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역배후수송도로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부산항 물동량 처리를 위한 광역배후수송도로의 건설계획과 시행실태 분석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Plan and Enforcement Condition of the Port Circular Highway for Cargo Transportation of the Pusan Port)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13-322
    • /
    • 1999
  • Pusan the principal port of South Korea, has opened its door since 1876. Currently, the four-stage port construction project is under way to handle ever-growing marine transportation volume. While the port unloading capabilities are increasing the infrastructure to deal with all the transportation volume failed to catch up with them. Accordingly the city had to suffer from worst traffic congestion on due to the increasing container traffic volume causing logistical costs to ri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spect the enforcement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plan and suggest systematical and effective ways to improve the plan. The study focused on :\circled1The decision-making procedure, \circled2Financial resource for the plan, \circled3Effectiveness of the project enforcement, and \circled4Who will be in charge of the project. As a result from the study, these following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plan. First, Pusan Port Infrastructure consisting of (Inter-city Free way, Belt Highway and Outer Highway) should be immediately legally-regulation project. Second, the method to finance the project should be deter-mined and investment consultation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the city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should be also made. Measures to make the central government budget allocation for the project mandatory should be discussed. Third,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can be doubled by gradually or partialyl opening the routes based on long-term or short-term operating plans. Fourth, The organizer of the project should be appointed, or a special task-force team in charge of the plan can be formed.

  • PDF

인천광역시 지역물류정책의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riority of the Local-Logistics Policy in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 노경준;송상화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9-77
    • /
    • 2016
  • 본 연구는 Fuzzy AHP와 IPA 분석을 이용하여 인천광역시 지역물류계획의 주요정책 가중치를 도출하고 현재수준을 포트폴리화 하여 향후 정책방향의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전문가와의 Indepth-Interview를 통해 가중치와 현재수준에 대해 가능한 객관적으로 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IPA 분석결과 국제물류거점 조기확충, 광역간선도로망구축, 인천지역교육기관의 전문화 및 특성화는 현상유지 및 지속적인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지역물류유통단지조성사업, 항만배후수송망 개선, 인천항 항만배후단지 활성화,등은 개선보다는 현재의 수준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인천시물류정보DB활성화, 화물차전용차로, 전용출입로 도입, 종합물류지원센터 설립 등 은 점진적인 투자나 개선이 필요하다. 물류 R&D사업발굴 및 역량강화, 항공물류전문기업 도입과 네트워크구축사업은 중점적인 예산투입과 관심등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 물류정책이 기반시설이나 항만물류에 전통적으로 중점을 두고 있으며, 앞으로 글로벌 물류거점도시가 되기 위해서는 현재정책을 유지하면서 항공물류전문기업 도입과 물류정보화사업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북극해 항로시대와 강원권 항만의 복합운송 물류네트워크 구축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lti-modal Transport Logistics Network Buildup of Harbors in Gangwon in the North Pole Route Era)

  • 김재진;이광근;조진행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09-126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까지 이루어진 북극해 항로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강원권 항만의 이니셔티브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극해 항로시대에 유라시아에서 한반도 전체의 물류효율화를 위한 강원권 항만의 복합운송 물류네트워크 구축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원권 지역의 철도 중심의 교통인프라 확충 노력을 지속적으로 시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강원도 항만들의 기능을 1항 1특화 기능으로 분담하고 철도중심의 배후 교통망을 이용하여 항만들 간의 연계성을 강화시킬 필요성이 있다. 셋째, 강원도 동해안에 지정된 EFEZ의 산업개발과 북한 극동러시아, 북극해의 자원을 연결하는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넷째, 국내 극지 탐사선인'아라온 호'의 출항 기지를 유치하여 강원도 항만들이 북극해 항로에 대한 선제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현재 건설 중인 삼척 LNG 기지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강화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여섯째, 탄소배출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친환경 수송기술 도입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검토가 요구되어 진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도권(광역 경제권) ${\leftrightarrow}$ 강원권 도로, 철도 ${\leftrightarrow}$ 강원권 항만 ${\leftrightarrow}$ TSR, 북극해 항로 ${\leftrightarrow}$ 유럽을 연결하는 최적의 북방 물류 루트를 개척하는 것이 가까운 장래 국가 무역경쟁력을 강화 시키는 지름길이라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