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통손상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7초

경부 1구역의 관통상에 의한 혈관 손상의 치험 - 2예 보고 - (Penetrating Vascular Trauma to Zone One of the Neck - A report of two cases -)

  • 김상익;김병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1호
    • /
    • pp.128-132
    • /
    • 2008
  • 경부 1구역은 주요혈관과 식도, 기관 등 생명 유지 기관들이 조그만 구역 속에 밀집되어 있고 접근하기도 힘들어서 경부 1구역 관통상 시에 위중할 수 있는데 특히 혈관 손상이 발생할 경우 생명이 위협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손상 정도의 평가 후 적극적이고 신속한 외과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 경부 1구역의 관통상에 의한 혈관 손상을 치험 하였기에 보고한다.

체외순환을 이용한 경부자상 치험 1례 (Management of Cervical Stab Wound Using CPB - 1 case -)

  • 김현구;최영호;류세민;백만종;신재승;조성준;손영상;김학제;이인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7호
    • /
    • pp.581-584
    • /
    • 2000
  • 정부 기관 및 식도 관통 손상은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동반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진단 및 치료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관 및 식도의 복합손상을 가진 한 환자에서 체외 순환을 이용해 봉합수술을 시행하였고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경부의 깊은 손상으로 인한 출혈과 감염을 미리 조치할 수 있다면 기관과 식도의 관통산 때 체외순환을 이용하여 수술하는 srjt이 안전한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외상성 횡격막 손상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Traumatic Diappragmatic Injuries)

  • 이성주;구원모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0호
    • /
    • pp.1005-1009
    • /
    • 1997
  • 흉부와 복부장기 두 곳에 손상을 심하게 받으면 쇼크와 급성 호흡곤란이 동시에 발생하여 치명적일 수 있 다. 둔상이나 관통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외상성 횡격막 손상은 대부분 홉부와 복부에 퐁반 손상이 유발 됨 으로 이에 대한 요인 및 평가는 중요하다 본 연구는 1993턴 3월 부터 1997년 2월 까지 5년간 서을 위생병원 흉부외과에서 치료받은 17명의 횡격막 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36.2세였고 남 녀 성별 비율은 3.2 1이었다. 들상에 의한 손상(N=5, 우측=4, 좌측긱)은 29.5%, 관통상에 의한 손상(N=12, 우측f5, 좌측:7)은 70.5%이었다. 호흡곤란이 가장 흔한 증상(76%)이었고, 손상의 크기(mean$\pm$ SD)는 둔상(9.8 $\pm$3.7 Cm)이 관통상의 경우(3.2$\pm$1.3 Cm) 보다 컸으며(P<0.05) 모든 환자에서 동반 손상이 있었고 치료는 수 술적 방법으로 개흉술 11례(64%), 개복술 3례(18%)그리고 개흉복술 3례(18%)였다. 다른 장기의 손상으로 수 술 중 발견된 횡격막 손상은 관통상의 경우 5례(41%)였다 흉부나 복부에 둔상이나 관통상을 입은 환자에 일 단 횡격막 손상을 의심해 보고 평가하여 뒤늦게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외상성 횡격막 손상 (Traumatic Injuries of the Diaphragm)

  • 김덕실;허동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433-439
    • /
    • 1996
  • 경북대 학교병원에서는 1980년 1월부터 1995년 7월까지 들상에 의한 횡격 막 손상 환자 32례와 관통상 에 의한 12례를수술 치료하였다. 평균연령은둔상의 경우)7.6세,관통상의 경우29.2세로,들상의 경우 가 평 균 8.4세가 높았다(p<0.05). 진단은 단순 흉부 X-선 사진으로 횡격막 손상을 진단한 경우가 둔상에서는 24례 (75%), 관통상에서는 4fl (33%)였다. 관통상에서는 횡격막 손상의 의심 없이 다른 장기손상으로 수술하여 횡격막 파열이 발견 된 경우가 7례 (58%)였다. 탈장은 둔상시 24례 (75%), 관통상시 5례 (42%)에서 발생 하였다. 탈장이 발생 한 29례의 횡격막 손상의 크기는 10.9 $\pm$ 4.3cm, 발생하지 않은 15례는 3.5 $\pm$ 2.9cm로 양군간의 크기 의 차 이가 있어 (p<0.05) 횡격막 손상의 크기와 탈장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수출은 진단 즉시 시 행하였으며, 수술시 절개방법은 들상의 경우 20례 (6)%)에서 개흥술, 9례 에서 개 복술, 2례 에서 개흥복술, 1례 에서 개흥술 및 개복술을 분리 시행하였으며, 관통상시에는 6례 (50%)에서 개복술, 4례에서 개흥술, 2례에서 개흥술 및 개복술을 분리 시행하였다. 수술 후 합병증은 둔상시 6례 (19%), 관통 澯\ulcorner3례 (25%)에서 발생하여 비교적 높았다. 수술 후 사망률은 들상의 경우 2례 에서 사망하 였고(6.3%), 관통상의 경우는 사망례가 없어 전체 사망률은 4.5%였다. 결론적으로흥복부 외상시 횡격막 손상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하며, 둔상의 경우횡격막손상의 크기는 관통상에 의한 경우보다 더 크며, 탈장도 횡격막 손상의 길이 에 비례하여 더 많이 발생하였다.

  • PDF

기관, 식도, 척수를 관통한 자상 치험 - 1예 보고 - (Trachea, Esophagus, and Spinal Cord Injury Caused by Stab Wound - A case report-)

  • 김종인;조성래;박억숭;김형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808-811
    • /
    • 2010
  • 자상에 의한 기관, 식도, 척수 관통상은 발생빈도가 낮은 손상으로 점차 그 빈도는 줄어드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단 발생하면 매우 심각한 증상을 유발하여 생명의 위험을 초래하고, 많은 합병증을 야기하기 때문에 조기에 진단하여 외과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저자는 60세의 남자 환자가 자신의 목에 과도로 자상을 입혀 발생한 기관 및 식도 열상, 그리고 척수 손상에 의한 하반신 마비의 치험 사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증기발생기 급수링 관통손상 원인 및 영향 고찰 (Study on Cause and Effect of SG Feed Water Ring Through-Wall Hole)

  • 이성호;이요섭
    • 한국압력기기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61-68
    • /
    • 2015
  • The function of Feed Water Ring is to provide the flow path from Feedwater Nozzle to inside of SG(steam generator). Significant amounts of general FAC on the outside of the Feed Water Ring are not likely due to the low flow velocities in this area. However, on the interior of the Feed Water Ring, there may be areas of local higher flow velocity which could lead to higher FAC rates. These may include the inlet tee from the Feedwater Nozzle into the Feed Water Ring, the areas where the Feed Water Ring changes diameter, and especially the entrance area to the J-Nozzles.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root cause analysis of through-wall hole observed at domestic WH 51F SG Feed Water Ring and its effect on the integrity and performance of SG are described. And, the maintenance strategy for WH 51F SG Feed Water Ring and the monitoring strategy for Downcomer Feed Water Ring of CE System 80 SG are presented.

물리적, 화학적 원인에 의한 섬유 손상 데이터 분석 (Analysis of Fiber Damage data Due to Physical and Chemical Causes)

  • 서지영;유재두;이동민;박초원;윤영욱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2호
    • /
    • pp.93-10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칼과 가위 및 화학약품에 의한 물리·화학적 섬유 손상을 분석하여 손상의 원인 파악을 위한 기술 데이터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하였다. 칼 4종류 및 가위 5종류와 4종류의 화학약품(황산, 염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을 이용하여 면(Cotton), 울(Wool), 폴리에스터(Polyester), 레이온(Rayon), T/C(Polyester 50%, Cotton 50%), T/W(Polyester 50%, Wool 50%)에 물리·화학적 손상을 생성하여 공구와 화학약품에 따른 손상을 분석하였다. 칼과 가위에 의한 관통 손상은 칼의 날 부분이 관통한 경우 공통으로 "V" 유형의 손상이 나타났으며, 칼의 등 부분이 관통한 칼의 경우 "T", "ㅁ", 갈고리, "ㄷ" 유형의 손상이 나타났다. 또한, 가위의 경우 모두 "Y" 유형의 손상이 공통으로 나타났다. 화학약품에 의한 섬유 손상은 유류 흔적, 부식, 분해, 수축, 변색 등 다양한 손상이 나타났으며, 화학약품과 섬유의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손상에 차이를 보였다. 섬유의 물리적 손상은 공구의 형태적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특징에 차이를 보였으며, 화학적 손상은 화학약품과 섬유의 종류에 따른 특징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Alloy 600TT 증기발생기 전열관내 일렬 원주방향 표면 일차수응력 부식균열 성장에 미치는 균열 간격의 영향 고찰 (Investigation on Effect of Distance Between Two Collinear Circumferential Surface Cracks on Primary Water Stress Corrosion Crack Growth in Alloy 600TT Steam Generator Tubes)

  • 허은주;김종성;전준영;김윤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3호
    • /
    • pp.269-273
    • /
    • 2015
  • 일차수응력부식균열 개시 모델과 거시적 현상학적인 손상역학 접근론에 기반한 유한요소 손상해석을 수행하여 Alloy 600TT 로 제작된 원전 증기발생기 전열관에 발생하는 일렬 원주방향 표면 일차수응력부식균열의 성장에 미치는 균열 간격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기존 연구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손상해석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검증된 방법을 일렬 원주방향 표면 일차수응력부식균열에 적용하였다. 적용한 결과, 단일 균열에 비하여 일렬 균열의 경우 보다 빠른 합체시간과 관통시간을 보이며 균열 간격이 증가할수록 합체시간과 관통시간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정 간격이상으로 두 균열이 떨어지면 합체 이전에 관통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외상성 횡격막 파열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Traumatic Diaphragmatic Rupture)

  • 권영무;신현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5호
    • /
    • pp.517-523
    • /
    • 1997
  • 동국대학병원에서는 1992년 2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3년 10개월동안 외상에 의한 횡격막 파열환자 14fl를 수술치험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대상환자는 남자가 10례, 여자가 4례였고, 연령은 17세부터 73세까지로 평균연령은 41.7세였다. 손상의 원인은 둔상 12r11(85.7%), 관통상 2fBl(14.3%)였으며, 둔상에서는 교통사고 lIfTl, 압좌상 1례였고 관통상은 2례 모두 칼에 의한 자상이었다. 들상에 의한 횡격막 파열 12례 중에서는 좌측 손상이 7례(58.3%), 우측 손상이 5례(41.7%)로 우측 파열이 비교적 많은 비율을 차지굻였으며, 관통상에 의한 2례는 모두 우측 파열이었다. 단순흉부촬영, 전산화단층촬영, 초음파검사, 그리고 방사선투시검사 등을 이용하여 횡격막 파열을 진단하였으며, 14례 중 8례는 술전 진단하였고(57.1%), 술전 진단이 안된 경우는 6511(42.9%)였으며 모두 우측 파열이었다. 이들 중 5례는 횡격막 파열을 의심하여 시행한 시험적 개흉술로 진단하였으며, 1례는 동반손상에 대한 개흉술 중에 발견되었다. 우측 파열 7례는 개흉술로 수술하였으며, 좌측 파열의 경우 6례는 개복술로, 1례는 개복술 및 개흉술로 수술하였다. 술후 2례에서 사망하 \ulcorner수술사망율은 14.3%였다.

  • PDF

철근비 및 충돌속도가 RC 슬래브의 국부손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Reinforcement Ratio and Impact Velocity on Local Damage of RC Slabs)

  • 최현;정철헌;유현경;김상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A호
    • /
    • pp.311-321
    • /
    • 2011
  • RC 슬래브에 배근되는 철근비와 충격체의 충돌속도가 국부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일련의 충돌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철근비는 관입깊이 및 관통두께에 별 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후면 콘크리트의 탈락면적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격체의 충돌속도가 증가할수록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국부손상 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해석결과는 격납건물 및 구조물의 내충격설계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