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고주

Search Result 56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Mutual Perceptions among Clients, Agencies, and Consumers on the Evaluation of Ad Creativity: Extending Application of the Co-Orientation Model (광고 창의성 평가에 대한 광고주, 광고 제작자, 소비자 간의 상호인식 연구: 상호지향성 모델의 확장 적용)

  • Kim, Bong-Chul;Choi, Myung-Il;Lee, Jin-U
    •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 /
    • v.25 no.1
    • /
    • pp.179-201
    • /
    • 2014
  • This study explored mutual perceptions among clients, agencies, and consumers on the evaluation of ad creativity applying the co-orientation model. In order to investigate agreement, congruence, accuracy among three groups, they exposed to real commercials as stimuli and evaluated ad creativity of them in terms of four dimensions, such as originality, appropriateness, clarity, and relevance. Results indicated that agreement between agencies and consumers is relatively high, whereas one between clients and agencies is relatively low. Also, clients show relatively higher level of congruence, but agencies have relatively lower level of one. Accuracy between agencies' evaluation of ad creativity and clients' perception of agencies' view on ad creativity, and between consumers' evaluation of ad creativity and clients' perception of consumers' view on ad creativity would be relatively high. On the other hand, accuracy between clients' evaluation of ad creativity and agencies' perception of clients' view on ad creativity would be relatively low.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need clients and agencies to consider on consumers' viewpoints on ad creativity.

미디어환경 변화와 광고시장 전망

  • Nam, Seung-Yong;No, Chang-Hu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8 no.12
    • /
    • pp.32-41
    • /
    • 2011
  • 광고는 제조, 유통, 서비스 등의 산업에서 공급하는 재화 등에 대한 정보를 확산시키고 소비자가 이의 재화에 대한 거래를 성립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광고주가 미디어 기업 등에게 지불하는 광고비는 미디어 기업에서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 유통 할 수 있는 주요한 재원이다. 즉, 미디어는 광고주와 수용자가 공존하는 대표적인 양면시장이며 여기서 광고는 해당 시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이처럼 미디어 환경과 광고산업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미디어 환경 및 광고 관련 규제에 국내 광고시장이 의존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에 본고에서는 최근 논의되고 있는 중간광고, 간접광고, 종합편성 채널 PP도입, 인터넷광고 시장현황 및 전망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중간광고 등의 규제 완화는 국내 광고 시장에 직접적으로 성장 가능성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이는 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행태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종합편성 채널 PP도입은 해당 사업자가 제작비에 투자하는 정도에 따라 시청률에 영향을 주며 이의 효과로서 광고비가 증가된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다만 지상파, 유료방송 고려시 순증효과와 대체효과가 공존하며 이의 결과 전반적으로 광고시장의 성장이 전망되었다.

A Study on Effective Advertisement Offer System using 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를 통한 효과적인 광고 제공시스템에 관한 연구)

  • Kang, Min-Sik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4 no.1
    • /
    • pp.73-80
    • /
    • 2013
  • The advertisement using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has been a huge increase in many public spaces. Many company has been advertise their products through DID in recent. In this paper, we suggest more effective advertisement system on DID for advertisers. This system can provide a floating population, operation information and other useful informations for advertisement. The advertisers can choose and buy the advertisement that they want.

Cognitive structure of TV drink advertisement based on multidimensional scaling (다차원척도법으로 알아본 음료 TV광고 인식구조: 주의 속성을 중심으로)

  • Kim, Eun Young;Lee, Hunjae;Chong, Sang Chul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5 no.1
    • /
    • pp.25-49
    • /
    • 2014
  • Advertisement for one type of product competes against another type using different advertising strategies. It is important to know which factors influence people's perception of the message within the advertisement and their formation of attitudes towards the advertisement.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main factors were important when people perceive beverage advertisements on TV. A positioning map was constructed based on similarity ratings of 14 drink advertisements. We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hree dimensions of the positioning map by asking a different group of participants to rate on components of attention, attitudes toward advertisements and products, and intention to purchase the product in each advertisement. It was found that three dimensions in the map was attention to content, color, and motion respectively. More importantly, the attentional component to content was related to the attitude of affection and action toward a beverage introduced in advertis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ent-based attention in advertisements induces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s.

Covert Cohabitation of News and Advertisement: News Frame Towards Advertisers of the Media (뉴스와 광고의 은밀한 동거: 광고주에 대한 언론의 뉴스구성)

  • Lim, Bong-Soo;Lee, Wan-Soo;Lee, Min-Kyu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66
    • /
    • pp.133-158
    • /
    • 2014
  • This research followed the major South Korean newspapers, Chosun, JoongAng, HanKyoreh and KyungHyang newspapers to study their relationship with advertisement - on how they use advertisement to what degree and which views they take, also looking into the quantity of advertisement. The results of analysis is as thus: first, the more advertised companies tended to have more news reports about them overall. Also, advertised companies were usually shown in positive light rather than a negative one. The most notable constructive commonality found in the positively advertised companies were that they were not usually introduced upfront through the title of the news article (or within the body of the article) but rather mentioned within the media frame. The reasons for this pattern in advertising is to make bias towards JoongAng which is obvious for pro companies, especially for the Chosun which is known for being neutral in most company matters even for the HanKyoreh, KyungHyang known for their usual negative attitude towards private companies.

  • PDF

Accurate Ad-Effect Estimation Method based on Relevance between User and Item (유저-상품 적합도 기반의 정확한 광고효과 계산 방안)

  • Hong, suk-jin;Ko, yun-yong;Kim, sang-wook;Park, gy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1-22
    • /
    • 2018
  • 최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SNS를 대상으로 상품 마케팅을 하는 기업(광고주)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SNS에서 상품을 효과적으로 광고할 수 있는 광고 대행 유저들을 광고주에게 추천해주는 서비스들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은 대부분의 서비스들은 단순히 유저의 이웃 수를 기반으로 유저의 광고 효과를 평가하기 때문에, 유저를 통해 단계적으로 파급되는 광고 효과는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영향력 최대화 (Influence maximization) 연구 분야의 기술을 활용하여, (1) 유저를 통해 단계적으로 파급되는 광고 효과를 고려하는 광고효과 최대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보다 정확하게 광고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2) 광고 상품과 유저 사이의 적합도를 정의하여 광고 대행인 선출 과정에 적용하였다. 실세계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광고 대행 유저 선출 방안이 전통적인 선출 방안들과 비교하여 광고 효과가 더 큰 유저들을 선출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 PDF

A Study on Design and Development for Online Search Advertisement Platform using Big Data Analysis System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검색 광고 플랫폼 설계 및 개발에 관한 연구)

  • Noh, Seon-Taek;Hong, Seung-Hyung;Kim, Kyung-Soo;Song, Young-Ki;Kim, Hwa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87-190
    • /
    • 2012
  • 온라인 검색 광고는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 그리고 온라인 광고 수요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광고 시장에서 보조적인 역할에서 벗어나 주도적인 위치로 변화하고 있다. 지속적인 규모성장과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의존한 온라인 검색 광고 플랫폼은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유연한 자원 확장이나 분석속도의 보장성을 유지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온라인 검색 광고 플랫폼을 설계 및 구현함으로써, 데이터 저장 공간을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으며, 일정한 시간으로 수렴할 수 있는 안정적인 분석 속도를 유지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위치정보를 담은 사진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광고 비즈니스 모델: U-Photo

  • Lee, Gyeong-Jeon;Ju, Jeong-In;Lee, J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440-447
    • /
    • 2007
  • 사진은 시각화되어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생성하기 쉽다는 이유로 가장 인기 있는 컨텐트 중 하나이며, 사진을 찍은 위치 정보는 해당 장소가 갖는 특징 혹은 상징성으로, 상품 및 서비스와 연관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거래의 매개체가 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상거래 환경에서는 사진의 위치정보를 자동화, 체계화하여 저장하고 활용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어서 사진 자체가 상거래에 활용되는 모델을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U-Photo 비즈니스 모델은 사용자가 찍은 사진의 배경에 해당하는 장소를 그 장소를 통해 광고를 하고자 하는 광고주와 연계하고, 그 사진을 클릭했을 때 광고주의 사이트가 로딩 되도록 하는, 컨텐트 생성자, 컨텐트 소비자, 광고주 연계 비즈니스 모델이다. 본 논문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사진을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고, 본 비즈니스 모델이 어떤 함의를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하며 시장에서 실제 작동할 조건을 예측하여 본 비즈니스 모델을 평가한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NFC Advertising in Cinema Environment (NFC광고에 대한 극장 관객의 지각된 즐거움, 혁신성이 광고태도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탐색적 연구)

  • Shim, Sung-Wook;Byun, Hye-Min;Kim, Woon-Ha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4
    • /
    • pp.681-690
    • /
    • 2017
  •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acceptance through NFC advertising and mobile in a cinema environ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sonification and participation among interacitivity factors had a positive impact on advertising acceptance. Second, advertising value of NFC advertising had a partially positive impact.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perceived entertainment, and innovation alos had a positive impact on advertising acceptance. Finally, interactivity, followed by advertising value, had impact on the acceptance of NFC adverti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