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 삽입

Search Result 260, Processing Time 0.062 seconds

A Case of the Pneumopericardium Following Blunt Chest Trauma (흉부둔상에 의한 심막기종: 치험 1예)

  • 김오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6 no.8
    • /
    • pp.627-629
    • /
    • 2003
  • The pneumopericardium following blunt chest trauma is exceedingly unusual. A patient was admitted to the emergency room after a motorcycle accident. Pneumopericardium and left pneumothorax were not detected on initial chest AP, but they were detected on chest computed tomograpy and resolved completely after chest tube insertion into the left pleural space.

LHRHa 펠렛의 근육삽입에 의한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정액의 활성 변화

  • 임한규;장영진;문승현;이종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76-277
    • /
    • 2000
  • 어류의 성숙 및 배란을 유도하기 위해 어류 및 개구리의 뇌하수체 추출물, 인간의 태반성생식소자극호르몬(HCG), 어류의 생식소자극호르몬(GTH), 포유류의 황체형성호르몬방출호르몬(LHRH) 그리고 이들의 유사체(analogue)들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시상하부의 신경분비 세포에서 분비되는 LHRH를 이용한 어류의 배란 및 산란에 대한 연구는 여러 어종에 대해서 시도되어 왔다. (중략)

  • PDF

Measurements of Viscosity and Characteristic Times of Viscoelastic Fluids with the Falling ball Viscometer and Capillary Tube Viscometer (낙구식 점도계와 모세관 점도계를 이용한 점탄성유체의 점성과 특성시간의 측정)

  • 전찬열;황태성;유상신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2 no.2
    • /
    • pp.19-27
    • /
    • 1990
  • 레이저와 타이머장치를 설치한 낙구식 점도계에서 구와 니들이 주어진 구간을 통과 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종말속도를 정확히 결정하였고 점성이 작은유체와 낮은 전단률 점성 과 영전단률 점성은 속이 빈 알루미늄 구와 니들이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알루미늄 구와 니 들의 속에 철분을 삽입하여 밀도를 다양하게 변화시켰다. 낙구식 점도계에서 측정한 낮은 전단률 점성과 영 전단률 점성 그리고 모세관점도계에서 측정한 높은전단률 점성과 무한 전 단률 점성을 이용하여 점탄성 유체의 특성이완시간을 결정하였다. 실린더 속의 시험용 유체 를 교란시키지 않고 밑면에 떨어진 구를 회수하는 장치를 설치하였다. 이 장치는 하나의 구 로써 점탄성유체의 특성확산시간을 측정하는데 대단히 효과적이었다. Polyacrylamide Separan AP-273 용액(농도 500-200 wppm)의 특성이안시간과 특성화산시간을 낙구식 점도 계와 모세관 점도계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결정하고 폴리며 용액의 퇴화 현상을 실험적으 로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apillary Limitation in Copper-Water Heat Pipes with Screen Wicks (스크린 윅을 삽입한 동-물 히트파이프에서 모세관 한계에 관한 연구)

  • 박기호;이기우;노승용;이석호;유성연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4 no.12
    • /
    • pp.1023-1030
    • /
    • 2002
  •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performance of the copper-water heat pipe with the screen wicks. Recently, the semiconductor capacity of an electronic unit has been larger, on the contrary, its size has been much smaller. As a result, a high-performance cooling system is needed. Experimental variables are inclination angles, temperatures of cooling water and the mesh number of screen wicks. The distilled water was used for the working fluid. At the inclination angle $6^{\circ}$ in top heat mode, the two layers of the 100-mesh screen wick showed the best heat transfer performance. The thermal resistance of the two layers with the 100-mesh screen was 0.7~$0.8^{\circ}C$/W.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Heat Transfer for a Rotating Heat Pipe with a Trigonal Cross Section (삼각 단면을 갖는 회전 열파이프의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 이진성;김철주;김윤제;최영준;홍성은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7.10a
    • /
    • pp.114-121
    • /
    • 1997
  • 회전 열파이프의 열전달 성능은 액막 두께 및 증발부로 귀환되는 응축 액막 유동율에 의해 결정된다. 그 동안 응축액 유동율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용기 내벽에 groove, 테이퍼 및 나선형 코일을 삽입하여 유동율을 높이는 방법들이 연구되었다. 본 연구도 회전 열파이프의 내부 관벽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삼각 단면을 갖는 회전 열파이프의 열전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삼각 단면을 갖는 회전 열파이프는 고속 회전 영역에서 모서리 부분으로 액막이 집중되어 관 내벽에 형성되는 액막 두께를 줄일 수 있으나 증발부에서 국부적인 과열이 발생되어 불안정한 작동 상태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선방안으로 증발부에 부분적으로 원형관을 접합하였으며, 그 결과 dry-out의 억제와 함께 삼각 유동 단면에 의한 액막 두께 감소 효과를 볼 수 있었다. 회전체 발열부 냉각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앞으로 최적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른 충전율 및 액막에서의 열전달에 대한 정량적인 해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lasma Jet with Small Hole Muzzle

  • Kim, Yun-Jung;Jeong, Jong-Yun;Kim, Jeong-Hyeon;Kim, Dong-Jun;Han, Sang-Ho;Gang, Han-Rim;Jo, Gw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230-230
    • /
    • 2011
  • 대기압 플라즈마 제트 장치의 분출구 크기에 따른 플라즈마 분출 특성을 조사한다. 플라즈마가 분출되는 홀 모양의 방전관 출구의 직경 0.2, 0.5, 0.7, 1.0 mm에 대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플라즈마 제트 장치는 원통형 바늘 전극을 유리관 속에 삽입하고, 가스가 주입되는 형태이이다. 방전 가스는 Ar을 사용했으며 유량은 5 lpm이다. DC-AC 인버터를 사용하여 주파수 45 kHz 수 kV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플라즈마 제트 장비를 구동한다. 직경이 작을수록 방출되는 플라즈마가 가늘고 방전 전압이 낮다. 직경이 작을수록 분출량 미세 조절이 용이하고 또한 낮은 방전 전압으로 인체 실험에 적용하는 경우에 전기적 충격이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Pressure Loss and Forced Convective Heat Transfer in an Annulus Filled with Aluminum Foam (발포 알루미늄이 삽입된 환형관에서의 압력손실 및 강제대류 열전달)

  • Noh Joo-Suk;Lee Kye-Bock;Lee Chung-Gu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7 no.9
    • /
    • pp.855-862
    • /
    • 2005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has been carried out for aluminum foam heat sink inserted into the annulus to examine the feasibility as a heat sink for high performance forced water cooling in the annulus. The local wall temperature distribution, inlet and outlet pressures and temperatures, and heat transfer coefficients were measured for heat flux of 13.6, 18.9, 25.1, 31.4 $kw/m^2$ and Reynolds number ranged from 120 to 2000.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friction factor is higher than clear annulus without aluminum foam, while the significant augmentation in Nu is obtained. This technique can be used for the compactness of the heat exchanger.

Automatic segmentation of the artery in coronary angiogram (심혈관 조영도에서의 관상동맥 자동영상분할)

  • Yun, Hyun Joo;Kim, Myo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1637-1640
    • /
    • 2004
  • 관상동맥 폐색증 환자들에 대해서 시술되는 stent 삽입 시술이나 관상동맥 우회로 시술 중에는 X-ray 등의 조영 영상이 시술의 기준이 되고 있다. 따라서 조영 영상에서 혈관을 빠르게 인식하는 것은 정확하고 효과적인 시술의 필수 조건이다. 이러한 시술 중 빠르고 정확한 혈관 인식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심혈관 조영 영상으로부터 관상동맥의 형태를 자동적으로 영상분할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조영 영상에서 혈관을 분명하게 인식하기 위해서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이 필요한 데, Anisotropic diffusion을 이용한 필터링은 이미지 내 물체의 경계선을 보존하고, 영역 내의 잡음을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정확한 영상분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가 영상 내에 관심 영역을 지정하는 인터렉션이 필요하지만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번거로움을 최소화하고, 정확한 결과를 유도하기 위해서 자동 씨드 영역 추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따라서 조영 영상에 필터링을 적용한 후 추출된 씨드 영역과 추출된 에지와 Adaptive region-growing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영상분할을 수행하게 되면 보다 효과적인 관상동맥 영상 분할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Perme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ubular Membrane Module Equipped wtih the Air Injection Nozzle Tube (공기주입 노즐관이 장착된 관형막의 투과특성)

  • Park, Mi Ja;Chung, Kun Yong
    • Membrane Journal
    • /
    • v.27 no.1
    • /
    • pp.43-52
    • /
    • 2017
  • The air injection nozzle tube was inserted inside of the tubular membrane module to reduce membrane fouling and improve the permeate flux. The average pore size of membrane was $0.1\;{\mu}m$ and the yeast was used as a foulant. All of permeate experiments were started without air injection for the module equipped with the nozzle tube, then carried out continuously with air injection. Finally, the nozzle tube was removed from the module and the permeate was measured without air injection. The measured permeate fluxes were compared to examine the effect of air injection. The fluxes for air injection were consistently maintained or increased. The fluxes of no-air injection with the nozzle tube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empty tubular module. As operating pressure decreased to 0.4 bar, the flux enhancement of air injection based on no-nozzle case increased to 21%. Flux enhancements of air injection were above 30% as the gas/liquid two-phase flow was changed from the stratified-smooth to the intermittent pattern due to increase of gas flowrate.

Morphologic Changes of the Pulmonary Arteries after Stent Implantation on Branch Pulmonary Artery Stenosis - Impact of Pulmonary Insufficiency - (폐동맥 분지협착에 스텐트 삽입 후 유발되는 폐동맥의 형태변화 - 폐동맥 폐쇄 부전의 역할 -)

  • Kim, Me Jin;Kang, Du Cheol;Choi, Jae Young;Lee, Jong Kyun;Sul, Jun Hee;Lee, Sung Kyu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6 no.1
    • /
    • pp.67-75
    • /
    • 2003
  • Purpose : Intravascular stent im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postoperative branch pulmonary artery(PA) stenosis has been used successfully. However, the cross sectional area of contralateral branch PA does not regress in spite of the successful dilation of the stenotic branch PA after stent implantation. We analyzed the morphologic and hemodynamic factors on the size of branch PA after successful stent implantation. Methods : The subjects in our study were 23 children who had undergone stent implantaion from Jan. 1995 to Jul. 2002 in the Division of Yonsei Pediatric Cardiology. We evaluated the cross sectional area index(CSAI) of branch PA before and after stent implantation at follow-up catheterization. We also investigated factors such as residual pulmonary stenosis, pulmonary regurgitation(PR), systolic pressure of right ventricle, and lung perfusion scan. Results : The CSAI of the RPA without stenosis changed from mean $238{\pm}17mm^2/BSA$ to mean $249{\pm}20mm^2/BSA$(P=0.47), but didn't regress. The CSAI of the LPA with stenosis was increased effectively by stent implantation from the mean $102{\pm}12mm^2/BSA$ to mean $125{\pm}11mm^2/BSA$(P< 0.05). At follow up after stent implantation, the CSAI of PA is correlated with the residual PR fraction after stent implantation. Conclusion : In a group with increased residual PR, CSAI of RPA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between the pre- and post-stages of stent implantation. So, we suspect that the pulmonary regurgitation remaining after right ventricle outlet tract(RVOT) dilatation surgery is correlated with the increase in CSAI of RP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