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야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4초

대학교육에서의 교육적 커리큘럼으로써 광야학습경험의 효과 연구 (Research on the Impacts of Wilderness Learning Experiences as an Educational Curriculum in Higher Education)

  • 이종민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9권
    • /
    • pp.105-137
    • /
    • 2022
  • 본 논문은 야외광야교육의 특성과 야외광야체험이 고등교육 참여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 번째 부분에서는 야외광야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적인 공통 요소를 다룬다. 예를 들어 불균형 상태의 모험 또는 자기 발견, 임시공동체의 책임을 위한 소그룹 역동, 실제 상황에서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한 문제 해결 프로세스, 고독에서의 통합을 위한 솔로 시간, 지도력 스타일과 트립 지도자의 역할 등이다. 이러한 야외광야 프로그램의 다섯 가지 공통적 요소들은 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의 성격에 따라 각자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적 메커니즘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소개한다. 그다음으로 두번째 부분에서는 야외광야교육이 각각의 목적에 따라 세 가지 범주로 활용되고 있음을 소개한다. 예를 들어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 개인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 그리고 전문 교육 프로그램이다. 그리고 고등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각각의 프로그램들을 통해 참여자들이 누리고 있는 교육적 효과에 대해 소개한다. 그리고 결론에서 기독교 교육자들이 실제 광야 경험을 활용하여 자신들이 추구하는 사명과 목표에 따라 전인적인 성장을 위한 개발 프로그램으로 구상하는데 필요한 영적 형성 프로그램에 대한 지침을 제안하였다.

한국 대중가요(K-Pop) 안에서의 '광야'(KWANGYA) 이미지: 성서적 광야신학과의 상징적 공통점 연구 (The Image of 'KWANGYA' in Korean Pop Music (K-Pop): A Study of Symbolic Commonalities with Biblical Wilderness Theology)

  • 안정도;서재덕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9권
    • /
    • pp.243-271
    • /
    • 2024
  •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한국 대중가요(K-Pop)에 나타난 '광야'(KWANGYA) 이미지와 성서적 광야신학 간의 상징적 공통점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현대 대중문화와 고대 종교 문헌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며, 성서의 광야 서사가 현대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새롭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이육사, 김민기, 에스파(aespa) 등이 노래하는 한국 대중가요 속 세계관에 나타난 '광야'의 이미지를 분석하며, 이 이미지가 성서적 광야의 상징성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고찰한다. 성서에서 광야는 시련과 극복, 영적 성장과 자기 발견, 혼돈과 질서의 공존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이러한 특징들은 일제 강점기 이육사의 시 '광야' 뿐만 아니라, 1970-80년대 민중가요, 그리고 2020년대 K-Pop 노래 속 광야 이미지에서도 공통으로 관찰된다. 특히, K-Pop에서의 광야는 주인공들이 다양한 도전과 시련을 겪고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영적 성장과 자기 발견을 이루는 상징적 공간으로 활용된다. 이를 통해 현대 대중문화와 고대 종교 문헌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며, 성서의 광야 서사가 현대 청소년들에게 어떻게 새롭게 받아들여질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한다. 결론 및 제언 : K-Pop의 광야는 청소년들이 겪는 시련과 자기 발견, 영적 성장을 상징하며, 성서의 광야가 그러하듯 혼돈 속에서 질서를 찾아가는 과정을 담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대중문화와 종교적 상징이 상호작용을 하며 현대적 의미를 창출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성서의 메시지가 오늘날의 문화 속에서 어떻게 재해석되고 수용되는지를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현대 기독교 교육에서도 성서의 상징을 새로운 문화적 맥락에서 재조명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