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지지판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이중냉각 핵연료 상단고정체의 기계적 성능평가 (Mechanic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Top End Piece for Dual Cooled Fuels)

  • 김재용;윤경호;김형규;최우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4호
    • /
    • pp.417-424
    • /
    • 2011
  • 핵연료집합체는 상단고정체, 하단고정체, 지지격자체, 제어관/계측관과 핵연료봉의 5 가지 주요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하단고정체는 다른 구성품과 달리 ASME, Section III, Division 1 - Subsection NB 의 운전조건 A, B 에서의 stress intensity limits 를 만족하여야 한다. 이중냉각 핵연료집합체는 집합체당 출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기존의 가압경수로용 핵연료집합체에서 핵연료봉의 배열과 위치를 변화시켰는데 이로 인하여 핵연료봉 내/외부유로로 냉각수가 잘 흐를 수 있도록 상/하단고정체의 유로판의 형상을 수정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설계하중조건에 대하여 수정된 상단고정체 유로판의 건전성평가를 위해 수행한 응력선형화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고 평가결과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증기발생기 전열관지지판의 축균열 파열억제 효과 분석 (Analysis of Tube Support Plate Reinforcement Effects on Burst Pressure of Steam Generator Tubes with Axial Cracks)

  • 강용석;이국희;김홍덕;박재학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68-173
    • /
    • 2015
  • A steam generator tubing is one of the main pressure boundary of the reactor coolant system in the nuclear power plants. Structural integrity refers to maintaining adequate margins against failure of the tubing. Burst pressure of a tube at tube support plate can be higher than that for a free-span tube because failure behaviors could be interfered from the tube support plate. Alternative repair criteria for out-diameter stress corrosion cracking indications in tubes to the drilled type tube support plate were developed, however, there are very limited information to the eggcrate type tube support plate. This paper discussed reinforcement effect of steam generator tube burst pressure with axial out-diameter stress corrosion cracking within an eggcrate type tube support plate. A series of tube burst tests were performed under the room temperature and it was found out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but marginal effects.

고주파플라즈마CVD법에 의한 Diamond 박막의 성장과 특성 (A Study on the Growth and Characteristics of Diamond Thin Films by RF Plasma CVD)

  • 박상현;장재덕;최종규;이취중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346-354
    • /
    • 1993
  • 고주파플라즈마 CVD법으로 CH4와 H2의 혼합가스로부터 실리콘과 석영기판 위에 다이아몬드 입자와 박막을 성장시켰다. 기판과 기판지지대 사이에 금속판을 삽입함으로써 기판의 온도와 성장된 박막의 두께를 비교적 균일하게 할 수 있었다. 방전전력이 같은 경우 성장된 박막의 형태는 반응관 압력을 증가시킴에 따라 자형면을 가진 입자로부터 미립자 도는 구성의 입자로 변화되었다. $H_2와{\;}CH_4의$ 혼합가스로부터 Si기판 위에 다이아몬드 박막을 성장시키는 경우, CH4 농도가 0.5vol% 이하가 되어야만 양질의 다이아몬드 박막을 성장시킬 수 있었다. 성장된 다이아몬드 박막은 SEM, XRD 및 Raman 분광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 PDF

호모다인 검파방식을 이용한 X-밴드 도플러 레이더 센서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X-band Doppler radar sensor using the homodyne detection)

  • 장남영;최평석;은재정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75-8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Gunn 다이오드와 SBD를 이용하여 X-밴드 내역의 송신기 및 수신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이 시스템은 이동 물체의 속도를 측정하는 도플러 레이더 센서로서, 이동 물체에 의해 반사된 도플러 천이 신호를 호모다인 검파방식을 통해 검출한다. 실험을 통해 송신기의 발진조건은 대략 도파관에 위치한 Gunn 다이오드의 지지대와 도과관의 단락판 사이의 거리가 반파장일 때 만족함을 알 수 있었으며, 제작된 도플러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이동 물체의 속도측정 오차는 1.24%로 측정 되었다.

  • PDF

단일 하이드라진 추력기 연소시험 성능평가 (Steady & Pulse Mode Fire Tests of Hydrazine Thrusters)

  • 이성택;이상희;최영종;류정호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1998년도 제10회 학술강연회논문집
    • /
    • pp.31-31
    • /
    • 1998
  • 위성체의 보조추진시스템은 임구궤도까지의 궤도진입 및 임무궤도상에서의 속도 또는 자세제어에 필요한 임펄스를 제공한다. 단일하이드라진 추력기는 하이드라진(H$_2$H$_4$)과 자발적 촉매(Shell 405)의 발열 및 흡열 열분해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질소($N_2$), 수소(H$_2$), 암모니아(NH$_3$), 혼합가스를 노즐을 통해 방출하므로써 요구되는 impulse를 얻는다. 단일하이드라진 추력기 설계는 주입기, 촉매대, 노즐과 기타 설계 형태에 따른 다지관, 링, 스크린, 지지판 등의 부수적인 부품으로 구성된다. 추력기 제작 과정은 크게 piece-parts 기계가공, HEA(Head End Assembly)와 TCA(Thrust Chamber Assembly)로 구성되고 각 세부공정마다 전수시험 및 검사를 가진다. 연소시험설비는 최소 모사진 공 수준이 고도 100,000 ft(8.4 torr)를 만족시킬 수 있는 진공설비, 시험제어부, 성능변수 측정 및 처리부, 추진제 가압 공급부, 기타 환경 안전 및 부대 설비로 구성된다. 추력기 연소성능시험 절차는 추진제 충전 및 오염 여부 표본 검사, 가압 및 공급 라인 이상여부 확인, 추력기 장착, 추진제 가압 및 공급, 시험장치 보정, 진공 모사 및 연소성능시험, data 처리 등으로 구성된다.

  • PDF

증기발생기 전열관 외면 축균열 건전성 평가를 위한 비파괴검사 크기 측정 평가 (Evaluation of Nondestructive Evaluation Size Measurement for Integrity Assessment of Axial Outside Diameter Stress Corrosion Cracking in Steam Generator Tubes)

  • 주경문;홍준희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61-67
    • /
    • 2015
  • 최근 국내 증기발생기 Alloy 600HTMA 전열관의 관 지지판 부위 외면 축균열 결함의 생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증기발생기가 설계수명 이전에 조기 교체되었으며 또는 교체 예정이다. 전열관 외면 축균열은 건전성 관리에 가장 위협이 되는 요소이므로 정밀한 건전성 평가가 요구된다. 와전류검사(ECT, eddy currunt testing)는 주기적으로 수행되어 지며 이 결과는 건전성 평가 입력 자료로 활용된다. ECT 검사시스템의 신뢰성은 검사기술과 평가자 기량에 의존하며, NDE 시스템 성능을 보여주는 지수는 열화탐지와 크기 측정 오차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평가자 성능이 반영된 크기 측정 오차와 그리고 최적의 균열 크기 측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실험은 국내 각기 다른 5개 회사에서 10명의 평가자가 참여한 다자간 비교시험의 결과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실험 결과 분석은 파괴검사 결과값과 비파괴검사로 측정된 값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가스 유입 방식에 따른 집진장치 내에서의 세라믹 캔들 필터로의 입자 부하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article Loading Characteristics onto Ceramic Candle Filters in Filtration System at Different Gas Inflow Pattern)

  • 박석주;임정환;임경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5호
    • /
    • pp.983-987
    • /
    • 2008
  • IGCC 파일럿 플랜트의 집진시스템을 최적 설계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서로 다른 가스 유입 방식이 집진용기 내부의 유체 유동장과 입자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필터 표면에 전달되는 입자의 부하율은 분진입자가 혼합된 가스가 내부에 차단관이 설치된 집진용기의 외벽에 접하게 설치된 접선 유입구를 따라 집진용기 내로 유입되는 경우 아주 낮았으며, 입자크기가 클수록 입자부하율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에 반하여, 가스 유동이 집진용기의 필터지지판 중앙에 수직하게 설치된 수직 유입구를 통하여 집진용기 내로 유입되는 경우, 필터 표면으로의 입자 부하율이 아주 높았으며, 입자크기 증가에 따른 입자부하율의 감소는 접선 유입 방식에 비하여 크지 않았다.

랫드 후각점막내 Zinc 이온의 조직화학적 동정 (Histochemical Detection of Ionic Zinc in the Rat Olfactory Mucosa: Zinc Selenium Autometallography ($ZnSe^{AMG}$))

  • 남동우;손원재;김성주;김용국;김수진;유윤조;정영길;조승묵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2호
    • /
    • pp.145-154
    • /
    • 2003
  • 본 연구는 후각점막에 내재하는 zinc의 분포를 형태학적으로 뚜렷이 보여준 예가 없기에 조직화학적으로 염색한 후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이들의 분포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는 성숙한 수컷 랫드(SD 계통)를 사용하였다. 우선 동물은 전신마취시킨 후 만들어진 selenium 용액 $100{\mu}l$를 복강에 주사하였고(i.p 실험군), 다른 방법으로는 selenium 용액 $100{\mu}l$를 비강 깁숙히 플라스틱관을 삽입한 후 Hamilton 주사기로 한 방울씩 떨어뜨렸다(i.n 실험군). 후각점막내 zinc를 조직화학법으로 동정하기 위해서 zinc 특이성이 높은 AMG법(Danscher, 1985)을 이용하였다. 각 실험군의 동물은 주사 후 2시간에 이르러 3% Glutaraldehyde 고정액으로 관류함으로써 희생시켰다. 고정후 비중격을 포함하여 후각부위를 떼어낸 수 $30{\mu}l$ 두께의 관상절편을 만들었다. AMG 반응이 끝나면 toluene blue (TB)로 대조염색하고, 알코올과 자일렌 등을 이용한 탈수과정 및 청명과정을 거쳐 광학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전자현미경적 절편을 만들기 위해 전자현미경 관찰을 위한 실험으로 vibratome을 사용하여, $100{\mu}m$ 두께의 가로절편을 만들었고, AMG염색이 끝나면 일반적인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투과전자현미경하에서 관찰하였다. Selenium 용액을 복강에 투여한 i.p 실험군에서는 $30{\mu}m$ 두께의 후각점막의 상층부와 기저부에서 강한 AMG 반응산물(silver grains)이 관찰되었으나 기저막아래 고유판에서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반면 selenium 용액을 비강점막에 직접 도포한 i.n 실험군에서는 i.p 실험군과 같이 후각점막에서 강한 AMG 반응이 관찰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반응이 기저막내 후각실의 주행을 따라 관찰되었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된 후각상피에서는 AMG 과립이 지지세포의 세포 상층부에서 관찰되는 분비과립에 국한되는 소견이며, 이곳에서 관찰된 AMG은 과립(silver grains)은 원형 또는 난원형으로 그 크기는 다양하였다. 반면 세포체 하부에서 관찰된 AMG grains은 주로 용해소체위에서 밀집되어 관찰되었으며, 핵주변부 및 세포사이공간(intercellular space)에서는 AMG grains이 낱개로 구분, 관찰되었다. 한편 i.n 실험군에서 관찰된 후각점막의 전반적인 구조가 손상된 소견을 보였으며, 지지세포의 위쪽에서는 전자밀도가 높고 간상의 crystalloid structure가 다수 관찰되었고, 이들 구조에 다수의 AMG 과립이 붙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랫드 후각점막에 존재하는 zinc는 지지세포의 분비과립과 후각세포의 축삭다발인 후각실에서 관찰되었는데 이는 zinc가 후각기능과 매우 밀접한 관련있음을 시사하며, 이는 향후 후각기능과 zinc의 연관성을 연구하는데 소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믿는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후각점막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여러 가지 질환의 병리에서 zinc가 영위하는 신경생물학적 기능을 밝히는데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흰쥐 정자형성과정에 미치는 Di-(2-ethylhexyl)phthalate의 영향 (Effect of Di-(2-ethylhexyl)phthalate(DBHP) on Spermatogenesis in Rat Testes)

  • 김완종;길영천;이종화;신길상
    • 환경생물
    • /
    • 제17권3호
    • /
    • pp.285-292
    • /
    • 1999
  • 플라스틱 제품의 가소제로 널리 사용되며, 최근 내분비 교란물질로 알려져 있는 di-(2-ethylhexyl)phthalate(DEHP)를 흰쥐에 15일 동안 구강 투여(1g/kg/day, 2g/kg/day, 3g/kg/day)한 후, 정자형성과정에 연관된 정소의 기능과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DEHP 처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체중 증가율이 감소하였을 뿐만 아니라 정소의 무게도 감소하였다. 또한 세정관의 직경이 고농도군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세정관내의 세포층이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실험군은 세정관내 세포사이 공간이 증가하였으며 정원세포와 정모세포의 수가 감소하였고, 세포질내 공포가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세정관내 Sertoli 세포의 전체 세포질 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정원세포의 경우 핵막 이중층이 분리되는 현상을 보였다. 특히 고농도군의 세정관내에서는 Sertoli 세포 이외의 세포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세포사이 공간과 공포들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Sertoli 세포의 핵막은 심하게 함입된 형태를 나타냈으며 이질염색질이 증가하여 염색질의 덩어리를 이루고 있었고, Sertoli 세포들을 지지하는 기저판은 심하게 굴곡된 형태를 보였다. Leydig 세포의 미세구조에 있어서도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세포질내의 활면소포체와 핵막 이중층이 심하게 팽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핵내에 이질염색질이 상당히 증가하고 세포질내 리소솜이 증가하는 특징을 보였다.또한 혈청내 테스토스테론 함량에 있어서도 실험군은 현저히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DEHP는 정소의 발달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고, Leydig 세포의 테스토스테론 합성기능을 저해하며, 이어서 세정관내부의 Sertoli 세포의 구조와 기능을 손상시켜 생식세포들의 괴사를 유도하는 과정을 통해 일련의 정자형성과정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