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측소스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Development of Technique for Real-time measurement of Water Elevation based on Open-source Hardware and Webservice (오픈소스 하드웨어와 웹서비스 기반 실시간 수위 관측기술 개발)

  • You, Ho Jun;Kim, Do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64-64
    • /
    • 2018
  • 하천에서 수위는 가장 기본적인 수리 수문학적 자료로서, 홍수나 가뭄 등의 피해를 막기 위한 치수와 물을 잘 통하게 하거나 물을 이용하기 위한 이수에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댐, 보, 저수지 등의 하천시설물 설계 및 관리를 위해 수위를 이용하며, 유량 산정을 위해서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을 구축하여 수위를 이용한다. 따라서 하천에서 수위는 현재 국내에서 수자원분야에서 사용되는 자료 중에서 가장 중요하며, 동시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수위를 관측하는 것이 수자원의 기초라 할 수 있다. 수위 관측의 필요성과 확장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수위 관측소는 한강, 낙동강, 금강 등 대하천 위주로 설치되어 있어, 중소규모 하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수문사상에 대한 분석 및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홍수의 경우 같은 강우 사상에도 대하천보다는 중소규모의 하천이 더 극단적으로 유출이 발생하기 때문에, 즉각적인 수위의 계측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한정된 예산 및 인프라의 부족은 중소규모 하천에 대한 수위 관측 시스템의 적용이 대하천에 비해 그 우선수위가 밀리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중소규모 하천에 대한 수위 관측시스템 적용에 대한 수요가 증가를 야기 시키고 있다. 최근, 과거에 제품을 만들기 위한 전자회로, 자재명세서, 기판도면 등의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폐쇄적인 환경을 벗어나 제품을 만들기 위한 하드웨어 정보를 공개하고, 공개된 정보를 통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러한 개념을 오픈소스 하드웨어라는 개념으로서, 하드웨어의 제작 없이 간단한 코딩을 통해 하드웨어를 컨트롤 하는 기술이다. 즉, 오픈소스 하드웨어는 초소형화된 PC를 활용하여 센서를 작동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기술을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IOT)를 활용하여 온라인 상에서 이러한 오픈소스 하드웨어를 컨트롤 할 수 있으며, 웹서비스와 결합할 경우 센서를 통해 수집된 결과를 인터넷 상에서 확인 할 수 있는 기술들이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 접목되면 과거에 비해 적은 비용으로 고효율의 자료 수집을 수행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중소규모 하천에 대한 수위 관측시스템 적용에 대한 수요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존의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경제적,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오픈소스 하드웨어 플랫폼인 아두이노와 사물인터넷 기반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웹서비스를 이용하여 실시간 수위 관측기술을 개발하고,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Data Processing Technology based on a open source R to improve utilization of the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GOCI) Products (천리안해양관측위성 산출물 활용성 향상을 위한 오픈소스 R 기반 데이터 처리기술 연구)

  • OH, Jung-Hee;CHOI, Hyun-Woo;LEE, Chol-Young;YANG, Hyun;HAN, Hee-Je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4
    • /
    • pp.215-228
    • /
    • 2019
  • HDF5 data format is used to effectively store and distribute large volume of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GOCI) satellite data. The Korea Ocean Satellite Center has developed and provided a GOCI Data Processing System(GDPS) for general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HDF5 format. Nevertheless, it is not easy to merge and process Hierarchical Data Format version5(HDF5) data that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satellite data characteristics, needs to learn how to use GDPS, and stores location and attribute information separately. Therefore, the open source R and rhdf5, data.table, and matrixStats packages were used to develop algorithm that could easily utilize satellite data in HDF5 format without the need for the process of using GDPS.

Merging of multiple resolution-based precipitation data using super resolution convolution neural network (Super Resolut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RCNN)를 이용한 다중 해상도 기반의 강수 데이타 병합)

  • Gyu-Ho Noh;Kuk-Hyun Ah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21-121
    • /
    • 2023
  • 다수의 서로 다른 해상도의 자료를 병합(Merge)하는 것은 강수 자료 사용에 중요한 절차 중 하나이다. 강수 자료는 다수의 소스(관측소, 레이더, 위성 등)에서 관측 자료를 제공한다. 연구자들은 각 원본 자료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중소스 기반의 재분석 강수 자료를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방법은 자료를 병합하기 위해 서로 다른 공간적 특성을 갖는 자료들을 공간적으로 동일한 위치로 보간(Interpolation)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보간 절차는 원본자료에 인위적인 변형을 주기 때문에 많은 오차(Error)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합 과정에서 보간 절차를 제외하고 원본 해상도 자료를 그대로 입력하기 위해 머신 러닝 방법의 하나인 Super resoluti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RCNN)에 기반한 병합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원본 자료의 영향을 모델이 직접 취사선택하여 최종 자료에 도달하기 때문에 병합 과정의 오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Design Verification of Radio Measurement System for Interplanetary Space (태양-지구 간 공간 전파 관측 시스템 설계 검증)

  • Jeong, Cheol-Oh;Park, Jae-Woo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6 no.2
    • /
    • pp.97-101
    • /
    • 2011
  • Interplanetary space between Sun and Earth is area of flowing very fast solar wind which is contained X ray, flare, corona mass, etc. occurred Sun surface to Earth. This solar wind is affected directly to Earth magnetosphere and ionosphere so that this bring ou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interruptions, satellite operation obstacles and power gird defects and etc..Solar wind flow in interplanetary space is measured as solar wind speed, density and direction by measuring scintillation value to be produced during radio source is passed through solar wind. The wider effective collective areas and the more radio sources, accuracy of solar wind measuring is got higher. Function test was performed using 3 tiles which was manufactured as prototype. Restriction of quantity of tiles,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measured beam pattern is complied with requirement or not. In this paper, it is shown design and their specification of ground interplanetary radio measurement system as well as technical issues and resolutions which were raised during design phase. Also result of function verification test using prototype is suggested. It is confirmed that measured beam pattern was met with requirement.

A Study on the OpenURL META-TAG of Observation Research Data for Metadata Interoperability (관측분야 과학데이터 관련 메타데이터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OpenURL 메타태그 연구)

  • Kim, Sun-Tae;Lee, Tae-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42 no.3
    • /
    • pp.147-165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a core meta-tag of OpenURL written in Key/Encoded-Value format in the field of observation research, to distribute the scientific data, produced in many experimentations and observations, on the OpenURL service architecture. So far, the OpenURL hasn't supplied a meta-tag represented scientific data because it has focused on circulation of scholarly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extracted from thesis, proceedings, journals, literatures, etc. The DataCite consortium metadata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e Dublin Core metadata, OECD metadata, and Directory Interchange Format metadata to develop a core meta-tag in observation research.

항로표지 장비용품의 고장예측 알고리즘 개발

  • 김환;임성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24-226
    • /
    • 2022
  • 다양한 소스로부터 수집되고 연동되는 데이터를 모델링하는 기술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분석 기법이 각광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항로표지에서 관측되는 상태 및 주변 정보를 모델링하고, 고장진단 및 예측에 적용할 수 있는 기계학습 기법을 소개한다.

  • PDF

항로표지 고장진단 및 예측기술 개발 연구

  • 김환;임성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54-56
    • /
    • 2021
  • 다양한 소스로부터 수집되고 연동되는 데이터를 모델링하는 기술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분석 기법이 각광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항로표지에서 관측되는 상태 및 주변 정보를 모델링하고, 고장진단 및 예측에 적용할 수 있는 기계학습 기법을 소개한다.

  • PDF

Application of Automatic Data Processing Method of MODIS Satellite Data for Drought System (MODIS 위성자료의 가뭄활용을 위한 자동 데이터 처리 기법에 관한 연구)

  • Lee, Seong Kyu;Shin, Yong Chul;Jang, Sang Min;Yoon, Sun Kwon;Park, Ky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51-251
    • /
    • 2016
  • 인공위성을 이용한 가뭄연구에는 전지구적으로 운용되는 GPM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위성, AQUA/TERRA 위성의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센서 등에서 수집된 관측 자료가 이용된다. 그러나 전지국적으로 관측된 위성 자료는 자료를 생산 제공하는 기관에 따라 자료의 파일포맷 (NetCDF, HDF5, GeoTIFF 등), 자료의 투영법 (projection) 등이 상이하다. 그러므로 가뭄연구에 다중위성자료를 활용하고자 하는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한 연구자는 자료의 표준화 (파일포맷과 투영변환 등) 과정으로 인해 원활한 연구수행이 어렵다. MODIS 위성자료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횡단메르카토르 도법 (Transverse Mercator Projection: TM) 대신 시뉴소이드 도법 (sinusoidal projection)을 이용한다. 그래서 미국 지질조사국은 MODIS 자료의 재투영(reprojection)을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인 MRT (MODIS Reprojection Tool)를 배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료/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시뉴소이드 도법이 적용된 MODIS 자료의 수집, 재투영, 파일포맷 변환 등을 자동으로 처리하는 기법을 개발하여 가뭄활용에 이용하고자 하였으며, MODIS MOD09GA/MOD11A1 자료를 이용하여 효율성을 검증하였다.

  • PDF

Searching for Eccentricity Preserving Mass Transfer Mechanism during Binary Star Evolution

  • Lee, Hyun Taek;Kwak, Kyuj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1 no.1
    • /
    • pp.78.1-78.1
    • /
    • 2016
  • 상호작용 하는 쌍성계의 진화과정 중 질량이동에 의한 궤도 변화에는 아직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가 남아있다. 예를 들면 바륨별 (Ba Star)의 경우, 관측된 궤도 이심률은 평균 0.2, 1000일 단위의 주기를 보여주고 있다. Population Synthesis시뮬레이션으로 이를 재현할 경우 관측된 궤도 성질을 맞추지 못하거나, 바륨별의 형성 개수를 맞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비슷한 문제가 청색낙오성 (Blue Straggler Star)의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도 나타나고 있는데, 이 문제의 핵심은 Roche Lobe Over Flow (RLOF)를 통한 질량 이동이 결과적으로 Common Envelope (CE)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각운동량을 크게 잃게 되어 궤도가 원형화 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명이 되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RLOF를 통한 질량이동 중 CE 과정을 효과적으로 피해갈 수 있는 질량이동 과정을 제안하고, 이를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여 관측자료를 설명할 것이다. 최종적으로는, 위의 질량이동 과정을 오픈 소스 항성진화 프로그램인 MESA에 포함시켜, 쌍성계 궤도와 그 별들의 표면 원소 분포 사이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으로 설명하려고 한다.

  • PDF

Preliminary design for satellite image situation board linkage and display system (위성영상 상황판연계·표출시스템 예비설계)

  • Sang Min Lee;Eun Jeong Kim;Mi Rae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58-45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활용 지능형 재난관측·감시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위성영상과 멀티소스(CCTV, 항공영상, 공공DB 등)와의 연계·융합을 통해 재난상황관리의 정확도 향상과 위성영상 활용성 제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위성영상 수집·배포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되는 위성영상과 멀티소스의 연계 융합을 통한 재난상황정보의 표출을 목적으로 상황판연계 표출시스템 가동 절차와 위성영상 수집을 통한 위험탐지 알고리즘과의 연계를 위해 재난상황업무 기반 시스템 가동절차를 수립하고, 위기관리표준 매뉴얼 상 상황업무절차를 적용해 예비설계를 진행하였다. 상황실 실무자 설문을 통해 작성된 시스템 요구사항과 규격서를 기반으로 상황업무절차를 적용해 먼저업무시스템 설계를 진행하였다. 평시에는 GIS통합상황판에서 관리됨을 전제로 위성영상 수집에 대한국가적 예산 투입 측면을 고려해 중대본 설치가 필요한 대형재난 발생상황을 가정하여 상황판연계·표출시스템의 가동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위성영상 분석을 통한 피해위험도와 재난이력통계 등 멀티소스와 중첩한 결과를 실시간으로 표출함에 따라 상황실근무자는 재난확산 여부를 판단하고, NDMS를 통해 재난상황을 전파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상황판연계 표출시스템의 원활한 데이터 입/출력을 위해 재난유형 및 분석단계별 클래스 정의, 유스케이스 ID(요구기능)와 1:1 또는 1:n매칭을 수행하여 재난유형 및 분석단계별 클래스를 정의하였다. 정의된 클래스는 유스케이스인 요구기능과 매칭을 수행하였고, 시스템 가동절차 중 피해위험도분석, 재난이력통계, 중첩결과표출, NDMS 상황전파에 대한 상황업무절차를 기반으로 산불·홍수·산사태·대설·태풍 총 5종의재난별 시퀀스를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 화면정의서와 UI/UX설계서를 기반으로 Figma를 통해 시스템구동화면을 사전에 모의하였다. 향후, 진행되는 연구에서는 위성영상과 멀티소스를 연계한 화면을 실체화하여 더욱 정확한 재난상황관리가 가능하도록 NDMS 연계 상황판 표출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