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역지역청

Search Result 87,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case study on the building of integrated CCTV control center at Busan metropolitan city (부산광역시 CCTV통합관제센터구축 사례연구)

  • Kwon, Chang-Hwan;Seo, Chang-Gab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9 no.3
    • /
    • pp.191-202
    • /
    • 2011
  • Public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have been installing CCTV cameras for the prevention of crime, traffic jam, and unauthorized waste. Additionally, national government agencies and schools, a special corporation by special law, local construction and industrial company installed CCTV cameras of their own and are operating them. Various types of CCTV systems disclosed technical heterogeneity. In February, 2011,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presented guidelines for building an integrated control center. This study examines the case of Busan by using the administrative guidelines. Busan integrated CCTV control center among themselves, police agency and fire department. This study looks into the potential problems with the integration process of CCTV cameras and proposes a solution to them.

현상설계경기 - 상무고등학교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2 s.322
    • /
    • pp.102-103
    • /
    • 1996
  • 광주광역시 교육청에서는 새로 세울 '상무고등학교' 현상설계경기를 실시, 프러스건축(대표 조두상)안을 당선작으로 선정, 지난 95년 12월 23일 발표했다. 이번 현상설계경기는 사회환경과 경제적 상황 그리고 교육시스템의 변화 등에 따른 교육환경개선 요구에 부응하고, 장차 열린 학교로서 가변성 있는 공간계획을 고려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장소로 계획되어져 총 6개 사무소에서 참여했다. 가작으로는 신이건축(대표 신안준)안이 선정됐다.

  • PDF

제8차 아카시아 포름

  • Kim, Ji-Deok;Lee, Jeong-Geun;Baek, Gyeong-Guk;Han, Seon-Jeong;Hong, Man-Sik
    • Korean Architects
    • /
    • no.2 s.322
    • /
    • pp.104-114
    • /
    • 1996
  • 광주광역시 교육청에서는 새로 세울 '상무고등학교' 현상설계경기를 실시, 프러스건축(대표 조두상)안을 당선작으로 선정, 지난 95년 12월 23일 발표했다. 이번 현상설계경기는 사회환경과 경제적 상황 그리고 교육시스템의 변화 등에 따른 교육환경개선 요구에 부응하고, 장차 열린 학교로서 가변성 있는 공간계획을 고려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장소로 계획되어져 총 6개 사무소에서 참여했다. 가작으로는 신이건축(대표 신안준)안이 선정됐다.

  • PDF

Election Promises on Library Fields of the Candidates and Implementation of Their Promises of the Elected Heads of Daegu Metropolitan City in the 5th Local Election (대구지역 자치단체장 후보자와 당선자의 도서관 공약 제시 및 이행 분석 -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중심으로 -)

  • Cho, Yong-Wa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4 no.4
    • /
    • pp.153-180
    • /
    • 2013
  • This study explored election promises on library fields by the candidates for the mayor, the educational superintendent and the chiefs of district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nd implementation of their election promises by the elected heads of Daegu Metropolitan City in the 5th local election of Korea. To do this, election promises of 36 candidates were analyzed by investigating the official gazettes for elections deposited in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of Korea. Also, the implementation of their promises of 11 elected heads was analyzed by searching through the official websites, news databases and internet. As a result, election promises and implementation by the candidates for the mayor and the educational superintendent were mostly insufficient both in quality and in quantity. 54% of all candidates for the chiefs of districts presented election promises that were mostly related with construction of public libraries and installation of small libraries. Some elected chiefs actively implemented their promises, while the other elected chiefs did not fulfill their promises.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Flood Risk Matrix in Urban Area (도시지역의 홍수위험 매트릭스 개발 및 활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 Choi, Youngje;Ahn, Jaehwang;Cha, Daeseong;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4-64
    • /
    • 2019
  • 도시지역은 인구 및 사회인프라시설 등이 밀집되어 있어 홍수 발생 시 타 지역에 비하여 큰 피해가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7년 부산 지역과 2018년 서울 지역에 시간당 최대 100 mm 이상의 강우가 발생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도시홍수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수방시설물의 유지관리 뿐만 아니라 한정적인 물자와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홍수예보 방안이 필요하며 정확도 높은 기상예보가 수반되어야 한다. 현재 지자체에서는 기상청의 기상특보를 활용하여 홍수대응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는 전국적으로 동일한 기준으로 각 지역의 홍수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정확도 높은 기상예측을 위해 다양한 기상 수치예보모델을 활용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기상상황을 정확히 예측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수치예보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영국에서는 강우 앙상블 자료를 활용한 영향예보 도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영향예보란 단순 기상상황 뿐만 아니라 기상현상이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수준과 그 위험수준이 발생할 확률을 함께 예보하는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지역을 대상으로 과거 피해 발생 강우량 및 지역의 확률강우량 등을 활용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총 4단계의 강우기준을 제시함과 더불어 기상현상의 발생확률을 조합한 홍수위험 매트릭스(Flood Risk Matrix)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홍수위험 매트릭스의 활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2016년, 2017년 기상청에서 산출한 국지규모 앙상블예측시스템(Local Ensemble Prediction System, LENS)의 강우 앙상블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짧게는 24시간 전, 길게는 72시간 전에 홍수피해 발생의 예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지역을 확대하여 각 지역에 적합한 홍수위험 매트릭스를 개발하고, LENS자료를 활용한 활용성 평가를 통해 실무에 적용 가능한 홍수예보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PDF

Proposal of Improved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Satellite Imagery for Disaster Management (재난관리분야 위성영상 활용성 및 적용성에 관한 제언)

  • Cho, Myeong Heum;Park, Young Jin;Kim, Kye Hy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64-64
    • /
    • 2011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구제역, 화산, 지진재해 등 장기적이고 광역적인 재해 재난의 심각성을 반영하는 듯 다양한 기술개발과 재난관리 적용성에 관한 연구가 전개되고 있다. 그 가운데 인공위성에 대한 가치와 활용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로 신속한 재난대응 및 광역적 피해지역에 대한 조기분석 등에 관한 다양한 지원체계구축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재해 재난에 대한 인공위성의 활용성 및 실무적 대안마련에 대한 검토가 시작되고 있으며, 특히 재해시 영상의 확보 및 분석과 의사결정지원 등 재난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정부부처의 활용방안 마련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재난총괄기관인 소방방재청은 국립방재연구소에 방재영상분석팀을 신설하였다. 2010년 1월 HAITI 지진피해, 2010년 12월 삼척 산불모니터링, 2011년 1월 포항 폭설피해 등의 재해 재난 분석을 통해 의사결정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위성영상 분석기술은 국외기관과 비슷한 실정이나, 본질적으로는 영상촬영 및 수급문제 해소에 있다고 하겠다. 현재, 지구관측센터(KEOC) 및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도 이와 같은 수급체계에 대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점은 재난관리업무 담당자로서 고무적이고 개선에 대한 희망이 밝다. 향후 본 연구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재난관리업무에 있어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선제적이고 과학적인 재난관리기법이 개발되고 방재분야의 위성영상활용의 위상이 높게 제고 되었으면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인공위성들을 대상으로, 시 공간 해상도별 분포도를 작성하여 인공위성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소방방재청에서 2010년 10월에 가입한 국제재해관리를 위한 위성영상활용 협력기구인 International Charter에서 재해 재난관련 위성영상 분석 및 현황을 조사하여 재난유형별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사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위성영상을 통한 재난관리 분야에 적합한 업무 프로세스를 도출하였다. 또한, 재해발생지역에 대한 신속한 위성영상의 확보와 정량적 피해규모 파악에 따른 응급 복구지원이 가능한 대응전략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 PDF

The Study on Hypertension Cure Rate Management Centering around Wellness Local Community : With GwangJu as a Central Figure (웰니스 지역사회 중심의 고혈압 치료율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중심으로)

  • Yang, Yu-Jeong;Park, Jong-Ho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5 no.8
    • /
    • pp.351-361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of hypertension treatment in Gwangju and to establish a hypertension cure rate management plan by using local community health surveys to provide the hypertension cure rate management plan centering around the wellness local community. The research collected 13,714 Gwangju research data among a total of 685,820 local community health surveys of KDCA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from 2017 to 2019. Among the data, 2,941 subjects, those with diagnosed hypertension aged over 30,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rough SAS 9.4, SAS Enterprise Miner 15.1.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differences in hypertension diagnosis cure rate in Gwangju based on the subject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were shown in gender, age, marital status, level of educational attainment, economic activity status, and monthly incom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ypertension cure rate based on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were shown in current smoking, monthly alcohol consumption, high-risk drinking, breakfast, recognition of good health level, diabetes and treatment, annual unmet medical needs, and annual health center use. As a result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interactive decision tree analys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hypertension treatment, the research found that the factors that appear are age, marital status, diabetes and treatment, and annual unmet medical needs. Accordingly, to increase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hypertension treatment to people of young ages and not to develop complications, public health-educational effort in Gwangju is needed with an effective preparation plan.

An Analysis of Local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the Public Library: Focusing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공공도서관 관련 자치법규 분석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

  • Yoon,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6 no.2
    • /
    • pp.281-300
    • /
    • 2012
  • This study suggests the basic data of the establishment and revision of local laws and regulations by analyzing the status and content of local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Daejeon Metropolitan City. For this purpose,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ype, nature, and procedure of establishing local laws and regulations. Secondly,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 of local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public libraries classified into three parts, that is, metropolitan governments, local governments and school districts. Finally, this study points out the problems and solutions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administration, the rank and position of library directors, and the organizations of public libraries.

강우에 의한 부존특성별 지하수위 변화 연구

  • Jang, Yong-Sik;O, Yun-Geun;Jeong, Gwa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80-81
    • /
    • 2005
  • 제주도는 2004년 12월 말 현재 6,054공의 지하수가 개발되어 있고 개발량은 약 8,600 천톤/일이다. 2001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제주도 광역수자원본부의 관측공과 제주지방기상청의 4개 기상관측소, AWS의 시간강수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에 의한 지하수 부존형태별 수위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강우 영향범위를 결정하기위해서 Thiessen법을 이용하였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ArcInfo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강수량은 2000년, 2001년도에 최근 5년간 평균 강우량보다 적었고 2002년, 2003년 2004년도에 평균 강우량보다 많았다. 특히 2003년도에는 469.9mm나 많아 다른 연도에 비해 높은 수위를 보였다. 상위지하수 지역의 수위는 3.1${\sim}$29.5m 상승하였고, 기저지하수 지역의 수위는0.8${\sim}$4.2m상승하였고, 준기저지하수 지역의 수위는 1.2${\sim}$13.3m 상승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Forest Fire Surveillance Cameras - Case study on Samcheok City - (산불감시카메라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삼척시를 중심으로 -)

  • Kang, Sung-Chul;Lee, Si-Young;Lee, Byung-D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468-471
    • /
    • 2012
  • 본 연구는 삼척시를 중심으로 행정구역별(읍 면 동) 산불발생 현황과 삼척시 지역에 필요한 산불감시카메라의 적정대수 산정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개별 카메라는 중첩되는 곳이 있어 가시권이 확보된 곳으로 이동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감시가 취약한 지역에 신규로 설치할 경우에는 인접한 기관(지자체 및 지방산림청)간의 감시시설과 감시지역 중복여부, 감시시설 위치의 타당성 등은 물론 어디에 우선하여 설치할 것인지를 광역적이고 과학적으로 판단하며 설치해야하며, 삼척시의 경우 설치 적정대수를 산정한 바, 최소한 32대 이상은 되어야 가장 효율적인 산불감시체계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