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역보정시스템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Progress of Wide Area Differential GNSS Development Project (광역보정시스템 (WA-DGNSS) 구축기술 개발 사업 경과)

  • Yun, Ho;Han, Dukhwa;Kee, Chang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43-34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국토해양부 해양교통시설과의 연구개발과제인 '광역보정시스템(WA-DGNSS) 구축기술개발' 과제의 현재까지 진행사항과 주요 연구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연구개발과제에서는 전국토에 균일한 정확도, 가용성 및 무결성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광역보정시스템의 핵심알고리듬을 개발하고 지상기반 데모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여 최종 년도에는 의사위성을 통한 실시간 데모를 실시할 예정이다. 또한 미래 다중 GNSS에 대비하여 GLONASS 및 Galileo를 포함하는 광역보정시스템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하였다. 본 과제에서 개발된 연구 결과들은 알고리즘 설명서 및 핵심기술권고사항으로 문서화되어 2014년부터 진행될 위성기반 광역보정시스템(SBAS)의 개발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 PDF

광역보정시스템(WA-DGNSS) 전리층지연 오차추정 알고리듬

  • Yun, Ho;Kim, Do-Yun;Gi, Chang-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23-325
    • /
    • 2011
  • 광역보정시스템은 기존의 NDGPS 방식과 달리 GPS 측정치 오차를 기준국을 기준으로 스칼라량으로 계산하지 않고, 전리층 지연 오차의 경우 전리층 분포 맵을 생성하고 위성관련오차의 경우 4차원(x, y, z, t) 보정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광역보정시스템은 기존의 NDGPS 방식보다 적은 수의 기준국으로 보다 넓은 지역을 커버할 수 있고 광역보정사용자는 기준국과의 거리와 관계 없이 균일하고 우수한 수준의 보정정보 및 무결성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광역보정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전리층 지연 오차 추정 알고리듬에 대해 설명하였다. 기준국 측정치를 이용해 전리층 분포 맵을 생성하기 위해 핵심적인 단계인 위성 및 기준국 수신기 IFB(Inter-Frequency Bias) 제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격자 알고리듬을 활용한 전리층 맵 생성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그 결과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Message Scheduling Algorithm for Wide Area Differential GNSS Considering International Standard (국제표준을 고려한 광역보정시스템 메시지 스케쥴링 기법 연구)

  • Han, Deok-Hwa;Yoon, Ho;Kee, Chang-Do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5 no.4
    • /
    • pp.517-522
    • /
    • 2011
  • Global Navagation Satellite System(GNSS) is divided into Local Area Differential GNSS and Wide Area Differential GNSS. Wide Area DGNSS has more complicated structure and massage type. And transfer rate is limited, so efficient message scheduling algorithm is needed to guarantee user's accuracy and integrity. There are about 30 message types in Wide Area DGNSS. Each message type has different update interval.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s of message scheduling algorithm for Wide Area Differential GNSS are investigated. For all message types, results show that max update time interval requirement is satisfied.

기준국 네트워크 선정에 따른 GNSS 광역보정시스템 성능 분석

  • Han, Deok-Hwa;Yun, Ho;Gi, Chang-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108-110
    • /
    • 2013
  • GPS 신호에는 여러 가지 오차가 포함되어 사용자가 이를 그대로 이용할 경우 높은 정확도의 위치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신호의 오차를 제거하고 높은 위치 정확도를 얻기 위하여 여러 가지 보정시스템들이 개발되어왔다. 그 중에서 광역보정시스템은 여러 개의 기준국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3차원 위성궤도 오차, 위성 시계오차, 서비스 지역의 전리층 지연 오차를 추정하여 사용자에게 보정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보정정보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에 맞는 오차정보를 계산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광역보정시스템의 성능은 기준국의 배치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적절한 기준국 선정을 위해서는 기준국 네트워크 변화에 따른 성능 분석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토해양부 NDGPS 기준국 중에서 후보군을 선정한 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기준국 네트워크 변화에 따른 사용자 정확도, 가용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제 기준국에서 수집된 측정치를 처리하여 성능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Pseudolite-based Wide Area Differential GPS (WA-DGPS) Development and Primary Results (의사위성 기반 광역보정시스템(WA-DGPS) 구축 기술개발 및 성과)

  • Park, Hwang-Hun;Jo, Hak-Hyeon;Yun, Ho;Kee, Changdo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3
    • /
    • pp.263-267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the progress and the plan of 'Wide Area Differential GPS (WA-DGPS) Development' project supported by Korean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 project develops the main algorithms of the WA-DGPS which guarantees the improved accuracy, availability, and integrity 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establishment of WA-DGPS ground infrastructure system, a real-time demonstration using pseudolite installed on the ground will be conducted in the final year. Also, the development of Korean Satel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SBAS) is expected to be started from 2014, and the algorithms and the results in the WA-DGPS project will be used in the SBAS development.

국제표준을 고려한 광역보정시스템 메시지 스케쥴링 기법

  • Yun, Ho;Han, Deok-Hwa;Gi, Chang-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26-328
    • /
    • 2011
  • 광역보정시스템의 국제 표준 메시지는 정지궤도위성을 통해 250bps의 속도로 방송되며, 하나의 메시지가 250bit를 차지하기 때문에 1초에 하나의 메시지만 방송된다. 이 중에서 메시지 헤더 등을 제외한 실제 데이터는 212bit를 이루고 있고 제한된 데이터 전송률로 인하여 광역보정표준메시지의 효율적인 방송이 필요하다. 광역보정표준메시지는 30개에 가까운 메시지 타입이 있다. 각 메시지 타입마다 방송되어야 하는 주기가 다르고, 사용자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긴급 메시지 등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방송되어야 하는 메시지의 우선 순위가 달라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광역보정표준메시지의 메시지별 전송간격 요구조건을 만족시키면서 사용자의 정확성 및 무결성을 최대한 향상시키기 위한 메시지 스케쥴링 기법을 설명하고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여준다.

  • PDF

Performance Verification of Korean Wide Area Differential GNSS Ground Segement (한국형 광역보정시스템(WA-DGNSS) 지상국 성능 검증)

  • Yun, Ho;Han, Duk-Hwa;Kee, Chang-Do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1
    • /
    • pp.49-54
    • /
    • 2013
  • This paper describes the progress and results of 'Wide Area Differetial GNSS (WA-DGNSS) Development' project which is supported by Korea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his project develops the main algorithm of the WA-DGNSS which can guarantee the improved accuracy, availability and integrity all over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establishment of WA-DGNSS ground system, a real time demonstration using pseudolite will be conducted. Product of this project will be directly utilized in Korean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SBAS) development project which is planned to be started from 2014.

Performance Verification of Psudo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Using RF signal logger and broadcaster (RF 신호 수집/방송 장치를 활용한 의사위성 기반 광역보정시스템의 후처리 성능 검증)

  • Han, Deokhwa;Yun, Ho;Kee, Changd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103-104
    • /
    • 2014
  • Wide Area Differential GNSS(WA-DGNSS) was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and integrity performance of GNSS. In Korea, WA-DGNSS development project, which aims to develop core algorithms and verify the performance using pseudolite-based demo system, is currently in progress. In this paper, overall structure of developed system and experimental methods which enables the post-processing test with commercial receiver will be described. In this system, pseudolite is used to broadcast augmenting signal and RF signal logger and broadcaster were used to test the performance. Performance test was conducted broadcasting the logged RF signal and pseudolite signal to commercial receiver and those results will be described.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WA-DGNSS in Korea with the selection of reference stations (한국에서의 기준국 네트워크 선정에 따른 GNSS 광역보정시스템 성능 분석)

  • Han, Deokhwa;Yun, Ho;Kee, Changdo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7 no.4
    • /
    • pp.367-373
    • /
    • 2013
  • Wide area differential GNSS(WA-DGNSS) collects GPS measurements from the several reference stations and estimates 3-D satellite orbit error, satellite clock error, ionospheric delay. These correction messages are broadcasted to user, then user can have more accurate and reliable position estimates. The performance of WA-DGPS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reference stations. To select proper reference stations, performance analysis with the change of reference stations is necessary. In this paper, chang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reference stations, we carried out simulation based test and show the performance of WA-DGNSS in Korea.

Performance Verification of Psudolite-based Augmentation System Using RF signal logger and broadcaster (RF 신호 수집/방송 장치를 활용한 의사위성 기반 광역보정시스템의 후처리 성능 검증)

  • Han, Deok-Hwa;Yun, Ho;Kim, Chong-Won;Kim, O-Jong;Kee, Chang-Do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4
    • /
    • pp.391-397
    • /
    • 2014
  • Wide Area Differential GNSS(WA-DGNSS) was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and integrity performance of GNSS. In this paper, overall structure of Pseudolite-Based Augmentation System(PBAS) and experimental methods which enables the post-processing test with commercial receiver will be described. For generating augmenting message, GPS measurement collected from five NDGPS reference stations were processed by reference station S/W and master station S/W. The accuracy of augmenting message was tested by comparing SP3, IONEX data. In the test, RF signal of user was collected and correction data were generated. After that, RF signal was broadcasted with pseudolite signal. Test was conducted using three commercial receiver and the performance was compared with MSAS and standalone user. From the position output of each receiver, it was shown that improved position was obtained by applying augmenting mes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