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중 수 예측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4초

네트워크 기반 2000년대 한국영화의 관객 동원력 분석 (Analysis of Spectator Mobilizing Power for 2000's Korea Movies Based on Construction of Network)

  • 김학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29-437
    • /
    • 2011
  • 영화 네트워크도 다른 사회 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멱함수 분포 특성을 지닌 척도 없는 네트워크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 상영된 한국영화 799편에 등장하는 배우 및 감독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영화감독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 네트워크로 부터 3편 이상을 연출하고 70%이상의 백만 관객을 동원한 감독 중에서 영화 편당 관객 수가 높은 상위 10명의 감독을 추출하였다. 한국영화 799편을 관객 동원력에 따라 3등급으로 구분하고 각 등급에 일정 편수 이상 출연한 배우들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70% 이상의 백만 관객 동원율을 가진 편당 관객 동원수가 높은 상위 20명의 배우를 추출하였다. 배우 및 감독 30명이 출연하거나 연출한 영화를 중심으로 2000년대 한국 영화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핵심 영화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장르별 상위 관중 동원력을 가진 영화배우와 영화감독을 도출하였다. 이 핵심 네트워크로부터 향후 관중 동원력이 높은 영화를 제작할 수 있는 감독, 배우, 장르의 조합을 2010년의 실제 상황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궁극적으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한국 영화 관객 동원력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해석적 근사해에 근거한 스터링기관의 2차단열해석법 (A Second-Order Adiabatic Analysis Method of Stirling Engines Based on the Approximate Analytical Solution)

  • 유호선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787-794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이미 알려진 이상적인 단열모델에 대한 해석적 근사해를 기본 해로 취하고, 열교환과정의 손실 및 작동유체의 유동손실 등 성능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큰 인자만을 고려하여, 성능을 쉽게 예측할 수 있는 2차단열해석법의 하나를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의 타당성및 적용예를 보이기 위하여 기존의 스터링기관중 각 종제원및 실험결과가 발표되어 있어 비교의 기준으로서 적합한 GPU-3(ground power unit)기관을 대상으로 해석방법을 실제 적용하고 결과를 고찰하기로 한다.

손톱 깨물기 습관을 가진 아동의 전치부 치근길이와 치조골 높이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root lengths and crestal bone height In nail biting patients)

  • 황충주;김정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89-698
    • /
    • 1999
  • 교정치료의 목표는 치아와 악골의 기능성과 심미성을 높이며 안정성을 도모하는데 있지만 치료 과정 중에 치근흡수와 치조골 흡수와 같은 여러 가지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치근첨의 흡수는 예측이 불가능하고, 상아질 부위까지 파급될 수 있으며, 발생 후 비가역적이다. 여러 가지 구강악습관중 손톱 깨물기 버릇의 치근과 치주조직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여 교정 치료시 적절한 생역학을 고려하고, 교정치료동안 잠재적으로 치근흡수와 치조골 상실의 가능성에 대처하며, 사전에 법적인 문제에 신중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10~15세의 남녀 환자를 문진을 통해서 파악된 손톱깨물기 버릇을 가진 63명을 실험군으로 하였고, 같은 연령대의 손톱 깨물기 버릇이 없는 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들은 실험군에서 각각 남자30명, 여자 33명이었고, 대조군에서는 남자 31명, 여자 32명이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은 각각 6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여 비율은 1:1이었고, 치근흡수에 있어서 통계학적으로 남.여간의 유의성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2. 치관의 길이를 비교할 때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치근의 길이는 실험군에서 상 하악 양측 중절치와 하악 우측 측절치에서 상대적으로 더 짧은 값을 보였다(p<0.001). 3. 실험군의 치근단 방사선 사진상에서 치관 대 치근 평균 길이의 비에서 상.하악 양측 중절치와 하악 양측 측절치에서 유의성 있는 큰 값을 보였다 (p< 0.01). 4. Cemento-Enamel Junction에서 alveolar crest bone까지의 거리 측정에 의한 치조골 상실량의 비교 평가한 경우 실험군에서 상 하악 좌 우측 중절치의 근심면과 상악 우측 중절치의 원심면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crestal bone의 상실을 보였다 (p<0.05).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