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측천문학

검색결과 689건 처리시간 0.024초

고흥전파망원경 관측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Observing System for Goheung Radio Telescope)

  • Ha, Ji-Sung;Kang, Hyunwoo
    • 천문학회보
    • /
    • 제42권1호
    • /
    • pp.58.2-58.2
    • /
    • 2017
  • 2013년 청소년 교육목적으로 개발된 고흥전파간섭계시스템을 활용하여 청소년으로 하여금 전파관측을 체험케하고, 전파천문학 연구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안정된 단일경 전파관측과 간섭계모드 전파관측을 위해 현 시스템이 갖추어야 할 기능을 개선하고 있다. 보다 정밀하게 관측대상을 추적하고, 전파 점광원을 관측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전파관측시스템을 개발한다. 정밀한 관측대상 추적과 함께 데이터 취득 시간을 확장하여 점광원 관측이 가능하게 되면, 청소년에게 전파관측 및 전파간섭원리와 관측방법을 실험체험 프로그램으로 전해 줄 수 있다.

  • PDF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의 남북확장을 통한 초고분해능 전파관측 연구 (High Resolution VLBI Research by Extending KVN to North Korea)

  • Jung, Taehyun;Byun, Do-Young;Yim, Insung;Minh, Young Chol;Kim, Hyun-Goo
    • 천문학회보
    • /
    • 제41권1호
    • /
    • pp.57.2-57.2
    • /
    • 2016
  •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남북 천문분야 과학기술협력 활성화를 위하여 전파천문학을 포함하여 몇 몇 천문학 분야에 대한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전파천문학의 경우, 현재 운영중인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의 확장을 통한 남북협력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KVN 초기 계획에서는 북한의 평양과 나진-선봉 경제특구 인근에 2기의 전파망원경을 건설하는 것이 고려되었다. 현재 3기의 전파망원경 구성된 KVN에 북한 2기가 추가된다면, 3배 이상의 기선수 증가와 2배의 분해능 향상, 그리고 전체적인 VLBI 감도가 3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KVN의 가장 큰 특징인 고파수 VLBI 관측은 현재 협력 가능한 전파망원경이 거의 전무하기 때문에, 이러한 확장을 통하여 독보적인 전파간섭계 시스템 구축과 함께, 이를 활용한 과학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표에서는 남북 전파천문학분야 협력의 현실과 미래를 전망해보고, 가능한 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 PDF

보현산천문대 20년 (20 years of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 Sung, Hyun-Il
    • 천문학회보
    • /
    • 제41권1호
    • /
    • pp.32.1-32.1
    • /
    • 2016
  • 1996년, 보현산천문대는 1.8m 반사망원경과 1K CCD 카메라, 그리고 태양망원경을 갖추고 한국 천문학의 본격적인 광학관측시대를 열었다. 준공 직후인 1997년에는 측광관측기기를 2K CCD로 교체 하였으며, 1998년에는 망원경 제어시스템(TCS)을 국내 연구진이 자체 개발하였고 망원경의 전자부도 교체하였다. 1999년의 중분산분광기 제작 이후 2003년에는 고분산에셀분광기 BOES를 개발하여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분광관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BOES는 현재 보현산천문대의 주 관측기기로 활용 중이다. 2008년에는 적외선이미징카메라 KASINICS를 개발하여 관측 파장대를 적외선까지 넓혔으며, 2010년에는 가시광 측광관측기기를 4K CCD로 업그레이드 하였다. 2015년에는 망원경 구동시스템을 다시 한 번 개선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정밀한 관측시스템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2014년과 2015년에는 2년에 걸쳐 관측실과 숙소, 그리고 각종 연구시설의 전면 리모델링을 실시하여 관측자를 위한 환경도 개선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관측지원을 바탕으로 보현산천문대 연구장비를 활용한 논문은 매년 꾸준히 생산되고 있으며 관측과 연구결과들은 한국 광학천문학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 2016년에는 1m 망원경 설치를 완료할 예정이며 장기관측 과제에 집중함으로써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될 것이다. 연구장비의 안정적인 구동과 성능 향상을 위해 중장기발전계획 아래 노후화된 기기의 교체와 개발을 진행 중이다. 2016년 4월, 제2의 도약기를 준비 중인 보현산천문대의 준공 20주년을 맞이하여, 그 동안의 발자취를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한국천문연구원-제28호

  • 한국천문연구원
    • KASI NEWSLETTER
    • /
    • 통권28호
    • /
    • pp.1-4
    • /
    • 2001
  • 지역천문대 하반기 관측시간 배정/2001 하계 교사연수 실시/연구원 방문의 날 행사 실시/ 2001 전파천문학 여름학교 개최/CFHT관측제안서 모집/대한민국 과학축전 참가/광학천문학 워크샵 개최 예정/보현산천문대 주.부경 진공증착/소백산천문대 SITe 2K CCD 카메라 장착, 시험 관측에 성공/2001 한국천문올림피아드 개최 예정/제4회 동양 천문학사학회 참석/콜로키움/아시아-태평양 전파과학 컨퍼런스 (AP-RASC'01) 참석

  • PDF

한국 천문연구원 관측기기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지상망원경을 중심으로

  • 천무영
    • 천문학회보
    • /
    • 제37권1호
    • /
    • pp.62.1-62.1
    • /
    • 2012
  • 한국천문연구원은 1978년 소백산천문대, 1996년 보현산천문대, 2003년 레몬산 천문대를 완공하면서 한국천문학의 광학-적외선 분야를 선도해 왔다. 그동안 각 천문대에서 사용되어 왔던 관측기기들, 특히 천문연에서 개발된 관측기기의 특징을 소개한다. 또한 현재 개발중인 기기와 미래 계획중인 기기를 소개하면서 한국천문학계의 기기개발 부분이 나아갈 방향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대형망원경을 이용한 연구현황

  • 우종학
    • 천문학회보
    • /
    • 제35권1호
    • /
    • pp.63.2-63.2
    • /
    • 2010
  • 2010년대 후반에 완성될 거대마젤란 망원경을 비롯한 차세대 망원경들의 개발을 앞두고 한국천문학의 현재를 짚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대형망원경을 이용한 연구현황을 조사하여 발표한다. 4미터급 이상의 대형망원경을 사용하여 개인/공동 연구 등을 통해 수행되고 있는 관측 연구들을 파악하고 연구 주제들 및 사용되고 있는 관측기기들의 범위를 조사하여 국내연구진의 관측연구 현황 및 역량을 보고 한다.

  • PDF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진행되는 천문교육 현황과 계획

  • 이강환;강선아;백창현
    • 천문학회보
    • /
    • 제37권1호
    • /
    • pp.53.1-53.1
    • /
    • 2012
  • 현재 국내에는 약 40여 개의 종합(관측실과 투영관이 있는) 천문시설이 운영 중에 있으며 새로운 시설이 꾸준히 추가로 건설 되고 있다. 그리고 교육과학연구원, 도서관 등 많은 시설에서 천문시설을 갖추고 교육에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천문시설에서는 별자리 설명, 천체투영관에서의 영상물 상영, 그리고 천체망원경을 이용한 관측실습 등 한정된 소재와 일관된 형식의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하고 있다. 하지만 국립과천과학관에서 방학 중 천문학교실을 운영해본 결과 좀 더 깊이 있는 천문학 교육에 대한 수요가 상당히 많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과학교육 현장에서는 여러 분야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으나 천문학을 주제로 한 교육은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천문학은 새로운 연구 결과가 가장 활발하게 발표되는 분야들 중 하나로, 일반인이나 언론에서도 상당히 많은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외계행성 탐사, 초신성 관측, 우주 가속팽창과 같은 최신 천문학 분야의 다양한 주제들을 이용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면 일반인들에게 천문학의 내용을 알리는데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국립과천과학관에서는 방학 프로그램에 이어 조금 더 심화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여 운영할 준비를 하고 있다. 현재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준비 중인 천문교육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보고자 한다.

  • PDF

조선(朝鮮)의 천문의기(天文儀器)와 복원(復元) (Study on Astronomical Instruments and Restoration in Joseon Dynasty)

  • 이용삼
    • 천문학회보
    • /
    • 제36권1호
    • /
    • pp.23-23
    • /
    • 2011
  • 조선조 세종대는 천문과학기술의 전성기였다. 세종 자신도 천문학에 밝았던 데다 유교적 정치이념을 구현하기 위한 국책 사업의 성격이 강했기 때문에 조선조의 천문학은 세계적 수준으로 발돋움하였다. 이것은 고려시대부터 축적된 천문과학기술과 창조적 재능을 지닌 많은 과학기술자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1432년 세종이 천문의기 제작을 명한 지 6년만인 1438년에 각종 관측기기를 완비한 천문대인 간의대가 완성되었다. 당대로서는 세계 최대 규모로 인정받고 있는 거대한 종합 천문대인 간의대의 주변에는 혼천의, 혼상, 규표 등 다양한 천문 관측기기를 설치하였다. 규표로는 24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었고, 각종 해시계로는 한양의 정확한 시간을 잴 수 있었다. 해와 별을 관측하여 낮과 밤의 시간을 측정하는 일성정시의와 천체 관측기기인 소간의 등 다양한 관측의기들이 독창적으로 창제되었다. 아쉽게도 세종대에 제작한 천문의기들 가운데 현존하는 유물은 한 점도 남아 있지 않다. 당시 천문유물은 사라져버렸지만 문헌을 통해 세종시대 각종 천문 관측의기의 복원 연구를 통해 설계와 복원을 수행하였다. 천문의기 복원(復元)은 모형(模型)을 만드는 것이 아니므로 자재와 공법들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하여야 한다. 각 부품들이 계시기(計時器)로서 정확히 작동하도록 복원하려면 정교하게 제작하여야만 한다. 뿐만 아니라 천문의기들은 왕궁(王宮)에서 사용한 것으로 외형적으로 왕권을 상징하는 용(龍)의 형상과 화려한 문양으로 장식되어 있기 때문에 복원 과정에서 예술적인 면도 신중히 고려하여야 한다. 여기서는 지금까지 복원한 조선의 각종 천문의기의 구조와 기능 및 복원 과정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우주관측기기와 첨단 광학부품

  • 변용익
    • 광학세계
    • /
    • 통권112호
    • /
    • pp.22-24
    • /
    • 2007
  • 우주관측은 매우 먼거리를 여행해오는 미약한 광신호를 탐지하여 분석하는 일이다. 천문학에서의 신호분석은 광신호의 총량을 측정하는 비교적 단순한 면도 있지만, 이 보다는 주로 세밀한 광신호 공간분포구조 혹은 고분해능의 파장별 광신호 분포를 충분한 S/N비로 알고자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통째로 받아도 매우 미약한 입사신호를 공간적으로 혹은 파장에 따라 지극히 미세하게 쪼개어 연구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다. 이처럼 어두운 우주의 심연과 먼 과거에 대한 관측을 추구하는 현대천문학은 대단히 도전적인 기술적 발전을 항상 필요로 해왔다.

  • PDF

Activity of Korea Astronomy Society in Search for Extrasolar Planets

  • 한정호
    • 천문학회보
    • /
    • 제38권1호
    • /
    • pp.28-28
    • /
    • 2013
  • 1990년대 중반 처음으로 행성이 발견되기 이전에는 우리의 행성에 대한 지식은 태양계에 존재하는 행성들에 국한되었다. 이후 행성 발견을 위해 여러 방법이 개발되고, 이어진 관측실험을 통해 행성 발견이 가히 폭발적으로 증가함으로써 외계 행성에 대한 연구는 천문학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분야가 되었다. 한국 천문학계에서도 외계행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행해져 오고 있다. 특히 중력렌즈 방법을 사용한 외계행성 검출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설에서는 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하여 행성을 발견할 수 있는 원리, 관측실험, 발견된 행성, 과학적 중요성에 대해 발표한다. 그리고 2014년부터 시행할 대규모 관측실험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