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제석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71 seconds

VTS 데이터를 이용한 정량적인 VTS 구역 적정 관제석 산출

  • Kim, Gwang-Il;Jeong, Cho-Yeong;Kim, Ju-Seong;Lee, Geon-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267-270
    • /
    • 2018
  • 해상교통관제센터(VTS)는 해상 안전과 선박교통효율을 위해 우리나라 주요 항만 및 연안해역에서 운용중이다. 우리나라 VTS는 외국항만 VTS에 비해 1인당 담당 관제면적이 넓으며, 최근 VTS 구역 추가 확대로 기존 관제사의 담당구역이 기존보다 더욱 확대되어 관제사의 집중관제와 선박교통관리 어려움이 더욱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VTS 구역의 효율적인 운영과 VTS 인력 확보를 위한 정량적인 관제석 수 산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VTS에서 수집중인 선박교통 및 선박교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VTS 구역 적정 관제석 산출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한 방법은 VTS 구역에서 운항하는 모든 선박의 모니터링 시간, VHF 교신에 대하여 관제 업무(task)항목, 출현빈도, 소요시간을 정의하고, 단위시간동안 각 관제 task별 소요시간을 계산하여 관제석 수를 계산한다. 제안한 방법을 여수VTS 해역의 VTS데이터에 적용하여 적정 VTS 관제석 수, 시간대별 관제석 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혼잡시간대 필요 관제석이 4-5 석이 필요로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VTS 시스템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을 통한 관제장비의 최적배치 방안

  • Kim, Seok-Jae;Lee, Jeong-Jin;Jang, Eu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6.05a
    • /
    • pp.266-268
    • /
    • 2016
  • 우리나라는 항만운영의 효율성 및 선박 안전운항을 위하여 1993년 포항을 시작으로 전국 18개의 VTS 시스템을 설치 운영하고 있으나, 최근 선박 교통량의 증가와 더불어 해양사고의 증가 원인으로 인적요인에 대해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해상교통관제 업무는 고도의 주의력과 예측능력을 요구하므로 이를 저해하는 인적요인을 분석 및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TS 관제실의 근무환경에 대해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사항 분석과 함께 현장조사를 시행하여 분석함으로서 VTS 관제장비 및 관제석의 최적 배치방안을 제시하여 최상의 해상교통관리 체제 구축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 PDF

Setting Up of VTS Areas Around Jeju Using AIS Data (AIS 데이터를 활용한 제주지역 VTS 관제구역 설정)

  • Yoo, Sang-Lok;Kim, Kwang-Il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6 no.3
    • /
    • pp.209-215
    • /
    • 2022
  • On the Jeju coast, international cruise ships, passenger ships, and other ships pass frequently, as well as many fishing boats. Thus, there is a high risk of marine accidents and frequent ship collisions. Accordingly, it is urgent to establish a coastal VTS for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of ships passing through the coastal waters of Jeju.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the area of the VTS to be newly established. In this study, to calculate the workload of the VTS operators, a formula was proposed that reflects the monitoring workload considering the monitoring frequency and required time for target as well as non-target ships and the workload for ship collision situations. The proposed formula was applied to the newly established VTS area in Jeju. Three control sectors were set up in each VTS center. The average number of workstations per hour was approximately 1, so the division between sectors was appropriate. Thus, it was deduced that there would be no workload for the VTS operators. It is expected that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calculating the appropriate number of workstations for the current VTS, and setting the VTS area for a new coastal VTS in the futur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a Traffic Control Information (Voice) Collection System (해상교통관제 정보(음성) 수집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Oh, Jeong-Seok;Gwon, Hyeon-Su;Lee, Hyo-Dong;Kim, Chang-Muk;Kim, Hy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924-927
    • /
    • 2020
  • 현재 선박관제시스템에서는 관제정보들을 관제사가 직접 수기로 작성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관제사들은 번거로움을 느끼고 부정확한 정보 전달을 유발하기도 한다. 이에 본 논문은 관제사들이 구두로 녹음한 내용을 자동으로 문자로 저장하고, 저장된 선박 정보를 다시 음성 및 문자로 확인해볼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본 논문을 통해 관제사들이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관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VTS 관제구역의 확대에 따른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 관제섹터 분리운영 및 모니터 증설 등 시설확충부분을 중심으로

  • Choe, Gyeong-Sik;Kim, Bong-Seok;Park, Seong-Yong;Kim, Da-Yeong;Im, Ho-Chan;Jo, Yeong-Jin;Lee, Yeong-Jeong;Jeong, Yeong-Gwang;Lee, In-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335-337
    • /
    • 2014
  • 최근 잇따르고 있는 대형 선박사고에 대응하기 위하여 해양수산부는 2014년 4월 1일자로 항만VTS의 관제구역을 레이더 탐지가 가능한 12마일까지 확대하였다. 본고에서는 확대관제구역 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모니터 등 시설 측면과 VHF 교신을 통한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개선방안으로 초고해상도 모니터의 도입 등의 시설개량과 관제섹터 분리운영을 제안하였고 이에 수반되는 보완점을 함께 검토하였다.

  • PDF

In order to prevent malicious attacks, physical security control to the virtual security control to link integrated control system design (악의적인 공격을 차단하기 위하여 가상보안관제와 물리보안관제를 연동한 통합관제시스템 설계)

  • Song, Jun-Ho;You, Jae-Hwe;Park, Tae-Sung;Jun, Moon-Seo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756-758
    • /
    • 2012
  • 클라우드 서비스가 발전됨에 따라 자원공유를 위한 가상머신의 활용도 점차 증진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상머신의 활용으로 인하여 가상 영역에 따른 보안위협이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가상 영역에 따른 보안위협으로부터 보다 안전하고 유동적인 대처를 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물리관제센터와 가상관제센터의 연동을 통하여 상호간의 현황을 알 수 있음으로써 가상머신 모니터링, 플랫폼 간 공격연관성 분석 등이 용이하며 자원고갈공격이나 DDoS 공격과 같은 위협으로부터 안전하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향후 클라우드 서비스 운용시 물리영역과 가상영역을 총괄적으로 관리하는 통합관제센터 활용에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Error filtering technology using change rate of moving object data in real-time video (실시간 영상의 이동 객체 데이터 변화율을 이용한 에러 필터링 기술)

  • Yoon, Kyoung-Ho;Kim, Dhan-Hee;Lee, Wo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1a
    • /
    • pp.155-158
    • /
    • 2019
  • 최근 지능형 CCTV 관제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CCTV 영상 데이터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를 분석하기 위한 기술의 발전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지능형 CCTV 관제 시스템은 영상 속 객체를 찾고 이 객체의 메타데이터를 통해 지능형 관제 시스템을 수행한다. 하지만 영상 속 객체의 로그가 항상 정확하지 않다. 현재의 객체 인식 기술로는 CCTV 영상의 밝기, 해상도 조건에 따라 성능의 차이가 심하고, 영상의 프레임 대비 빠르게 움직인 CCTV 영상 속 모든 객체를 사람이 인식하는 정도로 인식하기 어렵다. 이러한 이동 객체의 크기, 위치를 분석한 메타데이터에는 에러가 포함되기 쉽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CCTV 관제 시스템에서 분석한 영상 속 객체의 프레임 메타데이터 에러를 학습기반 실시간 에러 필터링 알고리즘을 통해 개선하여 에러가 필터링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지능형 관제 시스템의 정확도 향상에 기여 할 것을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Flight Control Position State and Flow Management in Flight Control (항공관제에서 관제석 상태 및 흐름 관리에 관한 연구)

  • Lee, Deok Gyu;Han, Jo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1124-1125
    • /
    • 2013
  • 본 논문은 비행자료의 상태 및 흐름을 관리하여 내부 혹은 외부의 바이러스의 피해 및 비행자료 변조 및 수정 등의 해킹 발생에서 비행자료 시스템의 가용성, 신뢰성 및 무결성을 강화시켜 비행자료시스템 운영 시 관제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다양한 사이버 테레에 대응하여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재해를 복구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관제사가 비행자료 상태 및 흐름 관리함에 있어 비행자료를 일방향으로 상태를 변경하거나, 진행하는 방식이 아닌, 일정 시간동안 비행자료의 시간차를 두어상태를 관리함으로써 비행자료를 보호하여 시스템을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Jeju and Seogwipo Costal Control Workload based on VTS Big Data (VTS 빅데이터를 활용한 제주·서귀포 연안 관제 업무량 산정)

  • Ji-Hee Kim;Kwang-Il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67-268
    • /
    • 2022
  • Jeju coastal waters are limited to high-risk areas due to the passage of international cruise ships, passenger ships, with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fishing boats, or to the jeju port and the jeju civilian-military combined port and near by seas, so a VTS system will be established along jeju and seogwipo coast. There is no accurate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number of people required by the maritime traffic control center. Therefore, this study calculated the required operating personnel for control seats on the coast of jeju and seogwipo by using VTS big data to efficiently calculate the workload of maritime traffic control. It is judg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basic data for research that sets the standard for calculating the control workload.

  • PDF

Variation of Beach Processes and Harbor Sedimentation in an Area of Large Tide (소형선박의 충돌위험도 분석을 위한 VTS 관제구역내 사례 연구)

  • Lee, Jin-Suk;Kim, Joo-Sung;Kim, Kwang-Il;Song, Chae-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34-35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isk of collision accidents to the VTSOs(Vessel Traffic Service Operators) as small vessels are expanded for monitoring targets. For this purpose, the risks of accidents and quasi-incidents involving small ships in the VTS area were analyzed by the collision risk model(CoRI) from the view-point of VTSOs. In addition, by analyzing risk of whether or not small vessels are included in the monitoring target by CoRI, we will contribute to the preparation of a proper range of the vessel for monitoring taget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in the fu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