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고형태

Search Result 31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Typology of Mobile Advertising by mobile channel & Methods (모바일 광고 유형에 관한 연구 : 모바일 경로와 기법을 중심으로)

  • Lee, Hong-Il;Park,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6.06a
    • /
    • pp.81-108
    • /
    • 2006
  • 기존 모바일 광고에 대한 연구는 광고에 대한 현황과 시사점에 대한 연구, 새로운 광고 표현 형태에 대한 탐색적 실험연구, 모바일 광고의 효과 및 장애요인 등에 대한 제한적인 연구에 국한되어 왔다. 실제로 현 시점에서 모바일 광고 기법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분류와 실제 각각의 광고 형태별 적용가능 분야에 대한 분석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등장한 모바일 광고 기법을 종합하여 재분류하고 광고 형태별 적용 분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메시지 타입, 타겟팅, Delivery유형에 따라 분류한 모바일 광고의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실재 모바일 광고 대행사에서 사용되어지는 광고 상품을 Text, Icon, Media Contents형태로 구분하고 정보제공, 거래유도, 반응유도 및 빈도 그리고 경로 연계라는 측면에서 새롭게 구성을 시도하였다. 또한 광고 메시지 경로에 대한 각자의 광고 기법에 대한 MAP를 그려 실제적이고 실증적인 모바일 광고 체계를 발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PDF

Display Types for Alleviating Negative Attitude toward Advertisements Attached to Web Articles (인터넷 신문기사에 첨부된 광고의 거부감 경감을 위한 광고 제시 방식)

  • Yu, Hyun-Jin;Lim, Seong-Taek;Chung, Jin-Gu;Lee, Ju-Hwa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554-559
    • /
    • 2007
  • 최근 인터넷 관련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사람들의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행위들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초고속 통신망의 확산과 더불어 인터넷 쇼핑몰과 상거래시장 또한 빠르게 성장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터넷을 매체로 하는 광고기법 또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데, 인터넷을 통한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인터넷 신문기사 주변에 배치된 배너광고, 팝업광고 등 여러 가지 시도들이 있어왔다. 이러한 시도들은 인터넷 사용자의 편의에 대한 고려보다는 광고내용을 얼마나 잘 전달할 수 있는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광고내용이 잘 전달된다 하더라도 소비자가 그 광고에 대해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면 과연 인터넷 광고효과가 높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팝업광고에 대한 대응책으로 개인적으로 팝업 블록커(pop-up blocker)를 사용하겠는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사람들이 팝업 블록커를 이용해서라도 팝업광고를 피하고자 하는 비율이 77%에 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Windows XP 서비스팩 2 이후의 버전은 인터넷 사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자동 팝업 차단기능을 갖추고 있는 실정이다. 팝업광고를 통해 아무리 높은 정보전달 효과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사용자들은 팝업광고에 대하여 거부감이나 부정적 감정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광고정보가 전달된다 하더라도 팝업광고에 대한 사용자들의 불편함이 그 광고에 대한 부정적 감정으로 전이되어 광고대상에 대한 이미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광고효과는 극대화하면서, 혹은 기존의 수준을 유지하면서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줄인 광고형태를 찾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신문기사에 첨부된 광고에 대한 사용자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광고 제시 방식을 찾고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너와 팝업 등 두 가지 광고 제시 방식과 전면에 돌출하지 않는 형태로 인터넷 신문기사의 배경에 삽입된 광고 제시 방식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인터넷 신문기사 영역의 주변 특정 부분(코너나 중간 부분 등)에 광고를 삽입한 배너 형태의 광고와 인터넷 신문기사 위에 광고가 돌출 등장하여 콘텐츠를 가리는 팝업 형태의 광고 제시 방식보다 새롭게 제안된 백그라운드 형태의 광고 제시 방식이 인터넷 신문기사를 읽는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줄이며 동시에 광고효과를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인터넷 광고 제시 방식으로 활용한다면 인터넷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방해하여 발생하는 명시적인 거부감(explicit negative attitude)을 줄이면서도 암묵적인(implicit) 광고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Equity of Regulation in Advertising (광고에 있어 규제의 형평성에 관한 연구)

  • Choi, Min-W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1
    • /
    • pp.275-280
    • /
    • 2018
  •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equity of regulation in advertising. After scrutinizing asymmetric regulation in advertising, this study propose measures to increase the equity of advertising regulation. This study proposed horizontal regulation and unification of regulatory agencies as direction of increasing the equity of regulation in advertising. In order to ensure the equity of advertising regulation in the new types of media that appear in various ways, horizontal regulation that decides advertising regulation policy based on the nature of contents or service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equity of regulation in advertising, it is recommended that the advertising regulatory system be operated with integrated regulatory organization.

A study of advertisement effect according to the context, news type, and advertisement type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rticle (사회공헌활동 기사 맥락과 뉴스형태 및 광고종류에 따른 광고효과)

  • Kim, Eun Hee;Yu, Seung Yeob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9
    • /
    • pp.253-262
    • /
    • 2012
  •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differences in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and corporate image according to the context of article in web contents, banner advertisement exposure and news typ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context of Internet article on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nd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was confirmed. When the context of Internet article was negative, the news type that provides a photo with the article was more effective for the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It is estimated that when a photo is provided with an Internet article for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the level of crowdedness increases and accordingly the negative context of the Internet article is cancelled out. Second, interaction effect between news type and advertisement type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rticle and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was confirmed. In the news type that provides a photo with an Internet article, corporate advertisement was more effective for attitude towards advertisement than product advertisement. Third,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news type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y and corporate image according to advertisement type was confirmed. In the news type that provides a photo with an Internet article, product advertisement was more effective for corporate image than corporate advertisement.

A Study on the Effects of Including Types of Creative Elements in TV Advertising (핵심 크리에이티브 요소의 포함 형태에 따른 TV광고 효과 연구)

  • Lee, Heejun;Cho, Chang-Ho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1
    • /
    • pp.58-73
    • /
    • 2015
  •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ad novelty, certain types of ads are frequently created to gain consumers' attention leaving out some of the main creative elements which have generally been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producing ad effectiveness. Given circumstance, this experimental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different sets of creative elements in TV advertising; specifically, the research manipulated a TV commercial containing different types of creative elements and explored the effects on attitude towards the ad and the br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s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ad attitude and brand attitude between two groups. The group of people who watched a TV commercial including both product & non-product related elements showed higher mean attitude towards the ad. Second, the ad with both product & non-product elements led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s the ad when brand familiarity is high. Finally, the group of male participants showed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s the ad with both product & non-product related elements when brand familiarity is low. Findings from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a valuable contribution to the strategic decision-making process as ad agencies look for the basis for consideration of creative strategy in TV advertising.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obile Advertisement (모바일 광고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Lee, Seung-Hyuk;Kim, Seung-Gweon;Yoon, J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139-143
    • /
    • 2013
  • 과거의 모바일 광고에 대한 연구는 음성통화나 SMS, MMS 등의 활용에 따른 광고의 효과성을 연구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하지만, 시간의 경과 및 모바일 단말기의 발전 등에 따라 점차 예전의 모바일 광고의 형태와는 다르게 고객에게 디지털 컨텐츠, 일반 범용제품, 금융상품, 서비스 제품 등의 구매유도를 위해 메시지광고(SMS, MMS)나 고객들이 검색이나 배너, 비디오 등의 보다 다양한 광고형태를 통해 고객들로부터 기대하는 반응을 얻고자 하는 서비스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광고가 지니고 있는 대표적 특성을 개인화, 편리성, 오락성, 경제성, 신뢰성, 유용성 등으로 분류를 하고, 이러한 모바일 광고의 특성이 모바일 광고 수신자의 수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며, 나아가 모바일 광고의 수용의도가 모바일 광고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다.

  • PDF

A Study on the Message Expression Type and Brand Familiarity of Raffle Advertising (래플광고의 메시지 표현 유형과 브랜드 친숙도에 따른 광고 효과)

  • Lee, Sung Mi
    • Smart Media Journal
    • /
    • v.11 no.8
    • /
    • pp.29-36
    • /
    • 2022
  • Smart advertising in digital media has become an active research field in the past few decad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s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message expression type and brand familiarity on the effectiveness of raffle advertising. An online 2×2 between subjects experiment was constructed. The results showe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message expression type and brand familiarity on advertising attitud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인적판매원을 활용한 구매시점고광고 연구: 정보전달형태에 따른 효과 분석

  • Park, Sun-Chan;O, Sang-Do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154-156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자극하고, 판매를 촉진시켜주는 구매시점광고(POP Ad: Point Of Purchase Advertising)의 소매판매 유통점 활용영역에서 정보전달형태 변화에 따른 광고효과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의 배경과 방법은 통상의 구매시점광고가 정보전달 방법에 있어서 소비자 구매활동 장소 내 외에서 단순 비치, 설치된 상태로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착안, 광고소구형태를 시각, 청각 그리고 인적판매원이 관여된 혼합(시각, 청각)형으로 분류하여 정보를 전달 한 후 소비자의 태도 및 매출 비교를 위해 실증적 실험을 했다. 본 연구의 핵심 가설은 '인적판매원이 개입된 혼합형(시각, 청각) 구매시점광고가 소비자 태도(신뢰도/호감도/구매의도) 및 매출( + / -)영향도가 더욱 높게 나타날 것이다'이다. 이는 소비자에게 시각, 청각이 동시에 전달되는 혼합소구유형은 정보전달력이 우수하고, 광고 효과성이 높을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격 연구 전에 실시한 1차 사전적 실증 실험결과 소비자가 지각하는 관점에 따라 시각형(광고의 정보내용을 인쇄물로 제공), 청각형(광고의 정보내용을 소리전달형태로 제공), 시각, 청각 혼합형(인적판매원이 시각형 정보를 활용 광고내용을 직접 전달)분류한 3가지 유형간 정보전달 효과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생계형 소매유통 창업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소상공인들이 구매시점광고를 광고의 활용측면에서 능동형 마케팅 활동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 사례 분석을 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업종별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소상공인들의 마케팅 환경은 열악하다. 마케팅 전담 인력의 부재, 마케팅 지식의 부족, 전방위적 마케팅 전개 시간의 한계 등으로 인해 체계적으로 마케팅활동을 펼 칠 수 없는게 현실이다. 이에 현장 활용성이 높은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구매시점광고의 광고정보전달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고 보며, 이에 관한 지속적인 후행적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Efficient Use of E-mail Marketing - For Improving Customer Preference - (E-mail 마케팅의 효율적 활용에 관한 연구 - 고객선호도 제고를 중심으로 -)

  • Jung, Ho-Hyun;Yang, Kyung-Sik;Kim, Hyun-Soo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5a
    • /
    • pp.629-635
    • /
    • 2003
  • 최근 많은 기업에서 e-mail을 기업의 홍보 및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스팸메일로 인해 광고메일의 많은 장점들이 퇴색되고, 커다란 사회문제로까지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고객의 광고메일에 대한 반응율을 높이기 위해 고객이 선호하는 광고메일의 특성을 파악하고, 기업의 e-mail을 통한 마케팅 수행 시, 효과적인 광고메일의 구성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 광고메일 구성 시 고객의 반응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메일의 제목, 보낸 사람, 컨텐츠, 발송 주기 등을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메일제목의 형태는 대체로 강의나 기사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사명이나 브랜드와 같은 공신력 있는 발신자명을 사용하는 것이 실명이나 e-mail주소를 사용하는 것보다 효과적이며, 컨텐츠의 형태는 비주얼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 텍스트나 HTML형태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Analysis of Advertisement Effect in Smart Phone Environment : The Comparison of Users with Providers of Commercial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광고효과 분석 : 광고 사용자와 광고 제공자의 인식차이 비교)

  • Ha, Seong-Ho;Oh, Jun-Seok;Lee, Bong-Gyou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6 no.4
    • /
    • pp.221-239
    • /
    • 2011
  • Various applications are developed with the extension of the smart phone market. This affects the change of contents and market for mobile advertisement. Mobile advertisement has been changed from the text type in feature phone environment to banner type which are added on the applications and branded app which are application itself for commercials. This research shows the difference in views between users and professions for the factors which affects the acceptance of mobile advertisement in smart phone environment. The analysis results present two group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iews for the users' acceptances of mobile advertisement. This research provides the important factors which need to be considers in creating mobile commercials. It also suggests that professions in advertisement field have to consider the aspects of smart phone users when they create advertisements in smart phon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