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조사야

검색결과 2,732건 처리시간 0.036초

수종의 광중합기에 의한 복합레진 중합시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MICROLEAKAGE IN RESIN COMPOSITE POLYMERIZED WITH VARIOUS LIGHT CURING UNITS)

  • 박성진;김대업;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04-610
    • /
    • 2005
  • 현재 광중합 복합레진은 치아의 수복을 위하여 많이 사용되며 복합레진이 많이 사용되는 만큼 광중합을 위한 광중합기도 다양하게 사용된다. 하지만 광중합기에 따른 복합레진의 미세누출은 아직 연구대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중합기에 따라 발생하는 미세누출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으로 최근에 개발된 광중합기의 중합능력을 전통적 인 할로겐 광중합기와 비교하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지던 저출력 할로겐 광중합기(Optilux 360), 일반 플라즈마 아크 광중합기(Flipo). 저발열 플라즈마 아크 광중합기 (Aurys), 고출력 LED 광중합기 (Freelight 2)를 사용하였다. 건전한 유구치에 와동을 형성한 후 복합레진(Z100)을 동일한 레진 접착제 (Scotchbond Multi-Purpose)를 사용하여 충전한 후 각 광중합기를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중합시켰다. 광중합기의 광조사 시간은 제조사에서 복합레진의 광중합을 위해 권장하는 시간으로 Optilux 360은 40초, Flipo는 5초, Aurys는 9초, Freelight 2는 20초간 조사하였다. Optilux 360만 광강도의 변화가 없는 광조사 방식이며 그 외 광중합기들은 광강도가 광조사 중에 증가되는 soft-start 광조사 방식이다. 각 시편을 증류수에 24시간 보관 후 열 순환을 1000회 시행한 후 2% methylene blue용액으로 색소침투를 시켰으며 각 시편을 절단하여 색소침투 정도를 점수화시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미세누출을 각 점수화하였을 때 Aurys가 평균 0.95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고 Freelight 2(1.05), Flipo(1.25), Optilux 360(1.30)의 순이었다. 하지만 각 광중합기군 간의 값에서는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P>0.05).

  • PDF

기내에서 Light-Emitting Diodes(LEDs)를 이용한 광질과 광조사 방법이 사과 토양병원균의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 (In Vitro Effect on Light Qualities and Lighting Types Provided by Light-Emitting Diodes (LEDs) for the Mycelia Growth of Soil-Borne Fungal Pathogens in Apple)

  • 이성희;권의석;신현만;장후봉;남상영;홍의연;차재순;허정욱
    • 식물병연구
    • /
    • 제22권2호
    • /
    • pp.100-106
    • /
    • 2016
  • 본 연구는 LEDs를 이용한 광질과 광조사 방법이 사과나무를 고사시키는 토양병원균 4종의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P. cactorum KACC40166 (역병균), A. rolfsii KACC40170 (흰비단병균) 및 H. mompa KACC40836 (자주날개무늬병균) 균주는 광조사 방법 간에 차이 없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 간 10% 이내의 차이로 유사한 균사생장을 보였다. 그렇지만, R. necatrix KACC40168 (흰날개무늬병균) 균주의 균사생장은 광조사 방법 간에 공통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LED 청색광, 청색+녹색 혼합광, 청색+적색 혼합광 및 형광등 조사에서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R. necatrix KACC40168 균주의 멜라닌 색소는 광조사 방법과는 상관 없이 LED 녹색광과 형광등 하에서 상대적으로 강하게 발현된 반면에, LED 적색광과 대조구에서는 유도되지 않았다. 더욱이, R. necatrix KACC40168 균주의 균사 폭은 광조사 방법 간에 공통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LED 청색광과 청색+녹색 혼합광에서 유의성 있게 얇아졌다.

LED 광원이 느티만가닥버섯 균의 균사 생장과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D LightIrradiation on the Mycelial Growth and Fruit Body Development of Hypsizygus Marmoreus)

  • 김민경;이용국;서건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2권1호
    • /
    • pp.99-112
    • /
    • 2020
  • LED 광원이 느티만가닥버섯 재배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6종의 파장이 다른 NUV(wave length 405nm), blue(wave length 460nm), green(wave length 530nm), yellow(wave length 590 nm), red(wave length 630nm), white(wave length 6500K) 광을 조사하면서 균사 생장 및 자실체 생육과 수량을 조사하였다. 1. 느티만가닥버섯균의 균사 생장에는 광이 필요하지 않지만, red 광 처리구에서 암조건과 비슷한 균사 생장을 보였다. 그러나 blue, green, yellow 광 처리구에서는 암배양보다 약 30~40%의 균사 생장 저해를 보였다. 2. LED 광이 느티만가닥버섯의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암조건에서는 자실체 발달이 안 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느티만가닥버섯의 자실체 생육에는 광 조사가 꼭 필요하다. 단파장인 blue와 green광, 복합광인 white을 조사한 처리구에서 자실체 갓과 대 발달이 안정적이면서 수량이 우수하였다. 장파장인 red 와 yellow 광 처리구에서는 갓 발달과 색택이 불량하고, 대는 길고 꼬임 등의 기형을 보였다. 3. 단일광 조사만으로는 우수한 품질의 버섯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어렵고, 각 생육 단계마다 효과가 있는 광을 조사하는 것도 어렵다. blue와 green, white, red 광을 조합하여 생육 기간 동안 혼합광을 조사하여 갓과 대의 균일성 및 갓 색택, 수량을 분석한 결과, 가장 이상적인 LED 광 조합은 blue와 white 광이었다.

드론기반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식생유무에 따른 하천 수심산정 기법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depth measurement method for vegetation streams using drone-based hyperspectral image)

  • 권영화;김동수;유호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88-88
    • /
    • 2022
  • 하천법 개정 및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정으로 하상변동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의무화 되었고, 지자체가 계획적으로 수자원을 관리할 수 있도록 제도가 마련되고 있다. 하상의 지형측량은 직접 측량할 수 없기 때문에 수심 측량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방법은 레벨측량이나 음향측심기를 활용한 접촉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접촉식 수심측량법은 자료수집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공간해상도가 낮고 연속적인 측량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LiDAR나 초분광영상을 이용한 원격탐사를 이용한 수심측정 기술이 개발되고있다. 개발된 초분광영상을 이용한 수심측정 기술은 접촉식 조사보다 넓은 지역을 조사할 수 있고, 잦은 빈도로 자료취득이 용이한 드론에 경량 초분광센서를 탑재하여 초분광영상을 취득하고, 최적 밴드비 탐색 알고리즘을 적용해 수심맵 산정이 가능하다. 기존의 초분광 원격탐사 기법은 드론의 경로비행으로 획득한 초분광영상을 면단위의 영상으로 정합한 후 특정 물리량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으며, 수심측정의 경우 모래하천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하상재료에 대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수심산정 기법을 식생이 있는 하천에 적용하고, 동일지역에서 식생을 제거한 후의 2가지 케이스에 대해서 시공간(Spatio-temporal)초분광영상과 단면초분광영상에 모두 적용해 보았다. 연구결과, 식생이 없는 경우의 수심산정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식생이 있는 경우에는 식생의 높이를 바닥으로 인식한 수심이 산정되었다. 또한, 기존의 단면초분광영상을 이용한 수심산정뿐만 아니라 시공간 초분광영상에서도 수심산정의 높은 정확도를 보여 시공간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하상변동(수심변동) 추적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새로운 광증감제의 양에 따른 치과용 Bis-GMA 복합수지의 중합효율 (Photopolymerization Efficiency of Bis-GMA Dental Resin Composites with New Photosensitizers)

  • 선금주;정종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9-195
    • /
    • 2009
  • 치과용 가시광선 종합형 복합수지의 광중합효율을 높이기 위해 합성한 bis-GMA 레진에 2종의 새로운 광중감제인 PD, DA를 넣고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광중감제인 CQ와 조사시간 및 광중감제의 양을 증가시키며 광중합효율을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간은 결론을 얻었다. 1. Bis-GMA의 합성여부를 적외선 흡수 분광법, 핵자기공명 흡수법 등 분광학적인 방법으로 확인하였으며 핵자기 공명 흡수법으로 확인한 결과 이성질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2. 조사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광중감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광중합효율이 점차 증가되었으며, 약 60초까지 조사였을 때에는 광중합효율이 급격히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 조사하여도 광중합효율이 크게 증가되지 않았다. 3. 같은 시간 조사하였을 경우 대체적으로 광중합효율이 증가되었으나 CQ와 DA의 경우는 3.0 mol% 첨가하였을 때에 비해 6.0 mol% 첨가되었을 때의 광중합효율이 오히려 더 낮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다. 4. 같은 시간동안 조사하고, 같은 양의 광중감제를 첨가하였을 경우 DA < CQ < PD 순으로 광중합효율이 높게 나타나서 CQ에 비해 PD를 첨가하였을 때의 광중합효율이 높게 나타났다. 5. 이상의 결과로부터 PD가 CQ를 대체할 수 있는 효율이 좋은 새로운 광중감제로서 사용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광생물반응기내 광조사 유형별 탈황 효율 (Desulfurization efficiency in photobioreactors dependent on the irradiation type of light sources)

  • 안진영;김병우
    • 청정기술
    • /
    • 제6권1호
    • /
    • pp.71-78
    • /
    • 2000
  • 본 연구는 광합성 균주인 C. thiosulfatophium을 이용한 황화수소의 생물학적 탈황공정시 광에너지를 저감시키기 위해 광원의 종류와 광조사 유형에 따른 탈황효율을 조사하였다. 광에너지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반응기내 광분산 효율을 극대화시켜야 한다. 광이용효율을 높이기 위해, 세균농도와 생성부산물의 증가에 의한 빛의 산란과 흡수가 세균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와 미생물이 필요로 하는 파장의 빛을 최대로 공급하기 위해 LED, 백열등, 태양광 등을 이용한 광원의 최적화 연구, 그리고 외부조사형 광반응기의 광투과 효율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광섬유를 이용한 내부조사형 광반응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PDF

고출력 NDIR 가스센서를 위한 새로운 optical cavity 설계 (Design of novel optical cavity for NDIR gas sensor with high output power)

  • 유선화;이승환;권광호;민남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641-1642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NDIR(non dispersive infrared absorption) 가스센서의 소형화와 저가화를 목표로 2개의 오목 거울을 이용한 새로운 광 공동(optical cavity) 구조를 제안하고, 구조에 따른 광 출력 특성을 시뮬레이션하였다. Optical cavity는 광 경로증가 및 광 집속 구조로 설계하고, 각각의 출력단에서 검출되는 광 출력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광 집속 구조의 팡 출력이 더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집광구조에서의 광 출력을 최대로 하기 위해 광의 초점을 찾아보았다. 집광 구조를 사용하지 않는 단순 평행 광이 조사되는 경우, 적외선 센서부에 입사되는 광 출력은 최대 0.024W이다. 그러나 집광구조에서는 optical cavity의 광축에서 센서의 위치를 $15\sim20mm$까지 변화시켜 시뮬레이션한 결과 거리 18.83mm 일 때 조사되는 광 출력이 약 0.153W로 약 7배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 PDF

전자빔 조사에 따른 Flexible ITO Film의 특성 향상에 대한 연구

  • 황진예;남상훈;김용환;송기문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581-581
    • /
    • 2013
  • ITO (Indium Tin oxide)는 비화학 양론적 조성을 띄는 n-type 반도체 특성이 있으며 가시광 영역(380~780 nm)의 파장에 대한 높은 광 투과도(>85%)를 가지며 비교적 높은 전도도(${\sim}10^4/{\Omega}-cm$)를 갖고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투명전극 박막으로 많이 사용되어왔다. 또한, PET film은 전기절연성, 내후성이 우수하고, 85%의 투과율을 보이는 특성에 의하여 Flexible display의 기판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PET film에 ITO를 증착하여 광 투과도와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Flexible display의 투명전극으로 많은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Flexible ITO 박막의 특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200^{\circ}C$ 이상의 열처리 공정이 필요하지만, PET는 약 $200^{\circ}C$ 이상에서 열 변형이 일어나므로 열처리 공정이 어렵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ITO/PET film에서 PET film의 변형 없이 ITO 박막의 표면에 전자빔 형태로 조사하여 박막의 물성을 개선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1]. 본 연구에서는 ITO/$SiO_2$가 증착된 PET film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ITO 박막의 물성 변화를 관찰하였고, 전자빔 에너지 변화 및 전자빔 조사 시간에 따라 ITO film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구조적 특성은 XRD (X-ray diffraction), 전기적 특성은 4-point probe, Hall measurement를 이용하였으며, 가시광영역의 광 투과도는 UV-Vis spectrometer로 측정하였다. 전기 광학적 특성 변화는 Figure of Merit (FOM) 수치로 분석하였다. 이 실험으로 PET film에 직접적인 열을 가하지 않으면서 ITO 박막의 표면에 전자빔을 조사 하여, 박막의 전기전도도 및 광 투과율, 결정성 향상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Trial to Identify Irradiated Corn Powder by Viscometric and Pulsed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PSL) Methods

  • Yi, Sang-Duk;Chang, Kyu-Seob;Yang, Jae-Seu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2-87
    • /
    • 2001
  • 본 연구는 점도 측정법과 광여기발광법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된 옥수수분말의 검지를 시도하였으며, 이전의 연구에서 수행되지 않은 다양한 rpm에서의 검지 가능성과 저장기간에 따른 광여기발광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옥수수분말은 polyethylene bag으로 포장하였고, Co-60 감마선 조사시설을 이용하여 1, 2, 3, 5, 7, 10 및 15kGy로 조사하였다. 점도측정 시료는 증류수를 가하여 현탁하고 알카리화 한 후에 RV 3 spindle이 장착된 Brookfield DV-III rotation viscometer를 이용하여 3$0^{\circ}C$에서 30초 동안 30, 60, 90, 120, 150, 180 및 210 rpm 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광여기발광 측정은 시료(5 g)의 전처리 없이 직접 광여기발광기에 넣은 후에 측정하였다. 모든 시료의 점도는 조사선량과 stirring speeds (rpm)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조사선량과 점도간의 높은 상관성을 보여 주었다. 방사선 조사된 옥수수 분말의 광여기발광은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1개월후에도 암실조건에서의 광여기발광은 조사직후의 시험구에 비하여 감소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점도 측정법과 광여기발광법은 방사선 조사된 옥수수분말의 조사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검지법으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진공관형 태양열집열기의 성능분석 (Analysis of the Performance of Solar Collector with Evacuated Tubes)

  • 이귀현;임대식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8-166
    • /
    • 2002
  • 진공관형 태양열집열기의 집열성능 및 집열특성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집열성능 실험을 통하여 진공관형 태양열집열기의 순간집열효율이 60%로 높게 나타났다. 2) 진공관형 태양열집열기의 집열특성 실험에 의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circled1 경사각 0$^{\circ}$일 때 집열기에 조사된 광 강도는 630W/m$^2$이었으며, 5시간 24분의 광 조사 후 초기온도에 비해 물탱크내의 물 132$\ell$를 8.1$^{\circ}C$ 상승시켰다. \circled2 경사각 $10^{\circ}$일 때 광강도는 615W/m$^2$이었으며, 5시간 24분의 광 조사 후 초기온도에 비해 물탱크내의 물의 온도를 7.3$^{\circ}C$ 상승시켰다. \circled3 경사각 20$^{\circ}$일 때 광 강도는 605W/m$^2$이었으며, 5시간 24분의 광 조사 후 초기온도에 비해 물탱크의 물 132$\ell$을 6.6$^{\circ}C$ 상승시켰다. 집열기에 대한 솔라시뮬레이터의 경사각이 작을수록 광 강도가 커 물탱크내의 물 온도를 크게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