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모듈

Search Result 84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eparation of Valuable Metal from Waste Photovoltaic Ribbon through Extraction and Precipitation

  • Chen, Wei-Sheng;Chen, Yen-Jung;Yueh, Kai-Chieh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9권2호
    • /
    • pp.69-77
    • /
    • 2020
  • 최근 급격히 증가하는 생산량과 설치로 태양광모듈의 재활용이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폐 태양광모듈의 양은 2030년에는 약 8600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모듈은 그 가운데 약 90%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결정질 실리콘 태양광 모듈은 중량비로 약 1.3%의 태양광 리본을 함유하며, 이 태양광 리본은 태양광 모듈에 함유된 대다수의 납, 주석, 구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태양광 리본으로부터 유가금속을 분리하고자 시도되었다. 샘플 분석 결과 태양광 리본은 약 82.1% 구리, 8.9% 주석, 5.2% 납, 그리고 3.1% 은을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침출 실험은 3M 염산을 사용하였고, 침출 된 은 이온은 염화은의 할로겐 화합물로 회수되었다. 구리의 경우, Lix984N을 이용해 납과 주석으로부터 분리되었고, 3M의 황산을 이용해 스트리핑 되었다. 한편, 최적 조건하에서 구리 침출 효율은 약 99.64%이었다. 납과 주석의 경우, 수소이온 농도 조절을 통해 분리될 수 있었으며, 이 경우, 회수율은 약 99%이었다.

국내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개발 및 하부 작물 생육 특성 분석 및 고찰

  • 김근호
    • 한국태양광발전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24
    • /
    • 2020
  •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농업과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동시 상생이 가능한 기술로 현재와 같은 농업 환경 및 생태계 개선 그리고 에너지 전환의 시대에 대처해야 하는 훌륭한 대안이다. 한국형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개발 및 보급을 위한 국내 첫 연구개발 사업인 농림축산식품부(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의 "한국형 태양광 이모작(농업&태양광 발전 병행) 스마트 영농 시스템 개발(과제번호: 1545015977)"과제를 통해 총 60kW급 규모의 5개소 실증단지(10kW급 3개소 신규 개발 및 구축)를 활용한 최적 시스템 개발, 6품종(벼 2품종, 감자, 배추, 마늘, 양파 및 배) 표준재배기술 도출 등을 수행하였다. 기존 태양광 발전용 모듈(72cell) 대비 half-size(36cell) 모듈 개발, 작물 별 최적 구조물(차광률 30% 미만 적용) 도출, 대상 작물 감수율 20% 미만 달성 및 표준재배기술개발을 수행하였다. 추후 장기간 동안 영농형 태양광 구조물의 경제성 확보, 시공성 개선 그리고 다양한 작물 대상 표준재배기술 최적화 등의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확산 및 보급을 위해 국가적 지원과 농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는 불가능 하다. 그리고 본 개발 기술은 농업인을 위한 기술로 범국민적인 수용성 개선 또한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정부는 영농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대한민국의 식량안보와 에너지안보를 확보를 위해 농업진흥지역에 대한 최대 20년까지 타용도 일시전용이 가능하도록 농지법 개정으로 화답 할 때이다.

부스트 컨버터가 포함된 셔플링 마이크로 컨버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huffling Micro-Converter with Boost Converter)

  • 최병민;서정원;박종후;김정열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28
    • /
    • 2013
  • 이 논문에서는 부분 그늘짐에서도 다중 태양광 모듈의 최대 전력점 추종이 가능한 셔플링 차동전력 마이크로 컨버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마이크로 컨버터 시스템은 PV에 직접 연결된 셔플링 컨버터와 이후 단으로서 부스트 컨버터가 존재한다. 셔플링 컨버터는 다이렉트-시비율 기법을 통하여 PV모듈을 최대전력으로 동작시키고, 부스트 컨버터는 전압루프를 통하여 P&O 방식으로 최대 전력점을 추종하였다. PV 모듈에 병렬로 셔플링 컨버터를 적용함으로써, 다중 태양광 모듈의 전류 편차를 차동전력으로 조절하여 각각의 최대 전력점을 추종하면서 안정된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제안하는 컨버터는 2개의 PV모듈이 연결된 정상상태 연속모드 (CCM) 160[W]급 마이크로 컨버터 하드웨어 프로토타입을 통해 동작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WDM 및 OADM으로 구성된 개선된 특성의 1310nm, 1550nm 대역 4파장 광중계기 (A 4-Wavelength Optical Transceiver with Improved Characteristics using WDMs and OADMS)

  • 이인재;이동길;최삼길;이유종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3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06-409
    • /
    • 2003
  • TFF(Thin Film Fille.) 방식의 2$\times$2 OADM을 이용하여 1510nm 파장과 1530nm 파장의 광원을 첨가하여 add/drop시킨 4 파장 광 모듈을 구성하였고 이 광모듈을 채택하여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및 셀룰러 (cellular) 이동 통신뿐만 아니라 차세대 이동 통신 방식은 IMT-2000 서비스와 다중 링크 시켜 광선로를 재활용하는 방식의 4 파장 광 트랜시버를 구현하였다. OADM을 이용한 4파장 optical signal stream을 구성하여 1510 nm, 1530 nm, 1550 nm, 1570 nm 파장에서 각각 -1.6 dBm, -1.7 dBm, -5.6 dBm, -5.8dBm의 광출력을 얻었다. 제작된 광 트랜시버의 LD 모듈에 12 V의 바이어스 전압을 사용하여 약 1.5dBm의 광 출력 특성을 얻었으며, PD 모듈의 증폭단에는 two-stage 저 잡음 증폭기를 제작하여 1.66dB의 잡음지수와 25.7 dB의 이득을 얻었다. 또한 S$_{11}$과 S$_{22}$ 그리고 입ㆍ출력 정재파비는 각각 -5.47dB, -20 dB 그리고 3.27 : 1, 1.22 : 1의 결과 값을 얻었다.다.

  • PDF

오래된 모듈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old modules)

  • 홍사근;최홍규;염성배;송영주;최영준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1-354
    • /
    • 2009
  • 화석연료의 고갈 및 환경문제로 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재생에너지중 가장 상용화된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 발전소가 생길만큼 활성화 되었다. 국내 태양광 발전용 모듈의 수명은 약 20년으로 추정되나 국내 기후 및 환경에 20년 이상 될 경우 얼마만큼 효율이 감소되는지 검증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23년된 모듈 3장을 통해 최대전력의 감소폭을 알아보았다.

  • PDF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미스매치를 보상한 새로운 최대전력추종제어 알고리즘 (A New Compensation MPPT Algorithm for Mismatched Solar Cell)

  • 심재휘;양승대;정승환;이국선;최익;최주엽;이상철;이동하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1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76-77
    • /
    • 2011
  •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태양광 모듈은 일사량과 온도에 따라 출력특성이 변하고 비선형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최대전력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컨버터에 의한 최대 전력점 추종제어가 필요하다. 특히 발전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전기적 특성을 맞추기 위해 다수의 태양모듈을 직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하는데 있어서 그림자 혹은 일부 모듈이 정상작동하지 않아 미스매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미스매치 손실을 극복하는 최대전력점을 추종하는 제어알고리즘을 설계하였고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하였다.

  • PDF

실물 실험을 통한 태양광 모듈의 표면온도와 태양광 발전량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voltaic Module Surface Temperature and Photovoltaic Power Using Real Experiment)

  • 조성우
    • 한국지열·수열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8-14
    • /
    • 2018
  • PV module power is calculated on PV module surface temperature adjustment by irradiation on the summer and autumn in NOCT(Nominal Operating Cell Temperature) conditions. The summer and autumn periods were selected because of large variation in outdoor air temperature and irradia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relationship between PV module surface temperature and photovoltaic power using field measurement. As a results, it was determined that the amount of irradiation was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photovoltaic power in the field measurement. However, it was also identified that the PV power generation decreased by increased PV module surface temperatures due to irradiation.

반사판을 이용한 저집속 집광형 태양광 모듈 제작 및 평가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Low Concentrator Photovoltaic Modules with Aluminium Reflectors)

  • 정혜정;이영우;주성민;이호재;부성재
    • 신재생에너지
    • /
    • 제4권4호
    • /
    • pp.17-22
    • /
    • 2008
  • A low concentrating (< 5X) photovoltaic module with aluminum reflectors is fabricated and evaluated which is designed to reduce the affection of the high temperature to the solar cell modules preventing the efficiency lowering. As results, the output power is increased of 1.97X from the concentrating photovoltaic module which is designed with the concentrating ratio of 2.25X and to control the module temperature cooling the module by air circulation. Also, the effect of the concentrating module with aluminum reflectors on the conventional PV module is investigated at the field. The result shows the increase of the output power more than about 20% and the improvement of the module efficiency of 1.4X in spite of the increase of average module temperature.

  • PDF

다중 태양광 모듈 발전 시스템에서 shuffling converter 캐패시터 설계 (Capacitor design of shuffling architecture for multi-module photovoltaic converter)

  • 이화석;서정원;모하나;박종후;김정렬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3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2-253
    • /
    • 2013
  • 다중 태양광 모듈 발전 시스템에서 부분 음영은 낮은 전력 회수율을 야기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shuffling 컨버터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 shuffling 컨버터 뿐만 아니라 모든 dc-dc 컨버터는 제어를 하기 위해 각 태양광 모듈마다 capacitor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shuffling 컨버터는 다른 shuffling 컨버터 동작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이를 고려한 capacitor 설계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shuffling 컨버터에서 기생저항을 포함하는 capacitor에 흐르는 전류를 분석하여 전압 리플 및 capacitance값을 설계하였다.

  • PDF

태양전지모듈의 온라인 감시 진단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On-Line Monitoring System for Solar Cell Module)

  • 이종필;김용식;지평식;임재윤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제37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설비
    • /
    • pp.49-50
    • /
    • 2006
  • 기후변화협약(교토의정서)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 의무 부담으로 친환경 대체 에너지의 확보가 시급한 실정이다. 태양광 에너지는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로 직접 변환되는 무한의 친환경 청정에너지이다.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태양전지 모듈, 축전기, 전력변환장치 등 핵심 요소 기술은 확보상태이나 태양광 발전의 양산 기술과 시스템 이용기술이 미흡하다. 특히 태양광 발전의 보급 확대에 따른 유지보수기술(진단 시스템)의 확보가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전지 모듈의 이상여부를 온라인 상태로 감시 진단하는 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