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혈적 정복술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31초

Locking Compression Plate를 이용한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Fractures of the Midshaft Clavicle using Locking Compression Plate)

  • 정남식;홍기도;하성식;박성준;강정호;심재천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3-68
    • /
    • 2006
  • 목적: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치료로 관혈적 정복술 후 LCP를 사용하여 내고정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학적,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여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LCP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4년 11월까지 본원에서 쇄골 간부 골절에 대해 LCP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 금속내 고정술을 시행하고 6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최종 평가는 방사선 결과와 fang s criteria를 이용한 임상적 결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9.3주에 모든 예에서 지연유합 없이 골유합 되었으며 임상적으로 Kangs criteria에 따라 구분한 결과, 우수 이 상이 22례로 나타났다. 특히, 견관절 운동은 상완골 골절이 동반된 두 경우를 제외한 24례에서 2.9주내에 정상 범위로 빠른 회복을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견관절 운동 장애 2례, 수술 절개 부위의 켈로이드 형성 1례였으며 그 이외에 다른 주요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에서 LCP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 및 금속내 고정술은 기존의 금속판에 비해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고 효과적인 골유합과 조기 견관절 운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좋은 치료 방법 중 하나라고 사료된다.

  • PDF

Precontoured Locking Compression Plate를 이용한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the Displaced Midshaft Clavicle Fracture Using Precontoured Locking Compression Plate)

  • 김정우;강홍제;노성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2호
    • /
    • pp.117-122
    • /
    • 2012
  • 목적: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에서 관혈적 정복술 후 윤곽 성형된 잠김 압박 금속판(precontoured locking compression plate)을 이용하여 내고정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학적 결과 및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여 윤곽 성형된 잠김 압박 금속판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본원에서 쇄골 간부 골절에 대해 윤곽 성형된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하여 관혈적 정복 및 금속 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의 추시가 가능했던 3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방사선학적 결과는 골유합 여부와 성별 및 나이에 따른 골유합 시기의 차이를 평가 하였으며 임상적 결과는 최종 추시 시 quick DASH Score 및 반대측과 관절 운동 범위의 차이를 평가 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2.3주였으며 성별 및 나이에 따른 골유합 기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7). 임상적 평가에서 최종 quick DASH Score는 평균 23.5점 (12~42)이었으며, 최종 추시시 견관절의 운동은 건측과 비교 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69). 결론: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에 대해 윤곽 성형된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을 유지 할 수 있어 조기 운동이 가능하여 견관절 운동의 회복과 함께 전례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어 쇄골 간부 골절 치료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하악골 과두하부골절 정복술에서 관혈적 정복술과 비관혈적 정복술의 비교 연구 (Comparison Study of Open Reduction and Closed Reduction in Treatment of Mandibular Subcondylar Fractures)

  • 장주윤;강동희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51-54
    • /
    • 2008
  • Purpose: The choice of open versus closed reduction for mandibular subcondylar fracture is a debatable issue. To evaluate the advantage of open approach to closed method with IMF(intermaxillary fixation),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to compare the outcomes of each method. Methods: From 2002 to 2006, 29 patients with mandibular subcondylar fractures were treated by open or closed reduction. 17 patients were treated by open reduction and 12 patients by closed reduction and IMF. Each group was assessed for duration of mandibular immobilization, incidences of buccal palsy, malocclusion, TMJ(temporomandibular joint) pain, and deviation of the mandible on mouth opening. Results: All cases showed accurate reduction in anatomical position, no significant displacement and no deviation on mouth opening during the follow-up period. IMF period is statistically shorter in open reduction (p<0.05). Differences in incidence of other complications were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Conclusion: As there are significant independent morbidities associated with IMF which requires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prolonged temporomandibular immobilization should not be overlooked. Some patients with poor compliances will not tolerate IMF in nonsurgical treatment. In the aspect of patient's convenience and early recovery by short IMF period, open reduction would be recommended as a better treatment method.

시상골절단과 사선골절단술을 이용한 하악골 과두골절의 외과적 치험예 (SURGICAL REDUCTION OF DISPLACED SUBCONDYLAR FRACTURES OF MANDIBLE USING OF SAGITTAL SPLIT AND OBLIQUE SUBCONDYLAR OSTEOTOMY)

  • 김현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1권2호
    • /
    • pp.87-95
    • /
    • 1989
  • 하악골 과두골절의 치로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술식이 문헌상 보고되었으나 어떤 특정한 술식이 모든 증례에 적용될 수는 없으므로 각 증례에 따라 방사선 사진검사와 세밀한 임상검사 및 술자의 판단등에 따라 보존적인 치료법이나 외과적 수술법이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대부분의 과두골절은 보존적인 치료만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보존적 처치후 장기간에 걸친 술후 검사시 하악의 기능장애, 부정교합, 하악골의 이환측으로의 전위, 위관절증 및 악관절 강직등의 병발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골편이 심하게 전위된 경우나 무치악 환자, 구치부 고경유지가 어려운 환자 및 보존적 처치후 기능장애를 초래한 골편의 부정유합이나 비유합 환자에서는 관혈적 정복술로 보다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저자는 하악골 과두골절시 골편전위가 비교적 심한 6증례에서 악하부 피부절개를 통해 통상의 금속선 고정법, Kirschner 금속선을 이용한 고정법을 각 1예씩 사용하였고 4예는 골절선이 비교적 높아 통상의 수술방법으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아 시상골절단과 사선골절단술을 이용하여 골편정복과 고정술을 시행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족관절 골절에 대한 관절경적 정복술과 관혈적 정복술 (Arthroscopic and open reduction for ankle fractures)

  • 김동헌;장병춘;이재성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2-87
    • /
    • 1998
  • The ankle is a complex structure supporting the entire musculoskeletal system during standing and walking. And so the goals of operative treatment for ankle fractures are to obtain an anatomical reduction that is maintained by stable fixation, resulting in a healed fracture and recovery of normal function. The 64 patients who had ankle fractures were treated by arthroscopic reduction(20 cases) and open reduction (43 cases) in Konkuk university hospital from February 1991 to October 1997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clinical and radiological aspec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Meyer, arthroscopic assisted reduction group had good or excellent results in 18 cases (90%) and open reduction group good or excellent in 35 cases (83%). The difference of the results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but arthroscopic assisted reduction technique has several advantages over open technique; the best assessment of articular surface, lower wound problem, postoperatively faster rate of rehabilitation and minor discomfort.

  • PDF

견갑골 관절와 골절의 수술적 치료 (The Operative Treatment of Scapular Glenoid Fracture)

  • 강호정;정성훈;정민;한수봉;김성재;김종민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2호
    • /
    • pp.212-219
    • /
    • 2007
  • 목적: 견갑골 관절와 골절의 치료로 관혈적 수술을 시행했던 예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치료 결과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4년 2월까지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한 관절와 골절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절의 분류는 변형 Ideberg씨 분류를 이용하였으며 제 1형이 1예, 2형 3예, 3형 2예, 5형 1예, 6형 2예였다. 정복에 사용된 내고정물은 재건 금속판 6예, 소형 금속판 1예, 1/3 원통형 금속판 3예, 소형 나사 3예, 유관 나사 1예였다. 수술 후 견관절의 기능 평가는 Constant score 및 Adam의 기능 평가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7주에 골유합 소견을 보였다. 임상적 평가에서 우수가 4예, 양호가 3예, 보통이 2예 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나사의 관절와 침범, 관절와 하방에 안정성에 지장이 없는 골소실이 각각 1예가 있었다. 결론: 관절의 불안정성이 있거나 골편의 전위가 큰 관절와 골절의 경우에 수술적인 치료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골절 양상이 분쇄가 심할수록 나쁜 결과를 보였다.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 후 군인에게 발생한 경비골 원위부 골결합증(1예 보고) (Distal Tibiofibular Synostosis after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in a Military Soldier (A Case Report))

  • 이준영;남기영;송경철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05-107
    • /
    • 2010
  • The scanty literature on distal tibiofibular synostosis includes descriptions of relatively few specific complaints. Here we report a case of a 24-year-old young soldier who sustained a left ankle lateral malleolar fracture about 6 months ago and was initially treated by th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plate & screw. But 6 months later, he suffered from an vague ankle pain, each time the symptoms occurred right after an active ambulation, ankle dorsiflexion, especially when he had exercised aggressively. The radiographs revealed that there was a mature distal tibiofibular synostosis. We treated the patient with surgical excision of synostosis. Post-operative condition was satisfied to all concern and the result was found to be excellent during one-year follow-up.

성인에서 발생된 요골 두 급성 전방 탈구 - 증례 보고 - (Isolated Anterior Dislocation of the Radial Head in Adult - A Case Report -)

  • 허윤무;김우식;김성훈;전택수;김상범;오병학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131-135
    • /
    • 2007
  • 23세 남환에서 발생한 요골 두 급성 전방 탈구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수상 당시 전완부는 회내전, 주관절은 약간 굴곡되어 있었고, 손이 지면에 닿아 체중이 실리면서 주관절의 갑작스런 과도한 회내전이 발생하였다. 요골 두는 상완근의 외측 근육 다발에 의해 감돈 되었고, 윤상인대가 척골의 후방 부착부에서 견열되어 요골 두와 소두 사이에 끼어 정복을 방해하였다. 관혈적 정복을 시행하였다. 12개월간 추시 관찰을 하였으며 요골 두의 정복은 잘 유지되고 있었고 주관절의 운동제한은 없었다.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술시 오구 쇄골 인대 봉합의 필요성 (The Necessity of Coracoclavicular Ligament Repair in Open Reduction for th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s)

  • 김유진;신헌규;정화재;최재열;박세진;최규보;임종준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2호
    • /
    • pp.194-201
    • /
    • 2010
  • 목적: 오구 쇄골 인대를 봉합하지 않고 견봉 쇄골 관절의 관혈적 정복만 시행한 환자군에서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시 결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부터 2007년까지 변형 Phemister 술식과 갈고리 금속판 (AO hook 금속판, Wolter 금속판)을 사용하여 견봉 쇄골 관절 탈구로 수술 받은 환자 중 삽입물 제거한 5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변형 Phemister 술식을 사용한 군이 21명, 갈고리 금속판을 사용한 군이 32명 이였다. 임상적 평가는 Constant score를 이용하였으며, 양측 쇄골과 오구돌기 사이의 수직 거리를 비교하여 방사선적 평가를 하였다. 결과: Constant score는 변형 Phemister 술식을 사용한 군에서는 $87.59{\pm}7.8$, 갈고리 금속판을 사용한 군에서는 $89.35{\pm}5.3$로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두 군에서 수술 전 손상 부위의 쇄골 오구돌기의 평균 거리는 15.9 mm이였으며, 건측 견관절은 평균 8.0 mm이였다. 갈고리 금속판 환자군에서 건측과 비교하여 평균 1.0 mm, 변형 Phemister 환자군에서는 평균 1.2 mm의 수직 전위가 관찰되었으며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오구쇄골 인대를 복원 하지 않은 견봉 쇄골 관절 탈구의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은 양호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보였다.

대퇴 연골편에 의해 정복이 불가능한 슬관절 후외방 탈구 - 1예 보고 - (An Irreducible Posterolateral Dislocation of Knee by the Detached Femoral Cartilage - A Case Report -)

  • 김성태;이봉진;박우성;이상훈;김태호;이성락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6-129
    • /
    • 2007
  • 도수정복이 불가능한 슬관절 탈구는 아주 드물게 발생하며, 대부분의 도수정복이 불가능한 슬관절 탈구는 후외방 탈구 시 연부조직이 끼이면서 발생하게 되는데 저자들은 51세 여자환자의 슬관절 탈구에서 박리된 대퇴 내과 연골편에 의해 정복이 불가능했던 지금까지 보고가 없었던 예를 경험하였고, 이를 관절경을 이용한 변연절제술로 연골편을 제거하여 관혈적 수술이 필요 없이 정복을 얻을 수 있었으며 지연성 전방 및 후방 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