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원제어기

Search Result 5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LED Current controller development Using Buck Converter (벅 컨버터를 이용한 LED 전류제어기 개발)

  • Lee, Yong-Jae;Kim, Jin-Bae;Kim, Chun-Sung;Lim, Sang-Kil;Park, Sung-Jun;Lim, Young-Cheo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427-428
    • /
    • 2011
  • 조명용 LED 시스템은 크게 LED 광원과 이 광원을 구동하기 위한 Power부로 구성되며 LED를 이용한 조명용 광원을 구성할 경우 LED 자체가 점광원이므로 면광원 구성을 위해서는 많은 수의 LED Array 구성이 필요하다. LED Array 구성에 있어 직 병렬 구성 및 조합은 직류 공급 장치의 출력 사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전류변동을 보상하기 위한 DC/DC 컨버터 구조를 제안한다. 컨버터의 Base 입력전압 최대치는 온도변화에 대한 전류변동의 최저치가 되며, 온도변화에 따른 전압 조정을 위한 컨버터는 0~6[V]만을 제어함으로서 낮은 전압으로 전류를 제어하고, 결과적으로 효율을 증대할 수 있을 거라 예상된다.

  • PDF

Multi Channel Optical Source Controller Design Using $I^2$ C Bus Interface ($I^2$ C Bus interface를 이용한 다채널 광원 제어시스템 설계/구현)

  • 염진수;류광열;허창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11a
    • /
    • pp.539-542
    • /
    • 2002
  • 본 논문에서 는 64채널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용 광원(Optical Source)을 구현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I$^2$C Bus interface를 이용한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채널은 독립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각각 Laser Diode 구동 회로와 마이크로프로세서, A/D 및 D/A 컨버터로 구성하였으며, 또한 각 채널들은 하나의 I$^2$C Bus를 통해 주 제어기와 연결된다 주 제어기는 RS-232 및 LAN을 통해 틀어오는 사용자의 명령을 I$^2$C Bus를 이용하여 각 채널에 전달하고, 채널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RS-232C 및 LAN을 통한 PC와의 전송속도는 57600BPS로 구현하였다.

  • PDF

Barium atomic beam generation and atomic velocity selection (복사가열방식 오븐에 의한 배리움 원자빔 발생과 공명 형광의 광자수 셈 방법에 의한 배리움 원자빔의 밀도 및 속도분포 측정)

  • 박상범;안경원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72-73
    • /
    • 2000
  • 단원자를 이용한 Cavity-QED 실험을 통해서 광자 수상태 및 sub-poissonian 광원 구현 및 비고 전적인 광 특성을 가지는 광원등을 구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오랫동안 공진기 안에 포획하거나, 빔의 형태로 단원자들이 일정시간 동안 공진기를 지나게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안정한 원자빔 속도제어 실험에 관한 것으로 자체 제작한 원자빔 오븐의 특성과 원자빔 속도 선택기의 제작, 속도 선택 결과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중략)

  • PDF

Using High Brightness LED Light Source Controller for Machine Vision (고휘도 LED를 이용한 머신비전용 조명광원 제어기 개발)

  • Park, Yang-J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4
    • /
    • pp.311-318
    • /
    • 2014
  • This paper is to introduce a lighting source controller using high brightness LED to create a clear and reliable condition for an accurate measurement and testing, which is a core technology in clinical image system and mechanical automation system. This controller is designed to supply a stable power in a constant-current system by installing a high brightness LED driver, and to improve the reproducibility of brightness by using 32-bit ARM processor core, dividing brightness quantity into 256 levels, making the remote control and the external interface possible, and preventing and digitizing the brightness inaccuracy caused by errors of resistance values. This controller enables the lighting range to be wide and possible in a low lighting level compared to analog, adds the RS-485 communication function, and makes it for the users to control the on-off function and the dimming level by receiving date from an external device.

Development of the light control system of LED using solar energy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LED 조명제어시스템 개발)

  • Ahn, I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299-300
    • /
    • 2011
  • 태양에너지를 에너지 공급원으로 하고 LED 램프를 조명용 광원으로 사용하여 적은 전력 소모와 연장된 램프의 수명으로 에너지 소모를 크게 줄이고, 유지 보수 관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LED 조명제어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점등 회로, 구동회로 등의 최적화된 설계와 구성으로 광 변환 효율을 높여 소형화, 경량화 되도록 하고, 환경 친화적인 조명 광원으로서 효율적인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 PDF

제어용 교류 전동기의 기술동향

  • 이광원
    • 전기의세계
    • /
    • v.34 no.4
    • /
    • pp.220-224
    • /
    • 1985
  • 제어용 전공기에 관한 외국의 활발한 연구개발 노력에 비하여 우리나라 전동기 산업은 아직까지 전력용 전동기 위주였고, 대학에서의 교육도 전력용 전동기의 원리에 관한 것이었다. 이것은 전력용 전동기가 산업용으로 기본적이고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보산업의 발전과 자동화의 추세에 따라 제어용 전동기의 이용과 보급이 격증하고 있고 우리산업도 선진국 대열에 진입해야 할 단계에 있으므로, 첨단산업 분야의 제어용 전동기 기술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trol and Management System for Water Culture Device using Solar Tracking Method (광원 트래킹 기법을 이용한 수경재배기 제어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Park, Sung-Kyun;Jung, Se-Hoon;Oh, Min-Joo;Sim, Chun-Bo;Park, Dong-Gook;You, Ka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9 no.2
    • /
    • pp.231-242
    • /
    • 2014
  • It is throwing the spotlight on the cultivation crops about high quality crops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per unit area because of rapid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Therefore, we propose a water culture management of circulation nutrient method control system applies to solar tracking method not using traditional method of deep flow technique and artificial light source. We design it in the form of the circulation nutrient method in waterway of a certain amount of nutrient solution and water flowed into the way of circular. In addition, we design a multistage structure in pyramid shape which be possible continuous photosynthesis action to crops of water culture bottom part. Also, solar tracking method is designed five sensor method of center hole sensor method for tracking shadow of solar light not using traditional two hole, four hole sensor method. Finally, through the water culture device applies to solar light tracking method was not introduced in existing study yet, we can reduce growth speed of crops which be possible continuous photosynthesis action to crops. Moreover, We can expect high productivity of per unit area which be possible all crops can be offered growth environment of same type by using form of pyramid shape of multistage structure without top or bottom part.

생산공장의 제어.측정장치에 관한 실태조사

  • 오명환;이광원
    • 전기의세계
    • /
    • v.19 no.5
    • /
    • pp.17-20
    • /
    • 1970
  • 최근 우리나라의 제반 생산공정이 자동화되어감에 따라, 연간 백만불을 넘는 제어용기기가 외자도입형식 또는 무역거래에 의해서 미국이나 일본등지로 부터 도입되고 있다. 조사자들은 일차적으로 생산공장에서 사용중인 제어 및 보호용기기류에 대한 기술적 현황을 알고자, "국내의 주요 생산공장에서 사용하는 측정계기 및 제어기기의 실태조사서"(1969. 9. 10)를 이용하여 기업체의 견해를 묻는 한편 직접적인 기업체 방문을 통하여 실태를 관찰하였다. 이 조사자료가 앞으로의 계속적인 조사사업을 위한 토대가 되고, 제어기기 및 측정용기계기구등의 국산화 연구용 참고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면 기쁜일이라고 생각한다.일이라고 생각한다.

  • PDF

Acousto-Optic Wavelength-Tunable Bandpass Filter (음향광학 파장가변 대역투과 필터)

  • 이명수;황인각;김병윤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0.08a
    • /
    • pp.146-147
    • /
    • 2000
  • 광 대역투과 필터$^{(1)(2)}$ 는 WDM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선별에 사용되거나 좁은 선폭의 광원을 제작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광원의 파장을 분석하는 광스펙트럼 분석기나 광섬유 센서 시스템에서 신호처리용 파장 필터 등으로도 널리 쓰이고 있는 중요한 광소자 중에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코어 모드감쇠기와 음향광학 가변 필터$^{(3)}$ 를 사용하여 새로운 전광섬유 형태의 광 대역투과 필터를 구현하였다. 본 광 대역투과 필터는 필터의 중심 파장 및 필터의 투과율을 전기적으로 쉽고 빠르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Battery Charging Converter for MPPT Control of Lase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레이저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MPPT 제어를 위한 배터리 충전 컨버터 개발)

  • Lee, Seongjun;Lim, Namgyu;Choi, Wonseon;Lee, Yongta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20.08a
    • /
    • pp.334-33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레이저 광원을 적용한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PV 모듈의 출력 특성을 분석하고, PV 모듈로부터 최대 전력을 발생시키면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는 컨버터 개발 결과를 제시한다. 먼저, 특정 파장에서 최대전력이 발생되도록 개발된 PV 수신모듈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였고, 레이저에 공급되는 전력 크기에 따른 PV 모듈의 전압-전류의 특성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전압/전류 특성 데이터로부터 PV 수신모듈의 소신호 저항을 분석하였고, 이를 컨버터 회로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제어기 설계를 위한 시스템의 전달함수를 유도하였다. 이로부터 레이저 일사량에 따른 전류원/전압원 전영역에서 PV 모듈의 입력전압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기를 설계함으로써 레이저 수신용 PV 모듈이 최대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MCU 제어기반 25W급 배터리 충전용 부스트 컨버터의 프로토타입 제품을 통해 실험 검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