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혈적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초

견봉 쇄골 관절 탈구에 대한 견봉 쇄골 관절의 관혈적 정복술 (Open Reduction of Acromioclavicular Joint for the Acromioclavicular Joint Dislocations)

  • 송현석;최남용;한석구;나기호;남원식;양혁재;박성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9권2호
    • /
    • pp.189-195
    • /
    • 2006
  • Purpose: To analyze the result of the accurate open reduction of acromioclavicular (AC) joint and pin fixation, coracoclavicular (CC) screw fixation without CC ligament repair for AC joint injuri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3, seventeen cases with at least one year follow-up among twenty-one cases underwent operation for AC-CC ligament injuries. A transverse incision approximately 5 cm in length was made over the clavicle, and the AC joint was reduced accurately. Under the image intensifier, a cannulated screw and washer were inserted for the CC ligament. Two Steinman pins were inserted for the AC joint and the AC ligament was repaired with nonabsorbable suture. Gentle passive range of motion was begun postoperative 2 weeks. The pins were removed at $6{\sim}8$ weeks and the screw was removed at $10{\sim}12$ weeks. The results were evaluated by a distance between AC and CC joints on plain films and ASES score at last follow-up. Results: At the last follow-up, there was no limitation of motion and average ASES score was 96($86{\sim}100$ points). There was no failure showing over 5 mm difference of distance compared to opposite side on the plain films. Seven cases had the skin damages and local infection due to pin migration and three cases showed the loosening of CC screw. Conclusion: We could have satisfactory results by accurate reduction of AC joint and simple pins and screw fixation for AC-CC ligament injuries.

슬개골 골절 치료에서 초음파의 유용성 (Usefulness of Ultrasound in Treatment of Patella Fracture)

  • 김정만;남호진;라기항;박세욱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6-31
    • /
    • 2010
  • 목적: 방사선 소견에서 슬개골 골절이 발견되었을 때 치료 방침 결정에 초음파 영상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슬개골 골절로 치료받은 20명 20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가 8예, 여자가 12예였고, 우측이 13예, 좌측이 7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43세(14~72세)였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굴곡-신전시 슬개 지대 파열 여부를 보는 Drayer 검사와 연계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 하였다. 횡 골절이 10예, 종 골절이 8예, 분쇄 골절이 2예가 있었으며, 초음파를 이용하여 슬개 지대의 파열 유무와 Drayer 검사가 양성인지 음성인지를 보았다. 결과: 슬개 지대가 파열되지 않은 12예의 경우 전예에서 Drayer 검사는 음성이었으며, 별도의 고정 없이 보행을 허용하여 보존적 치료를 하였다. 슬개 지대가 완전 파열된 4예는 Drayer 검사가 양성이었으므로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였고, 슬개 지대가 부분적으로 파열되어 Drayer 검사가 음성이었지만, 골절의 전위가 2 mm 이상인 2예는 비관혈적 나사 고정술로 좋은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결론: 슬개골 골절에서 초음파는 방사선 소견, Drayer 검사와 연계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 하는데 유용한 검사 방법 중의 하나로 생각된다.

  • PDF

편측 하악 과두골절의 관혈적 치료에 있어서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들에 관한 임상 통계학적 연구 (CLINICO-STATISTICAL ANALYSIS OF POSSIBLE FACTORS LEADING TO PROBLEMS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UNILATERAL MANDIBLAR CONDYLE FRACTURES)

  • 성헌모;이동근;민승기;오승환;장관식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1호
    • /
    • pp.31-3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factors leading to the problem of unilateral condylar fractures and suggest a treatment guideline of treatment for good prognosis in surgical treatment. The factors can be age, sex, fracture site, degree of displacement, posterior occlusion loss, post-operative alteration of condylar head position, post-operative condylar head resorption, and maxillomandibular fixation period. One hundred and eleven patients with unilateral condylar fractures, who were treated by surgical method from 1990 Feb. to 2000 Feb., were studied. Minimum follow-up period was 6 month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age group of $41{\sim}60$, females had significantly higher complication rate than males, therefore we must be careful about treatment of female in this age group 2. In level I fractures of the mandibular condyle, because there were abundant complications when the patients were treated with fragment removal, conservative treatment is recommended over the surgical approach. 3.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mplication rate, in the level II, III fractures. but were severe complications in the cases of patients treated by Dr.Nam's method or fragment removal. Therefor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is recommended over Dr.Nam's method or fragment removal. 4. In level IV fractures,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is recommended 5. Although there was a higher complication rate depending on the degree of deviatio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deviation and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in each level of fracture 6. Because the complication rate was higher in cases of condylar resorption, vertical dimension loss, and alteration of condylar head position, we must make an effort to prevent such complications during treatment

  • PDF

말기신부전환자에서 우심방 우종을 동반한 심내막염 환자의 수술 1례 (Active Infective Endocarditis with Vegetation of Right Atrium in Patient with End-stage Renal Disease)

  • 김창영;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9호
    • /
    • pp.680-683
    • /
    • 2002
  • 우측 심장에 발생한 감염성 심내막염은 전체 감염성 심내막염의 5%를 차지하며 이중 70%이상에서 선천성 심기형이나 후천성 판막질환 등에 동반되어 발생한다. 환자들은 약물 남용의 과거력을 갖는 경우가 많으며, 혈액투석 등 의인성 감염성 심내막염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우측 심장에 발생한 감염성 심내막염은 항생제 치료에 대한 반응이 우수하고,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더라도 판막손상이나 색전에 의한 합병증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기 때문에 수술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만성신부전으로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들은 관혈적 투석경로를 통해 균혈증에 노출되고 이로 인해 감염성 심내막염이 속발된다. 본 교실에서는 혈액투석을 받던 말기신부전 환자에서 정맥내 도관과 관련하여 삼첨판막이나 폐동맥판막의 침범없이 우심방내 우종을 동반한 심내막염이 발생하였으며, 항생제 치료를 시행하였으나 반응이 없어 수술을 시행하였다. 속목정맥도관과 관련된 우측 심장의 감염성 심내막염은 혈액투석환자에서 매우 드물게 발생하지만 진단이 지연되고 이로 인해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못하여 병원내 사망률을 높이므로 적극적인 진단과 처치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하악 우각부 골절 시 2개의 miniplate를 이용한 관혈적 정복술에 대한 전향적 예비 임상연구 (The prospective preliminary clinical study of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using 2 miniplates)

  • 양승빈;장창수;김주원;임진혁;김좌영;양병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6권4호
    • /
    • pp.320-324
    • /
    • 2010
  • Introduction: The placement of a single miniplate is not sufficient to achieve rigid fixation in mandibular angle fractures. It often causes difficulties in reducing the intermaxillary fixation (IMF) period. Consequently, the placement of 2 miniplates is preferable. The intraoral approach in an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RIF) of a mandibular angle fracture with 2 miniplates is often challenging. Accordingly, an alternative of transbuccal approach is performed. However, this method leaves a scar on the face and can result in facial nerve injury. This clinical study suggests a protocol that can maintain rigid fixation without a transbuccal approach in mandibular angl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e subjects were 7 patients who sustained fractures of the mandibular angle and treated at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Sacred Heart Hospital, Hallym University. ORIF under general anesthesia was done using the intraoral approach. One miniplate was inserted on external oblique ridge of the mandible, and the other was placed on lateral surface of the mandibular body with contra-angle drill and driver. A radiographic assessment and occlusal contact point examination was carried out before surgery, and 2, 4 and 6 weeks after surgery. Results: The mean operation time was 80 minutes. Regarding the occlusion state, the number of contact points increased after surgery. Paresthesia and infection were reported to be complications before surgery. Conclusion: The placement of 2 miniplates using contra-angle drill for ORIF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allows early movement of the mandible without IMF. We propose this approach to reduce the patients’discomfort and simplify the surgical procedure.

최근 10년간 소아 청소년에서 발생한 하악 과두 골절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f the Mandibular Condyle Fracture in Children and Young Adolescents)

  • 최수지;이정근;송승일;김승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 청소년에서 발생한 하악 과두 골절의 빈도, 원인, 골절의 임상적 양상 및 치료 방법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통해 연령에 따른 하악 과두 골절의 임상적 특징 및 치료방법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최근 10년간 아주대학교 치과병원에서 하악 과두 골절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만 15세 이하의 환자 4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하악골 골절 중 하악 과두 골절의 빈도는 환아의 연령이 어릴수록 높았다. 하악 과두 골절의 원인으로 넘어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만 4 - 7세 군에선 과두부(condyle head) 골절이 91.7%를 차지하였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과두경부(condyle neck) 골절 비율이 증가하였다. 하악 과두 골절 환아의 54.5%에서 하악 정중부 골절이 동반되었으며, 정중부 골절이 동반된 경우 구치부 치아 손상 빈도는 하악 과두 골절 단독인 경우에 비해 높았다. 44명 환아 중 43명에서 보존적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양측 과두의 심각한 골편 변위를 가진 1명 환아에서 관혈적 수술이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소아 청소년에서 발생한 하악 과두 골절의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에 의미있는 자료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진구성 전방 십자 인대 견열 골절의 수술적 치료 (The Surgical Treatment of Chronic Avulsion Fracture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 송은규;설종윤;최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1-36
    • /
    • 2002
  • 목적 : 진구성 전방 십자 인대 견열 골절의 치료후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손상후 3개월 이상 지난 진구성 전방 십자 인대 견열 골절로 진단 받고 본원에서 치료받은 환자중 2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11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6세(9-66)이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53개월(24-131)이었다. 수술은 전 예에서 관절경하에 병변의 확인 및 동반 손상의 치료후 관혈적 정복을 통한 내고정이나 골편 제거술을 시행하였다. 고정 방법은 8예에서 견인 봉합술을 2예에서 나사못 고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 Lysholm knee score는 술전 평균 64.3점에서 술후 96.2점으로 호전되었으며, 술전 Lachman 검사상 7예에서 경도의 양성, 4예에서 중등도의 양성 소견을 보였으며 술후 Lachman 검사상 9예는 음성이었으며, 2예에서 경도의 양성소견을 보였다. Meyers와 Mckeever의 평가 기준에 의하면 9예$(81.8\%)$에서 우수, 2예$(18.2\%)$에서 양호의 결과를 보였다. $Telos^{\circledR}$기기를 이용한 건측과의 전방이완도 차이의 평가에서 술전 평균 7.8(10-4)mm의 차이를 보였으며 술후 최종 추시상 평균 2.1(6-0)mm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진구성 전방 십자 인대 견열 골절에 대한 치료에 있어 관절경 검사를 통해 동반 손상의 평가와 관절 절개술을 통해 해부학적 정 복과 고정 또는 골편 제거를 병행함으로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및 근위 상완골 골절 - 1예 보고 - (Recurrent Shoulder Dislocation and Proximal Humerus Fracture in Neurofibromatosis Type I - A Case Report -)

  • 황태혁;조형래;왕태현;양희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35-140
    • /
    • 2013
  •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재발성 견관절 탈구 및 동반된 근위 상완골 골절 1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제 1형 신경 섬유종증으로 진단된 20세 남자로 가벼운 외상 후 발생한 우측 견관절의 탈구와 근위 상완골 골절로 내원하였다. 수상측 주관절부에는 큰 망상형 신경 섬유종들이 있었으며 견관절 탈구는 재발성 병변이었다. 단순 방사선과 컴퓨터 단층 촬영 소견 상 상완골과 견갑골의 골성 변형을 보였고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상 삼각근과 회전근 개에 다발성 신경 섬유종성 변화가 관찰되었다. 관혈적 정복술 및 관절막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근위 상완골 골절은 재건 금속판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골유합과 만족스런 기능 회복을 보였으며 수술 후 7개월 추시 상 견관절 탈구의 재발은 관찰되지 않았다. 제 1형 신경 섬유종증 환자에서 발생한 견관절 재발성 탈구와 근위 상완골 골절은 드문 합병증이나 질환의 정형외과적 접근 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완골 간부 골절에서 교합성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 후 잔존한 골절편 전위에 대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시 (Clinical and Radiographical Follow-up for Residual Displacement of Fracture Fragments after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in Humeral Shaft Fractures)

  • 염재광;임동주;정의엽;손수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07-114
    • /
    • 2013
  • 목적: 상완골 간부 골절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을 시행한 후 잔존한 전위에 대해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7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상완골 간부 골절에 대해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 후 잔존한 전위가 10 mm 이상, 20 mm 미만인 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4.1세(43~70세), 남자 3예, 여자 5예였다. 수술 직후 단순 방사선 사진으로 전위와 각형성의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추시 방사선 사진으로 이의 호전 정도와 골유합, 합병증 여부를 확인하였다. 술 후 견관절 및 주관절의 운동 범위와 통증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고, 평균 골유합 기간은 16.1주였다. 최종 추시 견관절 및 주관절의 운동범위는 대부분 정상 범위로 돌아왔다. 1예에서 견관절 강직으로 인하여 관절경적 관절낭 이완술 및 도수 조작술 후 운동범위를 회복하였으며, 일시적인 견관절 통증 1예, 주관절 통증 1예가 있었다. 2예에서 근위 나사못의 빠짐이 있었으나 모두 골유합을 얻었다. 결론: 상완골 간부 골절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 고정 후 잔존한 전위에도 불구하고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우수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기 때문에, 관혈적 정복 또는 추가 고정은 필요하지 않았다.

무지 중수지 관절의 외상성 탈구 치료 (Treatment of Traumatic DislocationofMetacarpophalangeal Joint of the Thumb)

  • 이승구;송석환;이화성;정진화;정도현;이원희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43-148
    • /
    • 2002
  • 목적: 임상적으로드물며, 발생시도수정복이잘안되는무지중수지관절복합탈구의임상적결과를알아보고자하였다.대상및방법: 무지중수지관절의외상성탈구11예(10예후방탈구, 1예전방탈구)를대상으로초기에탈구의정복가능성,도수정복을방해하는해부학적요인, 수술적접근법에관하여조사하였다.결과: 모든증례에서초기에도수정복을시도하였으나, 2예에서만이정복이되었다. 8 례는전방도달법으로관혈정복을하였고, 1예는만성적인소견을보여관절고정술을시행하였다. 정복방해요인은파열된수장판내로근위부에서단무지굴건과요측종자골이감입되어있었고, 중수골두는파열된인대와단무지굴건사이에형성된간격사이로빠져나와있었다.결론: 과신전에의한중수지관절의후방복합탈구는드물지만, 정복이쉽지않아서주로관혈정복이요구되며, 이때정복방해요인인파열된수장판과관절막, 단무지굴건과종자골등에관심을갖고치료에임하여야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