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투과

Search Result 1,17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Sagnac Loop Band-pass Filter in Incorporating Fiber Bragg Gratings (FBG를 삽입한 사냑 루프 대역 통과 필터의 해석)

  • Jung, Eun-Joo;Jeong, Myung-Yung;Kim, Chang-Seok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8 no.2
    • /
    • pp.105-110
    • /
    • 2007
  • A tunable band-pass filter of fiber Bragg gratings incorporating the Sagnac loop interferometer configuration is presented. The proposed band-pass filter with extinction ratio 20 dB has practical advantages in terms of price and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band-pass filter using a circulator.

THE COMPARISON OF POLYMERIZATION OF COMPOSITE RESIN INFLUENCED BY CURING DEPTH AND SHADE (광중합 복합레진의 색상과 깊이에 따른 중합도의 비교)

  • Choi, Kung-Ho;Lee, Ju-Hyun;Park, Ho-W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1 no.2
    • /
    • pp.280-289
    • /
    • 2004
  • Adequate polymerization is a crucial factor in obtaining optimal physical properties and clinical performance of resin composite restorative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shade and depth on dental composite resin polymerized with plasma arc curing unit employing FTIR and microhardness. From this experi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The light transmission and microhardness by mode 6 in plasma arc curing were similar to by 20 secs in halogen light curing. 2. The experimental groups of A1, A2, A3, A3.5 were not signifcant difference to light transmission and microhardness on surface and 2mm depth, but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n 3mm and 4mm depth. Especially light transmission and microhardness were small in darker shade and deeper thickness. 3. Compared with depth cure, uncured monomer amount increased at more than 2mm depth. 4. The light transmission by FTIR and polymerization by microhardness were significant corelation.

  • PDF

열처리에 따른 ITO 박막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

  • 이재형;박용관;신재혁;신성호;박광자;이주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00.02a
    • /
    • pp.72-72
    • /
    • 2000
  • ITO(Indium-Tin-Oxide)는 n-type 전도 특성을 갖는 산화물 반도체로서 가시광 영역에서의 높은 광투과율 및 낮은 전기 비저항을 나타내기 때문에 태양전지,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의 투명전극 재료, 전계 발광(electroluminescent) 소자, 표면발열체, 열반사 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겟 제작에 드는 비용을 줄이고, 타겟 이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의 세라믹 타겟 대신 분말 타겟을 사용하여 유리 기판 상에 ITO 박막을 DC magnetron sputtering법에 의해 제조하고, 열처리 온도 및 열처리 분위기에 따른 ITO 박막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10$0^{\circ}C$이하인 경우 열처리하지 않은 시편과 동일하게 In2O3의 (411)면에 해당하는 peak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20$0^{\circ}C$의 온도로 열처리 할 경우 (411)면 peak의 세기는 상대적으로 감소하고 대신 이전에 나타나지 않았던 (222)면에 대응하는 peak 세기가 현저하게 증가함을 알 수 잇다. 이것은 ITO 박막의 경정성장이 열처리 전 (411)면 방향으로 이루어지나 20$0^{\circ}C$의 온도로 열처리 후 재결정화에 의해 (222)면 방향으로의 우선방위를 갖고 성장함을 의미한다. 또한 주로 높은 기판온도에서 관찰되었던 (211), (400), (411), (440), (622)면 등에 해당하는 peak가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열처리 온도를 더욱 증가시킴에 따라 결정구조에는 큰 변화 없이 (222)면 peak 세기가 증가하였다. 한편 열처리 온도를 더욱 증가시킴에 따라 (222)면 peak 세기가 상대적으로 조금 감소할뿐 XRD회절 결과에는 큰 변화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기판을 가열하지 않고 증착한 ITO 박막의 재결정화에 필요한 최소의 열처리 온도는 20$0^{\circ}C$이며, 그 이상의 열처리 온도는 ITO박막의 결정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열처리 전 비저항은 1.1$\times$10-1 $\Omega$-cm 의 값을 가지거나 10$0^{\circ}C$의 온도로 열처리함에 따라 9.8$\times$102$\Omega$-cm 로 약간 감소하였다. 열처리 온도를 20$0^{\circ}C$로 높임에 따라 비저항은 급격히 감소하여 1.7$\times$10-3$\Omega$-cm의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열처리 온도가 10$0^{\circ}C$인 경우 가시광 영역에서의 광투과율은 열처리하지 않은 시편과 비교해 볼 때 약간 증가하였다. 열처리 온도는 20$0^{\circ}C$로 증가시킴에 따라 투과율은 크게 향상되어 흡수단 이상의 파장영역에서 90% 이상의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광투과율의 향상은 앞서 증착된 ITO 박막이 열처리 중 재결합에 의해 우선 성장 방위가 (411)면 방향에서 (222)면 방향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열처리 온도를 20$0^{\circ}C$이상으로 증가시켜도 광투과율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Ti:PPLN Šolc-type Integrated Optical wavelength filters utilizing polarization-mode conversion for WDM optical networks (편광모드 회전을 이용한 WDM 광 네트워크용 Ti:PPLN Šolc-형 집적광학 파장필터에 관한 연구)

  • Jung, Hong-Si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9 no.4
    • /
    • pp.161-168
    • /
    • 2009
  • We demonstrated $\check{S}$olc-type wavelength filters in periodically poled Ti-diffused lithium-niobate channel optical waveguide (Ti:PPLN). A $\check{S}$olc-type transmission spectrum based on the polarization-mode conversion was observed experimentally in PPLN with period 16.6${\mu}m$. A reasonable explanation of such a phenomenon was presented. A polarization-mode converted transmission peak was observed at wavelength 1272.49nm. The FWHM and sidelobe of spectrum are about 0.23nm and 7 dB, respectively.

  • PDF

Optical properties of potassium lithium niobate single crystal grown by TSSG method (TSSG법에 의해 육성한 KLN 단결정의 광학적 성질)

  • Tsuguo Fukuda;;Makiko Hashimoto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 /
    • v.5 no.1
    • /
    • pp.19-24
    • /
    • 1995
  • Large size potassium lithium niobate (KLN) crystals with dimensions of $8{\times}6{\times}2 mm^3$ were grown by the top - seeded solution growth (TSSG) method. The 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 $n_e$at the second harmonic frequency for KLN crystal depends on the composition and decreases in this crystal due to the large Li content. KLN crystal was characterized by observation in UV - VIS spectrometry. It is transparent from the ultraviolet to infrared spectral regions that the transmission limit and cut- off wavelength are about 350 and 380 nm.

  • PDF

스퍼터 증착으로 형성된 선택적 투과막의 광학적 특성 평가

  • Jeong, So-Un;Bang, Gi-Su;Im, Jeong-Uk;Lee, Seu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226-227
    • /
    • 2011
  • 금속 산화물 계 선택적 투과막을 투명 태양전지 내에 채용함으로서 태양전지의 변환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입사된 빛이 파장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되는 특성을 갖는 선택적 투과막은 가시광선은 투과시키고, 적외선 영역은 광흡수층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선택적 투과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atomic layer deposition (ALD)이 널리 알려져 있고 최근에 기존의 ALD에 비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스퍼터 (sputter) 증착을 이용하여 Al 및 Ti 산화물 계선택적 투과막을 형성한 결과가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퍼터 증착으로 형성된 Al-Ti-O(ATO) 박막의 투과율과 반사율을 UV/vis spectro 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증착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투명 태양전지에 적용하기 적합한 광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선택적 투과막을 얻고자 하였다. 스퍼터링 전력을 다르게 하여 Al과 Ti의 조성비를 조절함으로써 ATO 박막의 가시광선 대역 투과율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Photoluminescence Property of Polymer Coated Porous Silicon (폴리머로 코딩된 다공질 실리콘의 광 루미네센스 특성)

  • Ahn, Jong-Pil;Kang, Moon-Sik;Min, Nam-Ki;Kim, Su-K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c
    • /
    • pp.1463-1465
    • /
    • 2001
  • 다공질 실리콘을 대기에 노출시켰을 때 시간이 경과하면, 초기의 발광 특성이 변화하는 aging effect가 있다. 다공질 실리콘을 광 센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기 중에 노출한 후 시간이 경과해도, 동일한 파장을 유지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체의 투과성이 낮고, 빛을 잘 투과시키는 폴리머들을 이용하여 다공질 실리콘 표면에 보호막으로 코팅하였다.

  • PDF

PET에 증착된 Al:ZnO 투명발열체 박막

  • 한길진;김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5.09a
    • /
    • pp.133-136
    • /
    • 2005
  • 스퍼터링 공정으로 Al이 $2\%$ 함유된 ZnO 박막을 PET에 증착하여 김서림 제거용 투명발열체를 제작하였다. 증착된 투명발열체는 $5\;{\times}\;10^{-3}{\Omega}\;cm$ 의 비저항과 $80\%$ 이상의 가시광 투과도를 나타내었고, 조도는 12.5nm로 양호하였다. 투명발열체의 비저항, 가시광 투과도, 그리고 조도는 각각 Hall 계수 측정장비, IR-VIS-UV spectrophotometer, 그리고 AF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증착된 투명발열체에 12V의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표면의 온도는 평균적으로 1분에 약 $10^{\circ}C$ 증가하였다.

  • PDF

Evalu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Light Transmitting Concrete using TiO2 Photocatalyst (이산화티탄 광촉매 적용 광투과 콘크리트 역학특성 평가)

  • Seo, Seung-Hoon;Kwon, Shi-Won;Oh, Sang-Keun;Kim, B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3-64
    • /
    • 2019
  • Due to the rapid deterioration of the domestic atmosphere, people are suffering from inconveniences such as wearing fine dust masks all the time during outdoor activities. In this study, light transmitting concrete, LEFC(Light Emotion Friendly Concrete), using TiO2 photocatalyst was produced.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LEFC where acrylic rods are inserted require self-consolidating performance, the purpose was to utilize UHPC(Ultra High Performance Concrete) materials to obtain high-flowability. Further,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were evaluated to prevent the reduction of epidemiological performance by utilizing UHPC materials. As such, a basic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LEFC materials using photocatalyst that can purify the air and stimulate human sensibility.

  • PDF

Photocatalyst Applied Light Transparent Exposed Concrete Block and Mold Development (광촉매 활용 광투과 노출콘크리트 블록 및 거푸집 개발)

  • Seo, Seung-Hoon;Kang, Young-Un;Jeon, Seung-Heon;Kwon, Shi-Won;Kim, B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8.11a
    • /
    • pp.16-17
    • /
    • 2018
  • A few years ago, the rapid degradation of domestic air quality has led to the efforts of exhaust gas policy and fine dust mask, but it is not a fundamental measure. In Korea, photocatalyst will be applied to residential and multi-use facilites to purify indoor and outdoor air. Also, in this study, it is tried to produce exposed concrete that is aesthetically pleasing as well as air purification of indoor by combining with light transparent concrete according to the increasing interest in human indoor living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we have developed a block formwork for photocatalysis light transparent concrete and established a suitable manufacturing method for on-site constru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