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측활동

검색결과 462건 처리시간 0.022초

우주선 세기 일변화 최대 및 최소 지방시 (LOCAL TIMES OF GALACTIC COSMIC RAY INTENSITY MAXIMUM AND MINIMUM IN THE DIURNAL VARIATION)

  • 오수연;이유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3권2호
    • /
    • pp.117-126
    • /
    • 2006
  • 지상에서 우주선 측정기(NM, Neutron Monitor)로 관측되는 우주선 세기의 일변화는 일평균 값의 $1{\sim}2%$ 정도의 진폭을 갖는 사인곡선의 형태를 보인다. 본 연구는 NM 관측소에서 우주선 일변화의 최대 및 최소 세기가 관측되는 지방시 변화의 통계적 경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주선 일변화 최대 및 최소 세기 시각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우주선 중성자 관측소의 위치(cut-off rigidity)와 태양활동도의 영향을 분석해 보기 위해서 저위도 지방의 Haleakala(위도: 20.72N, cut-off rigidity: 12.91Gev)와 고위도 지방의 Oulu(위도: 65.05N, cut-off rigidity: 0.81Gev) 우주선 중성자 관측소의 1996년(태양활동 극소기) 및 2000년(태양활동 극대기) 우주선 관측 자료를 분석하였다. 태양활동 극대기의 우주선 일변화 최대 및 최소 세기 시각은 태양활동 극소기에 비해 약 $2{\sim}3$시간 정도 늦은 시각에 나타난다. 우주선 중성자 관측소의 위치 즉 위도별 분포(rigidity의 크기)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면, cut-off. rigidity가 Haleakala보다 작은 Oulu에서 우주선 일변화 최대 및 최소 세기 시각이 약 $2{\sim}3$시간 정도 늦게 나타나며, 이러한 현상은 극대기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태양활동에 따른 행성간 자기장 세기의 변화와 위도에 따른 cut-off rigidity의 크기에 따라 우주선 세기 일변화 위상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다목적 실용위성 1호로 관측한 저위도 상부이온층의 태양 활동에 따른 전자 온도 및 밀도의 변화

  • 김희준;이재진;박재흥;민경욱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3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2권2호
    • /
    • pp.102-102
    • /
    • 2003
  • 다목적 실용위성 1호로 2000년 6월 28일에서 2001년 8월 1일까지의 고도 685 Km, 22:50LT 지역시(Local Time)인 상부 이온층을 조사하였다. 위성에 탑재된 이온층 측정 센서(Ionospheric Measurement Sensor)로부터 전자 온도와 전자 밀도 데이터를 얻었으며, 자기 위도로 -60$^{\circ}$ ~ +60$^{\circ}$사이의 중ㆍ저위도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관측 기간은 지자기 변화를 나타내는 Kp index나 태양 활동을 나타내는 F10.7이 크게 변화한 태양 극대기 기간으로, 특히 일변화의 F10.7을 통해 전자 온도와 전자 밀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측정 시간이 야간(22:50)임에도 불구하고 태양 활동을 나타내는 F10.7에 따라 전자 온도와 전자 밀도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10.7이 250이하일 때는 F10.7이 커질수록 전자밀도는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전자온도도 증가는 하나 그 정도는 전자 밀도보다 작게 나타났다. F10.7이 250을 넘어가면 전자 밀도가 일정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부가적으로 비슷한 고도의 DMSP-F15의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다목적 실용위성 1호의 관측결과의 신뢰성을 높였다.

  • PDF

Black Hole Masses, Scaling Relations, and Co-Evolution of Black Holes and Galaxies

  • Park, Daeseong
    • 천문학회보
    • /
    • 제43권2호
    • /
    • pp.30.2-31
    • /
    • 2018
  • 지난 20여 년간 수많은 역학적 증거들로부터 거의 대부분의 은하 중심에 초거대 질량 블랙홀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알려졌고, 현재 우주에서 관측적으로 발견된 블랙홀-은하 척도관계들은 블랙홀과 그 모 은하가 공동으로 진화한다는 틀을 도입하며 은하의 형성과 진화 이론에 패러다임 쉬프트를 가져왔다. 그들 간의 관련성과 상호작용을 활용하여, 궁극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총체적인 은하의 형성과 진화를 보다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우주적 시간에 존재하는 블랙홀의 핵심적인 물리량인 블랙홀 질량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실질적인 관측적 제약과 한계로 인해 먼 우주에 존재하는 블랙홀의 질량은 오직 중심 블랙홀로 물질이 떨어지며 굉장히 밝은 빛을 내고 분광학적으로 넓은 선폭을 보이는 활동성 은하핵을 관측해야만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표에서는 활동성 은하에서의 보다 정확한 블랙홀 질량 측정을 위한 연구들과, 은하 진화경로 상에서 주요한 시기를 나타내는 활동성 은하 샘플들을 활용한 블랙홀-은하 척도 관계 연구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우리나라 풍랑특보와 해양기상부이 관측자료 비교 (2010-2020년)

  • 강민균;설동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1-223
    • /
    • 2021
  • 풍랑특보는 우리나라 부근을 항행하는 선박 및 해상 업무 종사자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11년(2010-2020년) 동안 기상청에서 발표한 서해·남해·동해의 앞바다 및 먼바다, 제주도 앞바다의 풍랑특보와 주요 해양기상부이의 관측자료를 비교·분석하여 풍랑특보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각 해역에 대한 풍랑특보와 해양기상부이 관측자료를 일별, 월별, 연별로 통계를 내어 연평균, 월평균, 계절별로 비교한 결과, 풍랑특보의 적중률이 전 해역에 걸쳐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상에서의 풍랑특보가 어선의 어업활동, 여객선 운항 및 관광, 해상 레저활동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해양기상 예·특보의 정확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한국천문연구원-제45호

  • 한국천문연구원
    • KASI NEWSLETTER
    • /
    • 통권45호
    • /
    • pp.1-4
    • /
    • 2004
  • 혜성, 월식, 금성의 태양면 통과 현상 관측/ 2004 하계교원연수 / 제1회 찾아가는 별의 축제/ 제1회 보현산별빛문화축제/ 천문 계산용 고성능 PC 클러스터 완성/ 한국우주전파관측망 안테나 계약/ 2004년도 하반기 관측제안서 모집/ 주 40시간 근무제 도입관련 직원설명회/ 춘계 체육활동 실시/ 학회동정/ 직원동정/ 콜로키움/ 캐나다 Dominion Astrophysical Observatory를 다녀와서(II)

  • PDF

NEWS Focus - 다중빔 수신시스템 구축 완료

  • 김현구
    • KASI NEWSLETTER
    • /
    • 통권97호
    • /
    • pp.5-5
    • /
    • 2010
  • 1985년에 설치된 대덕전파천문대의 14m망원경은 이전까지 단일빔 관측으로 성간운 및 별탄생 영역, 활동성 은하핵 구조 등을 연구해왔다. 최근 다중빔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여 실제 연구관측을 진행하고 있다. 다중빔 수신기는 단일경 관측 시스템의 경우보다 최소 10배 이상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이번 호를 통해 새 단장한 대덕전파망원경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Public Observatory - 꿈과 희망, 별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전라남도 교육과학연구원

  • 한국천문연구원
    • KASI NEWSLETTER
    • /
    • 통권97호
    • /
    • pp.14-15
    • /
    • 2010
  • <'글로벌 인재육성'을 위한 교육현장 지원충실>을 운영지표로 1990년 9월에 개원한 전라남도교육과학연구원은 학생들에게 꿈과 희망, 그리고 창의성 신장을 위해 과학교육 현장지원과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천체관측교육으로 지역특성에 맞게 낙도 및 오지로 ‘찾아가는 천체관측교육’과 별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천체관측활동을 통해서 지역사회의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 PDF

K-GMT 2012

  • 박병곤;김영수;경재만;천무영;김상철;윤양노
    • 천문학회보
    • /
    • 제37권1호
    • /
    • pp.62.2-62.2
    • /
    • 2012
  • 한국천문연구원의 대형광학망원경 개발사업(K-GMT)은 거대마젤란망원경(GMT; Giant Magellan Telescope)의 지분 10% 확보를 목표로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수행하고 있는 사업이다. 2011년 GMT 프로젝트에서는 1세대 후보관측장비 개념설계검토회의 수행, 첫번째 주경 최종 마무리, GMT 핵심연구주제 확정을 위한 활동을 수행하였다. 2012년에는 1세대 관측장비를 공식 선정 및 상세 설계 수행, GMT 자료처리센터 구축에 관한 개념설계, 연말로 예정된 GMT PDR 준비를 시작할 예정이다. 국내 사업에서는 GMT 핵심연구그룹 육성을 위하여 AAT 3.9m, CFHT 3.6m, Magellan 6.5m 망원경 활용 연구를 수행하였고 2012년에는 UKIRT 4m 등을 이용한 연구, 계절학교 개최등의 활동이 예정되어 있다. 부경개발분야에서는 시험모델에 대한 2011년 설계검토 및 제작준비완료검토에 이어 최종 시험을 실시할 예정이며 관측기기개발 분야에서는 GMT 1세대 관측장비 선정이 완료되면 본격적으로 기기개발에 참여할 예정이다.

  • PDF

대기 대순환 모헝과 해수면 온도 관측 자료를 이용한 태풍 활동의 계절 예측 가능성 (Seasonal Predictability of Typhoon Activity Using an Atmospheric General Circulation Model and Observed Sea Surface Temperature Data)

  • 한지영;백종진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53-658
    • /
    • 2006
  • 대기 대순환 모형인 GCPS를 이용하여 북서태평양에서의 태풍 활동의 계절 예측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1979년부터 2003년까지 각 해에 대해 해수면 온도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5개월간 초기 조건을 달리한 10개의 앙상블 멤버를 적분하였다. 모형은 발생 빈도의 평균적인 월변화 경향과 발생 분포를 관측과 유사하게 모의하였으나, 발생 빈도의 경년 변화는 신빙성 있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이는 관측과 모형간 태풍 발생 빈도와 ENSO의 상관성 차이에 인한 것으로 실제 태풍 발생 빈도와 ENSO가 뚜렷한 상관 관계를 갖지 않는 것과 달리, 모형에서는 엘니뇨 시기에 평년에 비해 많은 태풍이 발생하고 라니냐 시기에 평년에 비해 적은 태풍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기 때문이다. 반면에, 관측과 모형 모두 ENSO와의 상관 관계가 높게 나타난 태풍 발생 경도의 경우에는 모형이 발생 경도의 경년 변화를 관측과 유사하게 모의하였다.

6300 $\AA$ 대기광 자료 분석을 통한 고위도 열권 상부에서의 온도 변화 (A STUDY ON TEMPERATURE VARIATION OF THE UPPER THERMOSPHERE IN THE HIGH LATITUDE THROUGH THE ANALYSIS OF 6300 $\AA$ AIRGLOW DATA)

  • 정종균;김용하;원영인;이방용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94-108
    • /
    • 1997
  • 열권 상부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태양 활동에 따라 변화하며, 특히 고위도 지역에서는 지자기 활동에 의해서도 크게 변화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관측된 열권 온도를 이용하여 태양 활동 지수 및 지자기 활동 지수와의 상관 관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온도 자료는 미시간 대학에서 운용하고 있는 그린랜드의 두 관측소인 Thule Air Base(76.6$^{\circ}$N, 68.4$^{\circ}$W, Λ = 86$^{\circ}$)와 Strømfjord (67.0$^{\circ}$N,50.9$^{\circ}$W, Λ - 74$^{\circ}$)에서 측정된 것으로 두 곳 모두 지리적 뿐만 아니라 지자기적으로도 고위도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자료는 페브리-페로 간섭계를 이용하여 6300 $\AA$ 대기광을 관측한 것이며 관측기간은 Thule Air Base 관측소는 1986~1991년, Søndre Strømfjord 관측소는 1986~1994년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Thule 지역의 관측 온도와 태양 활동 지수와의 상관 관계는 3$\leq$Kp$\leq$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며 Søndre Strøfjord 지역의 상관 관계는 Kp 지수가 커질수록 증가함을 보인다. (2) 전반적인 온도는 고위도 지역인 Thule 지역에서 높지만, 태양 활동 지수 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의 증가율은 Søndre Strømfjord 지역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3) 겨울철 Thule 지역의 하루 온도 변화는 13-14 LT(LT=UT-4) 부근에 최대 온도를 가진 일일 주기(24hrs) 변화를 보이지만, 태양 활동이 미약한 경우에는 반일 주기 (12 hrs) 변화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4) 고층 대기분야에서 통용되는 MSIS86 모델과 VSH 모델은 여기서 분석된 관측치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온도를 예측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특히 태양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 심해짐을 보였다. 따라서 보다 많은 관측 자료를 이용한 새로운 열권 모델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