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고 발전 모델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인터넷광고자판기 시장 성공은 가능한가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Vending industry
    • /
    • v.3 no.2 s.10
    • /
    • pp.93-99
    • /
    • 2004
  • 시장은 변화를 전제로 한다. 변화 없는 시장은 도태의 깊은 수렁 속에서 헤어나기 힘들게 만든다. 반면 변화는 새로운 시장을 만들고 발전을 구동시키는 핵심요인으로 작용한다. 자판기 시장의 제품화 역시도 끊임없는 변화 속에서 시장발전을 구동해 간다. 기술은 나날이 진보를 하고 대상영역은 그만큼 확대가 된다. 자판기가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한 기능 제공을 통해 소비자와 밀착할 수 있게 만드는 상황은 모든 변화하는 자판기들의 꿈이다. 최근 자판기 시장에 있어 변화의 주 흐름을 형성하는 분야가 인터넷광고자판기 시장이다. 기존 음료자판기 시장침체와 더불어 등장한 이 제품 컨셉 군은 미래지향적 새로운 자판기 발전모델로의 부상을 꿈꾸며 회심의 시장도전을 준비 중에 있다. 금호 테마기획에서는 새로운 시장 발전 모델로서의 부상을 꿈꾸는 인터넷광고자판기 시장 성공 가능성을 진단해 본다.

  • PDF

광고와 메타버스

  • Song, Yeong-A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7 no.3
    • /
    • pp.55-66
    • /
    • 2022
  • 광고는 매체와 기술 의존적인 본질에 의해 새로운 매체와 플랫폼, 기술이 생겨나고 발전할 때마다 새로운 정의에 의해 개념지어졌다. 이 글에서는 전통적인 개념의 광고와 인터넷 시대의 광고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고, 인터넷의 진화된 버전이라 여겨지는 메타버스 내에서의 광고에 대해 논의했다. 인터렉티브 광고모델(IAM)에 따라 메타버스 이용자의 동기를 파악했고, 메타버스 내 여러 광고가 어떤 방식으로 그 동기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광고의 다양한 형식을 실제 사례를 통해 파악했다.

Effective Advertising Direction in the post-COVID-19 Era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효과적인 광고 방향에 관한 연구)

  • Lee, Jei-Young;Zheng, Zha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7
    • /
    • pp.89-101
    • /
    • 2022
  • COVID-19 is significantly changing consumers' demand and habits. In order to understand consumer characteristics and find effective advertising directions in the post-COVID-19 era, this study set young consumers who are more sensitive to market changes and technological transformation from a subjective perspective of advertising audiences. Through the Q methodology, the advertising development model in the post-COVID-19 era was derived exploratively by examining their cognitive status of advertisements in the post-COVID-19 era. The model consists of three types of advertisements: "demand mining online ads" that value consumer demand and adapt to online shopping paths, "added value creation experiential ads" that value derived value and consumer experiences, and "practical and sentimental value creative ads" based on pragmatism and emotional value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suggested for the sustainable practice of advertising in the post-COVID-19 era in various aspects, such as "seeking multidimensional values," "expanding consumer experience," and "mining and leading demand.

Proposal of new advertising Convergence profitable model of mobile game (모바일게임의 신규 광고 융복합 수익모델 제안)

  • Kim, Tae-Gyu;Heo, Tae-In;Jeong, Hyung-W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8
    • /
    • pp.431-438
    • /
    • 2015
  • Smartphone is popularized, it is a lot of development of the mobile advertising industry, is born many types of mobile advertising. Many developers in the mobile game is the advertised profitable by using the SDK of service companies that service the advertising the launch of free games. Mobile IGA banner, front advertising, we use the ad in the three forms of the front video advertising, each of advertising, hav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lthough many of the games currently use a full-page ad and front video ads, these ads profitable model is use the user game play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disadvantage of this method, Commonly used to analyze the three ad revenue model, looking for the element, by using the research result of the previous studies, we have proposed a new advertising Convergence profitable models.

HARD THINKING (자판기 상상력 - 이런 지문인식 광고커피자판기는 어떨까요? - 한 개발자가 제시하는 '프리커피'지문인식 광고커피자판기 사업모델)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Vending industry
    • /
    • v.8 no.3
    • /
    • pp.66-69
    • /
    • 2008
  • "자판기는 왜 네모나기만 하지?" "자판기는 왜 단순 물품판매 기능만 있는 거지? 다른 기능들이 있어도 좋을 텐데..." 단지 호기심어린 동심의 시각만이 아니더라도 이런 궁금증 한번 가져 봤을 법하다. "왜? 왜"하며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든다는 것은 그만큼 '블루오션'의 영역도 넓다는 얘기이다. 자판기의 경우 누구도 한계영역을 규정지어 놓은 것도 아닌데 '단순 물품판매 기능'에다 '획일적인 디자인'에 묶여 있는 게 보통이다. 새로운 시각으로 자판기를 다기능화하려는 선각자적인 시도들은 무모한 도전으로 규정지어지기 일 수이고, 이런 환경에서 자판기는 자기 복제만 되풀이 할 뿐 별다른 발전이 없게되는 상황에 이른다. 무궁무진한 아이디어 지향적이라는 특성을 장점으로 하는 자판기가 '단순 획일화'의 벽을 뛰어 넘지 못하는 게 안타깝다. 해법은 자판기 상상력이 충분히 발현될 수 있는 시장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지금 당장만 중시하는 단기적 시장논리로 자판기 가능성의 싹을 죽여 버리는 토양에서 혁신이 일어나기란 정말 힘들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금호에 소개하는 지문인식 광고 커피자판기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핵심은 이제 이런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면 하는 점이다. 허무맹랑하다고? 사업리스크가 크다고? 이런 선입견을 가지고 새로운 가치를 원천적으로 차단해 버린다면 자판기는 항상 '그 모양 그 꼴' 일수밖에 없다. 새로운 시장을 만들고 발전시키는 것은 항상 무모할 것 같은 도전에서 나온다. 이번에 소개되는 지문인식 광고 커피자판기는 현재 한 개인의 사업모델이기는 하지만 새로운 미래형 자판기 트랜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단지 개인의 발명차원의 사업모델을 소개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자판기의 새로운 가치를 찾고 영역을 확대한다는 측면에서 한번 머리를 '릴렉스'하게 해보자. 자판기 분야에 전혀 경험도 없지만 뜨거운 열정으로 지문인식 광고자판기를 특허 출원한 벤처 청년 황고연이 제시하는 "자판기 상상력"의 세계를 따라가 봤다.

  • PDF

Texture replacement technique using 3D information (3 차원 정보를 활용한 물체의 텍스처 교체 기법)

  • Kim, Joohyeon;Park, J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229-232
    • /
    • 2017
  • AR 기술과 장비가 발전하며 다양한 분야에 이를 접목한 콘텐츠들이 생겨나고 있다. 가상광고는 기존의 광고 방법으로는 적용될 수 없는 영역에도 광고가 가능함으로써 광고분야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R 환경의 가상 광고에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함으로써 관련 기술의 상용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RGB-D 카메라를 사용하여 물체의 3 차원 정보를 복원하고, 선택된 영역의 텍스처를 교체하는 기법과 모델 기반의 카메라 추적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물체의 텍스처가 교체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 PDF

A Content Analysis of Internet Banner Advertisement Between Korea and China (한국과 중국의 인터넷 배너광고 내용비교분석)

  • Feng, Jin Liang;Lee, Hong-Il;Park, Cheol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1a
    • /
    • pp.135-13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인터넷 광고 내용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로서 문헌연구를 통해 주요변수항목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측정항목을 도출하였으며 한-중간 인터넷 광고의 내용 차이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인터넷 광고 상품유형, 개인주의/집단주의, 광고소구, 소비가치, 광고컬러, 광고모델, 광고 글자 수 및 광고 컷(cut)의 길이 총 8개의 주요변수항목을 통한 분석으로 두 나라 간 인터넷 광고에 나타난 내용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양국 간 인터넷 배너광고의 특성에는 많은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그 이유는 문화적 차이, IT인프라의 차이, 산업발전단계의 차이, 그리고 소비확산단계의 차이로 해석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중국으로 진출하는 한국기업들이 인터넷 광고 전략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Smart Advertising and its Activation Plan (스마트광고의 활용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Park, Sung-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3
    • /
    • pp.33-40
    • /
    • 2013
  • The smart media has changed the patterns of advertising information consumption and media usage behavior drastically. The smart advertisements, however, have failed to perform as sophisticated as the smart devices carried out.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designed to figure out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ecosystem of smart advertising and to prepare its activation plan through a survey(FGI), which will be able to give policy suggestions about smart media and advertising. In conclusion,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proliferation of smart advertising needs to install "Smart Media Representative" which provides independable decisions on the regulation of smart advertising, the system of price, standardization of advertising, the development of various forms of advertisements, the scientific measurement of the effectiveness, the protection of privacy,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etc.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obile Advertising: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모바일 광고(Mobile Advertising)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 Yoon, Jongs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12
    • /
    • pp.139-147
    • /
    • 2013
  • As the use of wired and mobile Internet is on the increase, organizational activities for customers as well as individual life style are changing rapidly from the past. Specifically, mobile advertising in organizations thanks to remarkable growth in smartphone users, continuous development of mobile Internet technologies, and enhancement of information delivery capability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has become a competitive weapon for presenting new products and services, promoting marketing programs, and communicating with customers. The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characteristics of mobile advertising are affecting the acceptance toward mobile advertising, and to analyse if the country type of mobile Internet users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haracteristics of mobile advertising and user acceptance.

A Study on Improvement of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Based on Persuasive Communication -Focused on TV Public Service Advertisement in China- (설득 커뮤니케이션에 기반을 둔 TV 공익광고 개선방안 -중국의 TV 공익광고를 중심으로-)

  • Wen, Ke-Jing;Choi, Won-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6
    • /
    • pp.628-642
    • /
    • 2018
  • Modern TV public advertisements of China began in 1986. As messages were spread and expanded to the public through TV media, the society as a whole started to accept the public advertisements and the influence of public advertisements increased ever more. Successful persuasion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realizing the effects of TV public advertisements and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persuasion strategy at this moment when media, messages and the audience are becoming diversified. It sought to know of the present situation of China's TV public advertisements particularly from the standpoint of Chinese and analyze persuasion strategy and usage based on the theory of persuasive commun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