족과 중란탄족 금속 사이에 "gadolinium break" 현상을 나타내었으며, 리간드 산도와 안정도 상수값의 관계로 부터 L-proline이 두자리 리간드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열역학적 함수값(${\Delta}H$, ${\Delta}S$)들을 같은 조건에서 엔탈피 적정 방법으로 구하였다. lanthanide(III)-L-proline 착물 형성은 흡열 반응 및 큰 엔트로피 변화량(${\Delta}S$)을 나타내었으며 엔트로피 변화량은 L-proline 고리의 견고성으로 인해 과량의 탈수 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lanthanide(III)-anthranilate 착물 형성의 열역학적 함수값과 비교하여 본 결과, L-proline의 헤테로 고리 질소 원자와 카르복실기가 결합에 참여하여 킬레이트를 형성하였으며, anthranilate와 L-proline착물의 엔탈피 변화량(${\Delta}H$) 차이는 두 리간드 내에 존재하는 질소 원자의 염기도 차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IMT-2000 고출력 전력전폭기의 GaAs MMIC화 및 전송결합기 설계 구현에 관한 연구 (Design and fabrication of GaAs MMIC high power amplfier and microstrip combiner for IMT-2000 handset)

  • 정명남;이윤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1A호
    • /
    • pp.1661-1671
    • /
    • 2000
  • 본 고에서는 한국통신(Korea Telecom) IMT-2000 시험시스템(이하: Trial system 라고 함) 단말기용 전력증폭단으로 적용하기 위한 다단구동증폭기 및 전력증폭기를 GaAs MMIC로 설계 구현하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설계된 구동증폭기는 3단으로구성하여 RF(Radia Frequency) 송신신호(1955$\pm$70MHz)대역에서 2단 (중간단)의 이득 조정범위가 40 dB이상이 될 수 있도록 능동부품인 MESFET를 Cascade 형으로 구성하고 MESFET의 게이트(gate)에 조정전압을 인가하는 증폭기를 설계하여 GaAs MMIC화 1 침(크기4$\times$5 mm)으로 제작하였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제시한 구동증폭기는 동작주파수 대역폭 범위기 3.5배이고 출력전력은 15dBmm 이며, 출력전력이득이 25~27dB이고 반사계수는 -15~20dB이며 이득평탄도 3dB(동작주파수 대역폭내)로써 Trial system용 단말기의 최종단인 전력증폭단의 출력단 특성을 효과적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전력 증폭기는 2개의 입력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분배하는 전력분배기와 병렬구조인 4개의 증폭단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외부에서 접속하는 전력결합기를 접소하여 구성하였으며 RF(Radio Frequency) 주파수(1955 $\pm$70NHz)에서 대역폭을 4배로 설계하여 광대역인 대역폭을 구현하였고 출력전력은 570mW이며, 출력부가효율(PAE; Power Added Efficency)가 -15$\pm$20dB이고, 이득 평탄도(Gain flatness)는 동작주파수 대역내에서 0.5dB이며 입출력 전압정재파비(Input & Output VSWR)가 13이하인 고출력 전력증포기를 GaAs MMIC화 1칩 (크기; 3$\times$4mm)으로 제작하였다.의 다양성이나 편리성으로 변화하는 것이 국적을 바꾸는 것보다 어려운 시 대가 멀지 않은 미래에 도래할 것이다. 신세기 통신 과 SK 텔레콤에는 현재 1,300만명이 넘 는 고객이 있으며. 이들 고객은 어 이상 음성통화 중심의 이동전화 고객이 아니라 신세기 통신과 SK텔레콤이 함께 구축해 나갈 거대란 무선 네트워크 사회에서 정보화 시대를 살아 갈 회원들이다. '컨텐츠의 시대'가 개막되는 것이며, 신세기통신과 SK텔레콤은 선의의 경쟁 과 협력을 통해 이동인터넷 서비스의 컨텐츠를 개발해 나가게 될 것이다. 3배가 높았다. 효소 활성에 필수적인 물의 양에 따른 DIAION WA30의 라세미화 효율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그 효율은 감소하였다. DIAION WA30을 라세미화 촉매로 사용하여 아이소옥탄 내에서 라세믹 나프록센 2,2,2-트리플로로에틸 씨오에스터의 효소적 DKR 반응을 수행해 보았다. 그 결과 DIAION WA30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반응 전환율과 생성물의 광학 순도는 급격히 향상되었다. 전통적 광학분할 반응의 최대 50%라는 전환율의 제한이 본 연구에서 찾은 DIAION WA30을 첨가함으로써 성공적으로 극복되었다. 또한 고체 염기촉매인 DIAION WA30의 사용은 라세미화 촉매의 회수 및 재사용이 가능하게 해준다.해준다.다. TN5 세포주를 0.2 L 규모 (1 L spinner flask)oJl에서 세포간의 응집현상 없이 부유배양에 적응,배양시킨 후 세포성장 시기에 따른 발현을 조사한 결과 1 MOI의 감염조건 하에서는 $0.6\times10^6$cell/mL의 early exponential시기의 세포밀도에서 72시간 배양하였을 대 최대 발현양을 나타내었다. 나타내었다. $\beta$4 integrin의 표현이 침투 능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나 이때에는 laminin과 같은 리간드와의 특이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