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측

Search Result 13,96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Analysis of Rainfall Estimation Errors on Measurement with Rainfall Radar Observation Intervals (강우레이더 관측주기에 따른 강수량 오차 분석)

  • Hwang, Seok Hwan;Cho, Hyo Seob;Lee, Keon Haeng;Hyun, Myung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7-97
    • /
    • 2018
  • 기후변화로 악화되는 수문기상 환경에서 돌발홍수 예보, 짧은 지속기간(5분)의 확률강우량 생산 등을 위해서는 짧은 관측 주기의 강수량 생산 고려 필요하다. 지상강수량은 1분 간격으로 생산(기상청)하고 있으나 공간적으로 보다 정밀한 레이더 강수량은 기상청 10분, 국토교통부 2.5분 간격으로 생산하고 있는 현실이다. 연속으로 누적하여 강수량을 측정하는 강수량계와는 달리 레이더의 관측방식은 순간 관측 방식으로 회전 속도 혹은 주기에 따라 강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 특히 홍수예보를 위한 강수관측이 주목적인 국토교통부 강우레이더의 경우 최근의 돌발홍수 발생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초단시간(2분 이내) 강수량 생산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측 주기에 따른 관측 강수량 오차(불확실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샘플링 방법을 이용하여 10분까지의 레이더 관측주기에 따른 1시간 누적강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관측 주기에 따른 지상강수량계(AWS)와의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 및 정규화오차 정확도(1-NE)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샘플링 주기의 증가에 따라 오차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강수량 추정의 정확도가 중요한 홍수예보를 위해서는 짧은 주기의 관측(짧은 주기의 강우량 생산)이 정확도 확보 측면에서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reliminary Analysis of Intensive Observation Data Produced by the National Center for Intensive Observation of Severe Weathers (NCIO) in 2002 (2002년 국가 악기상 집중관측센터에서 생산된 집중관측자료의 분석 및 활용)

  • Kim, Baek-Jo;Cho, Chun-Ho;Nam, Jae-Cheol;Chung, Hyo-Sang;Kim, Jeong-Hoon
    • Atmosphere
    • /
    • v.13 no.4
    • /
    • pp.57-70
    • /
    • 2003
  • The National Center for Intensive Observation of Severe Weathers (NCIO) as a part of METRI's principal project "Korea Enhanced Observing Period; KEOP" was established at Haenam Weather Observatory in order to effectively monitor and observe heavy rainfall in summer, which is essential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structure and evolution mechanism of mesoscale severe weather system. The intensive field-based experiments in 2002 within southwestern Korea toward various meteorological phenomena ranging from heavy rainfall to snowfall were conducted in collaboration with KMA(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universities. In this study, preliminary analysis results using intensive observation data obtained from these experiments are presented together with the introduction of NCIO and its operational structure.

Development of OWL Scheduler (OWL 스케줄러 개발)

  • Im, Hong-Seo;Park, Seon-Yeop;Kim, Jae-Hyeok;Choe, Jin;Jo, Jung-Hyeon;Lee, Jeong-Ho;Jin, Ho;Geum, Gang-Hun;Park, Yeong-Sik;Bae, Yeong-Ho;Choe, Yeong-Jun;Mun, Hong-Gyu;Park, Jang-Hye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221.2-221.2
    • /
    • 2012
  •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OWL: Optical Wide-field Patrol)는 관측소들의 자동운영을 통한 인공위성의 궤도정보추출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각각의 관측소에서 매일 밤 운영되어야 하는 관측명령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스케줄러를 개발하였다. 스케줄러는 OWL 본부가 설치될 한국천문연구원의 NOS(Network Operating System) 서버에 설치 운영된다. 스케줄러는 사용자가 정한 관측대상 인공위성의 관측우선순위와 OC(Orbit Calculation) 서브시스템이 제공한 위성궤도정보를 바탕으로, 시간에 따른 관측수행내용을 기록한 관측명령서(OCF: Observation Command File)를 작성한다. 작성된 OCF는 각 관측소가 관측을 시작하기 전까지 해당 관측소로 전달되며, 관측소는 OCF를 바탕으로 관측을 수행하게 된다. 스케줄러는 "제한조건반영" 및 "OCF작성" 등 2부분으로 구성된다. "제한조건반영"은 관측시스템의 특징을 스케줄러에 반영하는 단계로써 시야각 등 광학계의 특징, 필터 등 주변 장비의 특징, CCD 카메라의 노출대기시간 등 검출기의 특징 등이 이에 포함된다. 사용자는 장비의 교체 및 개선 등 관측시스템 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제한조건반영"에 이를 적용함으로써 스케줄러가 새로운 시스템에 쉽게 적용할 수 있다. "OCF작성"은 "제한조건반영"의 내용을 바탕으로 관측대상위성을 선정하는 , 위성 관측 구간 중 최대한 많은 노출 횟수를 산출하는 , 한 장의 영상에서 최대한 많은 궤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등 3개의 알고리즘에 의해 OCF를 작성한다.

  • PDF

Selection of the Optimal Traffic Counting Links using Integer Program Method for Improving the Estimation of Origin Destination Matrix (기종점 OD행렬의 추정력 향상을 위한 교통량 관측구간 선정)

  • Lee, Heon-Ju;Lee, Seung-Jae;Park, Yong-K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2 no.6
    • /
    • pp.57-66
    • /
    • 2004
  • When we estimate an origin-destination matrix from traffic counts. origin-destination matrix estimation from traffic counts according to the selected optimal traffic counting links is method for improving the results of origin-destinaation matrix estimation and for increasing economic efficiency. This paper proposed model of selecting traffic counting links using integer program technique, and selected a traffic counting links using this model, and estimated and origin-destingtion matrix from traffic counts according to the selected optimal traffic counting links. Also, we compared a result of estimating origin-destination matrix from the selected optimal traffic counting links using this model to a result of estimating origin-destination matrix from the randomly selected traffic counting links. The error analysis result was more improved a result of origin-destination matrix estimation using this model than a result of randomly selected links.

Research on the prediction of stream water level using Samcheok electromagnetic precipitation observation station (삼척 전파강수관측소 추정강우를 활용한 하천 수위 상승 예측 연구)

  • Yoon, Seong Sim;Lim, Sanghun;Jeong, Hyeon Gyo;Cho, Yo 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1-11
    • /
    • 2021
  • 2018년부터 삼척지역에는 전파강수관측소(X-band 이중편파레이더)가 설치되어 현업 운영 중에 있다. 해당 지역은 영동지역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지형적인 여건으로 지상강우관측망과 기존 대형 강우레이더로도 정확한 강우관측에 한계가 있었다. 설치 이후 전파강수관측소의 품질관리와 최적 관측전략 수립, 분포형 비차등위상차 기반의 강우추정 기법의 적용으로 정량적 추정강우의 정확도가 확보되어 75m의 고해상도 격자강우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파강수관측소의 정량적 추정강우를 홍수예보에 활용하기 위해서 강우기반의 하천 수위 예측 기법인 하천흐름계산도표를 개발하였다. 하천흐름계산도표가 개발된 지역은 삼척 전파강수관측소의 관측 반경에 포함되는 삼척오십천 유역이며, 해당지역은 수변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어 시민의 접근이 용이하여 하천 수위 급상승으로 인해 피해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2019년과 2020년 호우사례를 대상으로 개발된 하천흐름계산도표에 전파강수관측소의 정량적 추정강우를 적용하여 하천수위 상승 예측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대상으로 강우관측소 강우자료와 환경부 대형 강우레이더 강우자료의 적용결과를 함께 비교하였다. 비차등 위상차 기반의 강우추정 기법을 적용하여 산정된 삼척 전파강수관측소의 정량강우는 기존의 강우추정 결과(SRI, CMP_HFC)보다 강우추정 정확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10km 관측 반경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삼척 전파강수관측소 추정강우를 하천흐름 계산도표에 적용한 결과, 2020년 9월 7일 호우에 의해 삼척오십천 유역에서 관심수위 초과(10:20), 주의수위 초과(11:20)가 발생하였는데, 삼척 전파강수관측소 추정강우가 관심수위 초과 1시간 50분 전에 수위상승을 예측하였고, 주의수위 초과 30분전에 수위상승을 예측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하천흐름계산도표와 삼척 전파강수관측소의 홍수예보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Study on the Computation of World Geodetic System Result Using GPS Surveying (GPS관측에 의한 세계측지계 성과 산출에 관한 연구)

  • Choi Byoung-Gil;Kim Uk-Nam;Lee H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6.04a
    • /
    • pp.59-6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GPS관측에 의한 세계측지계 성과의 산출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GPS 관측 데이터와 상시관측소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세계측지계 성과를 산출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한다. GPS 관측 데이터의 후처리 결과 상시관측소의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와 사용하였을 경우의 폐합차를 분석한 결과 모두 정밀1차 기준점 측량작업규정에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PS상시관측소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측점 지점의 좌표를 산출한 결과, 상시관측소 3개소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비해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의 오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1개소 사용, 2개소 사용할 때 점차적으로 오차가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시관측소를 고정점으로 사용하되 적어도 3점이상의 점을 사용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제한된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GPS 상시관측소의 관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세계측지계의 성과를 산출 한 연구로 향후 광범위한 지역에서의 GPS 상시관측소의 활용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낙동강수계 강수량관측소의 주변환경 및 관측망 개선

  • Choe, Gyu-Hyeon;Hong, Seong-Hun;Park, Jeong-Sul;Kim, Chi-Yeong;Kim, Sam-Eun
    • Water for future
    • /
    • v.45 no.9
    • /
    • pp.59-64
    • /
    • 2012
  • 강수량관측소의 주변여건은 강수량자료의 신뢰도를 좌우할 만큼 중요하며, 이러한 강수량 자료는 낙동강홍수통제소의 수문조사, 홍수예보, 레이더 강우의 검보정 등의 기초자료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낙동강홍수통제소가 관리 중인 강수량관측소의 주변 환경 여건 변화로 관측 자료의 신뢰도 저하의 우려가 있고 기후변화 등에 따른 돌발홍수, 국지적 강수로 인한 관측소의 설치 위치의 재검토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홍수통제소가 관리 중 강수량관측소의 현황조사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신뢰도를 제고하고, 낙동강유역을 대표할 수 있는 관측망을 분석하여 강우자료의 신뢰성 및 정확도를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개정된 하천법에 맞는 수문조사시설 관리대장을 체계적으로 DB화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대국민 및 관련 업무담당자에게 제공하는 정보체계를 수립하는데 있다.

  • PDF

Adequate Radar Scan-Interval for Accurate Urban Flood Prediction (도시홍수 예측을 위한 레이더 적정 관측주기 분석)

  • Hwang, Seok Hwan;Cho, Hyo Seob;Lee, Dong 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8-78
    • /
    • 2015
  • 조기에 홍수 위험을 예측하고, 빠르게 이동 또는 진화하는 강수 사상을 추적하기 위해서는 높은 시간 해상도의 실시간 강우 생산이 필요하다. 레이더는 순간 강우강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긴 시간 간격의 관측 주기는 빠르게 움직이는 폭풍의 레이더 QPE에 상당한 샘플링 오차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관측주기에 따른 강우량의 정량적 차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검토는 2013-2014년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 X-Band 이중편파레이더로 관측된 사상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소 관측주기(관측전략에 따른 최소 관측주기)를 토대로 샘플링을 하여 긴관측주기 자료를 생산하였다. 비교결과, 약 5분 관측주기에서도 5 %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상당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보면 도시홍수 관측을 위해서는 대략 1-2분 정도의 관측주기를 유지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하수위 변동 특성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국가 지하수 관측망 자료에의 적용

  • 강인옥;구민호;원종호;백건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92-9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위 변동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건설교통부에서 설치, 운영하고 있는 169개 국가 지하수 관측소의 264개 지하수관측정에서 측정된 지하수위자료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암반대수층과 충적층대수층의 평균수위 및 변동양상이 대체적으로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관측소 설치 지역의 대부분에서 충적층(10m 내외)과 암반층(70m 내외)이 수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6시간 간격의 지하수위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위가 상승하는 횟수, 상승량의 합계 산정 등 변동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양 및 지구 조석의 영향을 받는 관측정의 경우 지하수위 상승 개수가 450개/yr 이상이 대부분이며, 수위 변동량은 0.1 ~ 1m 정도이고, 수위변동 자료를 시계열로 나타내 보면 하루에 약 2번의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는 수위변동 형태를 볼 수 있었다. 양수의 영향이 우세한 관측정에서는 수위 상승 개수가 약 360개/yr, 수위 변동량은 1m 이상의 값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지하수위 상승량은 암반/충적 관측정 모든 관측정에서 전반적으로 강수량과의 상관계수가 높았으며, 같은 관측정의 .자료라도 6시간 간격의 관측 자료보다, 12시간 및 24시간 관측 간격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타났다. 12시간 및 24시간 관측 간격으로 분석할 경우 조석 및 양수에 의해 발생된 주기적인 지하수위 변동 성분이 제거되면서 강수에 대한 지하수위 반응의 상관도가 높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 PDF

Novel Fuzzy Disturbance Observer based on Backstepping Method For Nonlinear Systems (비선형 시스템에서의 백스테핑 기법을 이용한 새로운 퍼지 외란 관측기 설계)

  • Baek, Jae-Ho;Lee, Hee-Jin;Park, Mig-N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7 no.2
    • /
    • pp.16-24
    • /
    • 2010
  • This paper is proposed a novel fuzzy disturbance observer based on backstepping method for nonlinear systems with unknown disturbance. Using fuzzy logic systems, a fuzzy disturbance observer with the disturbance observation input is introduced for unknown disturbance. To guarantee that the proposed disturbance observer estimates the unknown disturbance, the disturbance observation error dynamic system is employed. Under the framework of the backstepping design, the fuzzy disturbance observer is constructed recursively and an adaptive laws and the disturbance observation input are derived. Numerical examples are given to demonstrate the validity of our proposed disturbance observer for nonlinear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