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산 활동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도곡 Au-Ag-Cu광산 및 화천 Au-Pb-Zn광산 주변지역 중금속의 화학적 형태 및 오염 특성

  • 이성은;전효택;이진수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93-96
    • /
    • 2003
  • 국내 휴ㆍ폐금속광산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광산활동으로 인한 독성 중금속 원소들의 주변 환경 유출과정 및 정도를 규명하여 생활에 미치는 환경오염의 가능성을 조사하는 환경지구 화학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중의 대부분은 적절한 환경복원시설이 설치되지 않아, 방치된 광미와 폐석에 의해 주변지역의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외의 경우 광산활동의 주요한 폐기물인 광미와 폐석에 대한 매립 및 처리 모델 개발, 침출수 관리 등 다양한 환경오염 방지 및 복구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중략)

  • PDF

일본광산업의 현황과 전망

  • Korea Association for Photonics Industry Development
    • Photonics industry news
    • /
    • s.1
    • /
    • pp.51-59
    • /
    • 2000
  • OITDA에서는 1980년7월 설립이래 매년 관계위원의 정력적인 활동으로 광산업동향에 관한 조사를 수행해 왔고 산업동향의 기초자료로서 높은 평가를 받아 왔다. 7개의 분야별 조사전문위원회와 통계해석전문위원회를 설치 운영해 왔으나, 2000년부터 통계해석전문위원회 중에 광산업세계시장조사 워킹그룹을 새로 설치해서 광관련 제품의 세계시장에서의 향후 10년에 걸친 수요동향을 파악하고 세계시장에서의 일본의 자리매김을 명확히 할 목적으로 활동을 개시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특허기술로 본 광산업의 동향과 한국의 광산업동향을 조사해서 21세기 초두의 일본의 광산업을 전망했다. 분야별 광기술 동향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로 미루고 이번호에서는 광산업의 시장동향에 대한 OITDA 발표자료와 2000년도 광산업동향세미나 내용에서 지면관계상 일부내용을 발췌하여 정리했다. OITDA에서 통계로 삼고 있는 광산업동향은 ‘광전현상을 이용한 부품 또는 이것들을 핵심부품으로 사용하는 기기 장치’를 광산업으로 분류하고 있다. 여기에서 보여주고 있는 일본 생산은 품종에 따라서 해외생산이 증가함으로써 발생한 일본내의 생산이 감소한 경우도 순순한 일본국내생산만을 통계로 삼고 있다.

  • PDF

진흥회 활동

  • Korea Association for Photonics Industry Development
    • Photonics industry news
    • /
    • s.1
    • /
    • pp.6-7
    • /
    • 2000
  • PDF

Surface Change Detection in the March 5Youth Mine Using Sentinel-1 Interferometric SAR Coherence Imagery (Sentinel-1 InSAR 긴밀도 영상을 이용한 3월5일청년광산의 지표 변화 탐지)

  • Moon, Jihyun;Kim, Geunyoung;Lee, Hoonyol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3
    • /
    • pp.531-542
    • /
    • 2021
  • Open-pit mines require constant monitoring as they can cause surface changes and environmental disturbances. In open-pit mines, there is little vegetation at the mining site and can be monitored using InSAR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 coherence imageries. In this study, activities occurring in mine were analyzed by applying the recently developed InSAR coherence-based NDAI (Normalized Difference Activity Index). The March 5 Youth Mine is a North Korean mine whose development has been expanded since 2008. NDAI analysis was performed with InSAR coherence imageries obtained using Sentinel-1 SAR images taken at 12-day intervals in the March 5 Youth Mine. First, the area where the elevation decreased by about 75.24 m and increased by about 9.85 m over the 14 years from 2000 was defined as the mining site and the tailings piles. Then, the NDAI images were used for time series analysis at various time intervals. Over the entire period (2017-2019), average mining activity was relatively active at the center of the mining area. In order to find out more detailed changes in the surface activity of the mine, the time interval was reduced and the activity was observed over a 1-year period. In 2017, we analyzed changes in mining operations before and after artificial earthquakes based on seismic data and NDAI images. After the large-scale blasting that occurred on 30 April 2017, activity was detected west of the mining area. It is estimated that the size of the mining area was enlarged by two blasts on 30 September 2017. The time-averaged NDAI images used to perform detailed time-series analysis were generated over a period of 1 year and 4 months, and then composited into RGB images. Annual analysis of activity confirmed an active region in the northeast of the mining area in 2018 and found the characteristic activity of the expansion of tailings piles in 2019. Time series analysis using NDAI was able to detect random surface changes in open-pit mines that are difficult to identify with optical images. Especially in areas where in situ data is not available, remote sensing can effectively perform mining activity analysis.

광산업백서 발간과 그 의미

  • Lee, Gi-Tae
    • Photonics industry news
    • /
    • s.33
    • /
    • pp.6-7
    • /
    • 2006
  • 한국광산업진흥회에서는 광산업 육성 및 조기 발전을 통한 세계 5위권 광 선진국 목표 달성 비전을 제시하고, 광산업 분야별 현황과 향후 전망을 보여줌으로써 광산업체ㆍ정부기관ㆍ유관기관ㆍ관련 연구소등에서 정책 및 연구, 경영활동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의 활용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광산업 육성사업 1단계(2000년~2003년) 사업 추진 실적 및 2단계 (2004년~2008년) 육성 계획에 대한 내용을 집대성한 ‘광산업백서’를 발간하였다.

  • PDF

A Study on Chemical Compositions of Sediment and Surface Water in Nakdong River for Tracing Contaminants from Mining Activities (광해오염원 추적을 위한 낙동강 지역 퇴적물 및 하천수의 화학조성 연구)

  • Kim, Jiyun;Choi, Uikyu;Baek, Seung-Han;Choi, Hye-Bin;Lee, Je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7 no.4
    • /
    • pp.211-217
    • /
    • 2016
  • There have been found mine tailings, wastes, and mining drainage scattered in the area of Nakdong River due to the improper maintenance of the abandoned mines. These contaminants can flow into rivers during the heavy rain periods in summer. Along the study area beginning Seokpo-myeon, Bonghwa-gun of Gyeongsangbuk-do untill Dosan-myeon, Andong-si, there are one hundred five mines including sixty metalliferous mines and forty-five nonmetal mines, which can adversely affect the adjacent rivers. To verify the contamination, we collected sediments, seepage water and surface water for a year both in rainy season and dry season. This study found that sediments,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caused by mining activities, are dispersed throughout the entire river basin (68 sample points with pollution index, based on the concentration of trace element, (PI) >10 among the total of 101 samples). The results of river water analysis indicated the increased concentrations of arsenic and cadmium at branches from Seungbu, Sambo, Okbang and Janggun mine, which concerns that the river water may be contaminated by mining drainage and tailing sedim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ort out the exact sources of contamination in sediments and waters only by using the chemical compositions. Thus the control of mining pollution is challenging. To prevent water from being contaminated by mining activities, we should be able to divide inflow rates from each origin of the mines. Therefore, there should be a continued study about how to trace the source of contaminants from mining activities by analyzing stable isotopes.

일본 광산업기술진흥협회 주관으로 추진중인 광기술R&D 현황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112
    • /
    • pp.50-59
    • /
    • 2007
  • 일본의 재단법인 광산업기술진흥협회는 각종 조사와 테크놀로지(Technology) 로드맵 사업을 기초로 국가적 레벨에서 산학연과 함께 다양하고 강력한 광관련 기술개발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협회는 2002년도부터 5년간에 걸쳐 진행한 "광(Photonic)네트워크", "고효율 유기디바이스", "대용량 광 저장(Storge)" 등의 국가적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2007년 3월로 종료했다. 또한 2006년도부터 신규로 "저손실 옵티컬(Optical) 신기능 부재"의 연구개발을 시작했으며, 이어서 이미 지난 2002년에 완료된 "나도메타제어 광디스크시스템" 연구개발 프로젝트의 성과와 관련하여 실용화를 향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종래부터 검토.제안해온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기술개발에 대해서도 지원.협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차세대 디스플레이의 기반기술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여 보고서를 정리했다. 본 고는 앞선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통해 광기술 흐름을 살펴보고 국내업체들의 광기술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일본 재단법인 광산업기술진흥협회의 2006년도 사업보고서’ 주에서 발췌.정리한 것이다. 번역은 (주)그린광학의 유정훈 과장이 수고해 주셨다.

  • PDF

LUXKO (럭스코 - 광산업공동브랜드(LUXKO) 조달청 우수조달 공동상표 물품지정 추진)

  • 한국광산업진흥회
    • Photonics industry news
    • /
    • s.67
    • /
    • pp.20-21
    • /
    • 2011
  • 우주조달 공동상표란 중소기업자간 기술공유 및 이전, 공동생산 및 판매, 공동A/S망 활용 등 정부차원의 판로확대 및 고용창출지원을 목적으로 추진되는 사업으로서 5개 업체 이상의 중소기업자가 판매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개발 보유한 공동상표의 물품 중 참여기업간 기술개발, 생산의 효율성, 품질향상등의 시너지 효과가 크고 성능 품질이 우수한 물품을 '우수조달 공동상표 물품'으로 지정하여 정부 구매율 통한 판로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 PDF

학회순례 - 한국자원공학회

  • Lee, Jeong-In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2 s.333
    • /
    • pp.20-22
    • /
    • 1997
  • 한국자원공학회는 해방후 광업관련 협회로 활동하다 62년 한국광산학회로 새로 창립한 후 89년 현재의 자원공학회로 학회명을 바꿔 연구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현재 정회원만 1천1백70명인 한국자원공학회는 매년 6회의 학술활동과 격월로 학회지를 발행하고 있으며 작년 7월에는 한ㆍ일 공동 암반공학심포지엄을 열기도 했다.

  • PDF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the Vicinity of the Abandoned Metal Mine Areas (폐금속광산지역 중금속의 위해성 평가)

  • Lee, Jin-Soo;Kwon, Hyun-Ho;Shim, Yon-Sik;Kim, Tae-Heok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2 no.1
    • /
    • pp.97-102
    • /
    • 2007
  • An environmental survey from three abandoned metal mine areas was undertaken on to assess the risk of adverse health effects on human exposure to heavy metals influenced by past mining activities. Tailings contained high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may have a impact on soils and waters around the tailing piles. In order to perform the human risk assessment, chemical analysis data of soils, rice grains and waters for As, Cd, Cu and Pb have been used. The HQ values for heavy metals via the rice consump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with other exposure pathways in all metal mine areas. The resulting HI values in three mine areas were higher than 9.0, and their toxic risk due to rice ingestion was strong in these mine areas. The cancer risk of being exposed to As by the rice consumption from the A, B and C mine areas was $5.1\;{\times}\;10^{-3}$, $6.8\;{\times}\;10^{-3}$ and $3.1\;{\times}\;10^{-3}$, respectively. The As cancer risk via the exposure pathway of rice ingestion from these mine areas exceeds the acceptable risk of 1 in 10,000 set for regulatory purposes. Thus, the daily intakes of rice by the local residents from these mine areas can pose a potential health threat if exposed by long-term As expo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