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광고채널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33초

미디어환경 변화와 광고시장 전망

  • 남승용;노창희
    • 정보와 통신
    • /
    • 제28권12호
    • /
    • pp.32-41
    • /
    • 2011
  • 광고는 제조, 유통, 서비스 등의 산업에서 공급하는 재화 등에 대한 정보를 확산시키고 소비자가 이의 재화에 대한 거래를 성립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광고주가 미디어 기업 등에게 지불하는 광고비는 미디어 기업에서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 유통 할 수 있는 주요한 재원이다. 즉, 미디어는 광고주와 수용자가 공존하는 대표적인 양면시장이며 여기서 광고는 해당 시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처럼 미디어 환경과 광고산업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미디어 환경 및 광고 관련 규제에 국내 광고시장이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본고에서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중간광고, 간접광고, 종합편성 채널 PP도입, 인터넷광고 시장현황 및 전망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중간광고 등의 규제 완화는 국내 광고 시장에 직접적으로 성장 가능성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이는 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행태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종합편성 채널 PP도입은 해당 사업자가 제작비에 투자하는 정도에 따라 시청률에 영향을 주며 이의 효과로서 광고비가 증가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다만 지상파, 유료방송 고려시 순증효과와 대체효과가 공존하며 이의 결과 전반적으로 광고시장의 성장이 전망되었다.

Personalized Advertisement 어플리케이션 개발 (Application for Personalized Advertisement)

  • 박성수;정문열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137-141
    • /
    • 2004
  • 본 논문은 디지털방송 컨텐츠(드라마, 영화, 토크쇼)상에서 PPL(Product Placement) 간접광고를 보다 개인화 된 맞춤 광고로 구현한 어플리케이션을 기술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개인의 취향에 최적화된 광고를 제공하고 방송사와 시청자간의 Interaction에 의해 전자상거래가 가능한 채널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서 본 논문의 어플리케이션은 컨텐츠 시작 전에 개인이 선호하는 물품을 선택하여 컨텐츠 속에 나오는 PPL광고에서 시청자가 선택한 물품만이 컨텐츠 방영 중에 나타나고, 그 선택 물품의 상세 정보와 구매를 할 수 있는 DAL(Dedicated Advertisers Location)채널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시청자 측면에서는 개인화 된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선별된 광고를 보는 효율적이고 능동적인 방송시청을 하게 되며, 방송 사업자 측면에서는 맞춤 방송 서비스로 효과적인 타겟 소비자를 정하여 효과적인 마케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청한 광고 물품들을 장바구니라는 일종의 북마크에 담을 수 있게 하였다. 시청자가 원할 때는 언제든지 광고된 물품의 T-Commerce채널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 구현하였다. 이것은 개인화 된 맞춤형 방송과 쌍방향 Interaction이 가능한 새로운 데이터방송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Interactive 광고로서 새로운 모델이 될 것이다. 본 논문의 어플리케이션(Xlet)은 우리나라 위성방송 데이터방송 표준인 MHP 미들웨어에 의해 구동되어지며, 데이터방송용 API인 JavaTV API, Havi & Davic API에 따라 구현되어졌다.

  • PDF

실시간 광고 색인 및 검출 (Real Time Advertisement Indexing & Detection)

  • 구영모;김정림;설상훈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227-230
    • /
    • 2003
  • 최근 디지털 방송이 시작됨에 따라 방송 채널이 다변화하고 그 수도 많아지고 있다. 현재 방송되고 있는 디지털 당송에 지상파 방송과 케이블 TV의 그 방송까지 고려한다면 시청자가 접합 수 있는 방송은 다양하다. 기업들은 주요 홍보 매체인 방송을 통해 자신들의 상품을 광고로 내보낸다. 또한 자신들의 광고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광고가 계약한 시간, 횟수, 광고의 길이에 맞게 방영되는지 알고 식어 한다. 현재 이러한 모니터링은 사람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러 채널의 방송에 광고를 내보냈을 때에는 이러한 모니터링은 더욱 어려워진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방송뿐만 아니라 아날로그 방송에 대해서까지도, 현재 방송의 비주얼 리듬을 실시간으로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장면 전환을 수행하고 특징 벡터를 추출해서 얻어진 정보들을 이용한 실시간 광고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스마트미디어 광고 서비스 및 관련 기술 동향 (Trends of Smart Media Advertising Services and Technologies)

  • 조철호;정일구;류원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0권3호
    • /
    • pp.52-63
    • /
    • 2015
  •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의 보급 확산은 다양한 미디어 소비 채널을 양산하였고, 정보취득 및 소비 형태의 다양화를 유도하였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모바일 기기가 확산되고 스마트TV, 디지털사이니지와 같은 새로운 매체가 등장함에 따라 이들을 통해서 제공되는 광고가 시장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양방향 매체의 확산에 힘입어 광고 소비 매체의 특성을 활용한 다양한 맞춤형광고, 리워드광고, 네이티브광고, 커머스 연계 광고 등 새로운 유형의 광고 상품 및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광고주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새로운 스마트미디어를 이용한 광고산업 활성화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차세대 광고플랫폼, 다양한 광고 효과 측정 및 분석기술 등에 대한 개발 및 기반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주요 매체별 광고 유형에 대하여 살펴보고 다양한 스마트미디어 광고 서비스 유형 및 사례, 광고효과 측정관련 이슈 및 기술동향 등에 대하여 살펴본다.

  • PDF

소셜미디어 마케팅 성과에 관한 연구 -포탈 광고, 블로그, SNS 채널의 특징과 성과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rketing Performance Using Social Media -Comparison between Portal Advertisement, Blog, and SNS Channe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 장윤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8호
    • /
    • pp.119-133
    • /
    • 2012
  • 소셜미디어는 기업과 소비자와의 관계와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일대 혁신을 가져옴으로써 기업의 마케팅 활동을 급속히 변화, 발전시키고 있다. 블로그와 SNS 는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크로스미디어 플랫폼으로, 국내 기업들도 포탈검색, 블로그, SNS 등, 다양한 채널들을 활용하여 마케팅 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마케팅 활용 관점에서 포털 검색 광고와 블로그, SNS 채널들의 특징과 기대되는 성과들을 국내 기업 사례 분석을 통해 비교 분석하고, 마케팅 활동 목적과 방향에 따라 각 채널들을 어떻게 독자적, 혹은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마케팅 성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지에 관한 전략적 틀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포탈검색 광고 채널은 관계지향성, 운영독창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채널차별성, 내용적합성, 고객활용성, 네트워크성 측면, 특히 협업과 사회공헌 활동에의 참여 부문에서는 성과가 낮다고 판단되었다. 블로그 채널은 공개적절성, 질적수월성, 정보관리, 협업, 사회공헌활동 측면에서 높은 성과가 있다고 평가되었다. SNS 채널은 관계지향성, 고객지향성, 내용충실성, 고객활용성, 브랜드 이미지 강화, 비용절감, 홍보 및 광고 효과 등에서 높은 성과를 보였다. 따라서 기업은 시장 및 타겟 고객 조사활동, 홍보, 고객관계관리 강화, 신제품 테스트 및 입소문, 이벤트 진행 등, 마케팅 활동의 목적을 분명히 정의하고 각 채널의 상대적인 장점과 단점을 이해하여 각 채널을 독립적, 혹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상호 보완하면서 통합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수립하여야 한다.

광고 효과 증대를 위한 실시간 다중 채널 미디어 재생기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Real-Time Multiplex Channel Media Player to Heighten the Dramatic Effect of an Advertisement)

  • 김성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50-55
    • /
    • 2011
  • 본 논문은 각종 광고 효과를 효율적으로 증대시키기 위해서 다중 채널 미디어를 실시간으로 재생시키기 위한 방법론을 기술한다. 본 방법은 DirectX SDK, DirectShow 및 MS Visual Studio 2008 등의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컴퓨터 환경에서 구현하였으며, 다중 채널 미디어를 읽어오기 위한 메뉴 인터페이스를 갖추거나 숨기고 있다. 미디어 재생기에 사용된 실험용 데이터들은 동영상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광고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미디어 재생기에 배너 티커 및 GIF 애니메이션 등의 기능을 가진 영역을 추가하였다. 모든 미디어들은 Splitter를 통하여 비디오와 오디오로 분리되어지고, 각각은 Decoder 및 Render 과정을 거치게 하였으며, 알파 값을 사용하여 비디오 믹싱이 가능하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DirectShow의 VMR-9를 사용하였다. 본 재생기는 각종 미디어들을 다중 채널을 통하여 동시에 재생시켜줌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광고 효과를 사용자들에게 확실하게 인식시켜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에서는 실험용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다중 채널 미디어 재생기를 사용해 보고, 기존 미디어 재생기와 광고 효과를 위한 기능면에서의 차이점을 비교해본다.

블로그, 키워드검색광고, SNS채널 운영이 온라인쇼핑몰의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개인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김민갑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3-96
    • /
    • 2018
  •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자영업 폐업률은 전년 대비 10.2% 포인트 높은 87.9%를 기록했다. 자영업 4개 업종인 도소매업, 음식, 숙박업은 지난해 48만 3985개가 새로 생겼으며 반면 42만 5203개가 문을 닫았다. 2018년 8월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전년 동월 대비 19.6% 증가했고, 모바일쇼핑 거래액도 모바일 이용 확산과 간편 결제 서비스 발전 등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29.7%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소매업인 온라인 쇼핑몰은 매년 20%대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점에 주목해서 온라인 쇼핑몰의 매출 성과와 연관이 있는 방문 의도에 미치는 변수를 연구하고자 한다. 해마다 판매자가 증가하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 업계는 치열한 경쟁과 늘어나는 마케팅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폐업의 수순을 밟고 있는 경우가 많다. 온라인쇼핑 운영자들이 하고 있는 대표적인 마케팅 방법인 블로그, 키워드 검색광고, SNS 채널 마케팅이 온라인 쇼핑몰의 방문 의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연구 조사하고자 한다. 특히 온라인 쇼핑몰에 방문하는 사람들의 개인적 특성인 충동구매 성향, 다양성 추구 성향, 자기조절 성향을 조절 변수로 하여 개인 성향에 따라 각 독립변수들과의 방문 의도 상관관계를 알아보려 한다. 독립변수들이 방문 의도와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여 온라인쇼핑몰의 준비하는 예비창업자나 기창업자들에게 보다 지속적인 기업성장과 매출성과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이동형 광고로봇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bile Digital Signage Robot)

  • 이용조;박해든;김민지;최지희;노광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59-1162
    • /
    • 2014
  • 광고 시장 / 채널은 새로운 매체로 전환이 급격히 빠른 분야이다. 과거 TV, 신문 등과 같은 전통적인 매스미디어에서, 현재는 인터넷 및 모바일 광고와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옥외광고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마케팅 패러다임의 변화, 광고시장 / 로봇(서비스형, 지능형) 시장의 성장세를 기반으로 디지털 사이니지와 이동로봇을 결합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마케팅 기반의 신개념 광고기기(Mobile Digital Signage Robot 이하 MDSR)를 제안한다. MDSR의 기본 목표는 로봇이 설정된 루트를 자동으로 이동하며 주변상황을 인지하여 상황에 맞는 광고를 노출시키는 데에 있다. 또한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하는 인터랙티브 기능과, 커뮤니케이션 콘텐츠를 탑재하여 주위 사람들의 이목을 집중시키며, 광고노출빈도가 높아지고 흥미유발에 기여하여 광고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이용자 편의성을 제고시킨다. 본고에서는 마케팅 / 디지털 사이니지 / 로봇시장의 실태와 현황을 알아보고, MDSR개발을 위한 HW 필요 탑재부품의 성능정보 수집 및 평가, 로봇 이동제어 및 상황인지와 광고전환을 위한 핵심 SW 알고리즘 개발, 마케팅 전략 및 활용 시나리오, 기대효과 분석 등을 연구해 MDSR 제작 및 활용 방법 등을 살펴본다.

모바일 광고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Mobile Advertising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Russia)

  • 김승권;윤종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83-192
    • /
    • 2014
  • 휴대폰 보급의 활성화와 모바일 광고의 확산으로 인해 새로운 광고 채널로 부상하고 있는 모바일 광고에 대한 다국적 소비자들의 태도나 행동의지를 이해하는 작업이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모바일 광고의 특정 영역은 여전히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모바일 광고에 대한 고객의 태도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영역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기술수용모형을 바탕으로 모바일 광고 특성과 구매의도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국적에 따른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바일 광고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연구자들이나 광고 실무자들이 관심을 가져야할 요소들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사용자 선호도를 고려한 광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Advertisement Contents System Considering Preference of the User)

  • 이준석;김경수;이광옥;배상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83-91
    • /
    • 2009
  • TV에 있어서 광고 제공시스템은 크게 양방향 TV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로 나누어진다. 양방향 TV나 IPTV의 광고제공은 채널사업자들에 있어서 다수의 광고를 필요로 하며, 광고제작에 있어서 많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 선호도를 바탕으로, 불필요한 광고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사용자 선호도를 바탕으로 한 광고제공 시스템은 불필요한 광고의 제작을 줄이며, 이에 따른 적은 비용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광고와 애니메이션광고에 대한 선호도 파악은 기존의 양방향적인 광고제공에 있어서 다수의 광고의 필요성에 따른 많은 비용 부담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광고 산업의 이익 창출을 위한 양방향적인 광고 제공을 위하여, 사용자의 성향을 고려한 콘텐츠별 광고 제공을 통한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는 방송광고에 대한 선호도를 기반으로 한 광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 설계를 하였다. 이 방법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원하는 광고를 제공받을 수 있고, 광고주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광고를 줄임으로써 광고비 절감과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