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광간섭

Search Result 57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ll-fibered high speed optical interferometer using optical phase modulator (광위상변조기를 이용한 광섬유형태의 고속 광간섭계)

  • Hwang, Dae-Seok;Lee, Young-W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c
    • /
    • pp.1597-1598
    • /
    • 2006
  • 광간섭계는 물체의 기하학적 구조 및 의료영상계측등 다양한 분야의 광계측에서 매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광간섭계에서 광지연단은 측정대상의 기준을 위해 사용되고, 광간섭계의 계측속도는 광지연단에 의해 제한된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 광 지연단을 위해 기존의 기계적 방식을 배제하고, 광학적 방식의 광 간섭계를 구성하였다. 고속 광간섭계의 구성은 1304nm의 10GHz광원을 이용하였으며, 광지연단으로 광위상변조기와 광섬유를 이용하여 안정적이고 고속의 광 간섭계를 구성하였다. 구성된 광간섭계는 광위상변조기의 변조전압, 변조주파수에 의해 광지연시간을 가변할 수 있으며, 10MHz 반복율에 대해 11ps의 광지연시간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High-speed optical interferometry using optical phase modulator (광위상 변조기를 이용한 고속 광 간섭계)

  • Hwang, Dae-Seok;Lee, Young-W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1a
    • /
    • pp.24-26
    • /
    • 2005
  • 광 간섭계는 광을 이용한 다양한 계측분야에 사용된다. 일반적인 광 간섭계의 지연단은 기계적인 광지연에 의해 저속이며, 시스템 구성상 안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광간섭계 지연단의 기계적 방식을 배제한 광위상 변조기를 이용한 지연단을 설계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안된 광 간섭계는 1310nm 10GHz의 반복율을 갖는 광원과 광위상변조기를 이용한 전(全) 광섬유 형태로 안정한 구성을 하였다. 구성된 광간섭계는 광위상 변조기의 변조 전압, 변조 주파수의 변화에 의해 광지연시간의 쉬운 변조가 가능하였으며 최대 20ps 의 광지연시간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Displacement measurement in nanometer region and calibration of transducers using combined optical and x-ray interferometer (광/엑스선 복합간섭계를 이용한 나노미터 영역의 변위 측정 및 trnasducer의 비선형 교정)

  • Park Jin-Won;Jo Jae-Gun;Byun Sang-Ho;Eom Cheon-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5.06a
    • /
    • pp.515-518
    • /
    • 2005
  • 현재 정밀한 길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광 간섭계를 이용한 측정기술이 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광 간섭계의 발전과 더불어 이보다 더 높은 분해능을 얻기 위해 광파장보다 1000배 정도 짧은 엑스선을 이용한 변위 측정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엑스선을 이용한 간섭계를 제작하고, 광 간섭계와 결합된 광/엑스선 복합간섭계를 구성하여 광 간섭계가 안고 있는 자체의 비선형성이 제거된 정밀 변위 측정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그 응용으로써, 제작된 광/엑스선 복합간섭계를 이용하여 나노미터 영역에 서 사용하는 transducer의 비선형성을 측정하였다.

  • PDF

Visibility optimization of phase-shifting diffraction-grating interferometer (위상편이 회절격자 간섭계의 가시도 최적화)

  • 황태준;김승우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4 no.6
    • /
    • pp.643-648
    • /
    • 2003
  • The phase-shifting diffraction-grating interferometer proposed in the investigation uses a diffraction grating that performs manifold functions of beam splitting, beam recombination, and phase shifting. The reference and measurement waves generated by means of diffraction have different amplitudes depending on their orders of diffraction, so the interference fringe pattern resulting from the two waves tends to yield poor visibility. To cope with this problem, we select a phase grating of reflection type and attempt to improve the interference visibility with optimization of the groove shape of the grating through electromagnetic analysis.

레이져 스페클간섭법에 있어서 스페클 크기와 측정한계에 관한 연구

  • 김경석;양승필;정현철;김정호;이도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4.10a
    • /
    • pp.521-528
    • /
    • 1994
  • 레이저광의 우수한 가간섭성으로 인해서 거친표면으로 부터 확산된 광에서도 간섭현상을 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레이져광의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스페클은 광학적인 간섭계를 사용하여 광을 확산적으로 반사시키는 물체의 변형과 변위, 진동 등을 비접촉적으로 측정 할수 있게 되었다.이와같은 측정법으로써 Holography 간섭법, Speckle 간섭법, Speckle 사집법등이 있으며 비록 이러한 측정법들이 독립적으로 발전되었다 할지라도 기본적인 광학적인 배치와 함수들에 있어서는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로 면내변형을 측정하기위한 스페클간섭법에 있어서의 스페클 사이즈와 그에 따른 측정 한계를 확인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Advanced Manufacturing Process of Light Interference Pearl Pigment (광 간섭 펄 안료의 신규 제조 공정 개발)

  • Son, Hong Ha;Yu, Jae Won;Kim, Kyung Seob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41 no.2
    • /
    • pp.121-126
    • /
    • 2015
  • In general, the pearlescent pigment is a pigment which was used for optical characteristics like pearl, rainbow and metallic luster. Titanium dioxide coated mica plate developed by DuPont in 1965 is currently being used as a main part of pearlescent pigment for cosmetics. Although the smooth and clear surface substrate laminated with 2 ~ 3 ingredients is thicker than a previous monolayer coated substrate, it has been applied for cosmetics as the optical interference powder to realize stronger shine and brighter interference color than monolayer on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optical interference powder with thinner and higher chroma than a current pearlescent pigment for the strong luster and bright interference color. It was prepared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the coated titanium dioxide precursor was changed and crystallized by coating and heat treatment process with a half of dividing the coated amount of titanium dioxide. We confirmed the dense coating of titanium dioxide grain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measured superior crystallization degree compared with a monolayer coated pearlescent pigment by X-ray Diffraction. It is concluded that our new pearlescent pigment had higher reflectivity of light and stronger interference color than previous products.

Study on an Image Reconstruction Algorithm for 3D Cartilage OCT Images (A Preliminary Study) (3차원 연골 광간섭 단층촬영 이미지들에 대한 영상 재구성 알고리듬 연구)

  • Ho, Dong-Su;Kim, Ee-Hwa;Kim, Yong-Min;Kim, Beop-Min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20 no.2
    • /
    • pp.62-71
    • /
    • 2009
  • Recentl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has demonstrated considerable promise for the noninvasive assessment of biological tissues. However, OCT images difficult to analyze due to speckle noise. In this paper, we tested various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speckle removal of human and rabbit cartilage OCT images. Also, we distinguished the images which get with methods of image segmentation for OCT images, and found the most suitable method for segmenting an image. And, we selected image segmentation suitable for OCT before image reconstruction. OCT was a weak point to system design and image processing. It was a limit owing to measure small a distance and depth size. So, good edge matching algorithms are important for image reconstruction. This paper presents such an algorithm, the chamfer matching algorithm. It is made of background for 3D image re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good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speckle removal, image segmentation, and the 3D reconstruction of cartilage OCT images.

  • PDF

Development of RSOD using optical phase modulator (광위상 변조기를 이용한 RSOD 개발)

  • Hwang, Dae-Seok;Lee, Young-Wo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3 no.11 s.353
    • /
    • pp.14-18
    • /
    • 2006
  • Optical interferometer is used for various optical measurement fields in optical metrology and biomedical measurements. In an optical interferometer, optical delay line has to change the optical path length of a reference arm to match with that of a sample in and it's speed was limited by reference arm movement speed.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all-fibered RSODRapid Scanning-speed Optical Delay) without any mechanical movement, and we applied this system to optical interferometer. Experimental setup is consist of pulse laser source (center wavelength 1304nm, pulse width 30ps, repetition rate 10GHz), two phase modulators and dispersive shifted fiber. As experimental results, we obtain the maximum time delay of 11ps at 10MHz repetition rate, and it is easily tuneable the time delay by modulation frequency and modulation voltage.

광 간섭 계측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104
    • /
    • pp.70-74
    • /
    • 2006
  • 일반적으로 광 간섭 계측은 비접촉, 고감도, 면계측, 내전자(耐電磁) 노이즈 등 다른 계측방법에는 보이지 않는 우수한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공기 흔들림이나 외부 진동 등의 외란에 약하여 광학 조정이 번거로우며 측정 범위가 좁다는 문제점도 있어, 아직까지는 산업적으로 충분히 보급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여기서는 옵토 메카트로닉스 기술로서의 광 간섭 계측 기술이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면서,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 나갈 것인 지를 예측하여 기술 로드맵의 작성을 시도하였다. 기술 로드맵은 반도체 산업에서는 본격적인 것으로 정평이 나있지만, 광 간섭 계측 기술에 대한 것은 거의 없다. 따라서, 여기서 채택한 기술과 그 미래에 대해서는 필자의 경험과 주관이 상당히 많이 개입되어 있음을 미리 말해 둔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Uniformity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1x4 Power Splitter based on Multi-mode Interference (다중모드간섭을 이용한 1x4 광 분배기의 도파폭에 따른 균일도 특성)

  • 홍정무;박순룡;이승걸;이일항;오범환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2a
    • /
    • pp.30-31
    • /
    • 2001
  • 다중모드간섭을 이용한 소자는 집적광학에서 광신호의 분리와 결합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자는 편광상태와 파장에 덜 민감하며, 광 대역폭과 제작 허용오차가 크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다중모드간섭기의 설계에 있어서 간섭기의 폭은 주로 출력단에서의 도파로 폭과 도파로간 간격으로부터 정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광신호의 효율적인 분배를 위해 간섭기의 폭과 관련하여 광 분배기의 손실 및 균일도를 최적화하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였으며, 근사적인 이론식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