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절질환

검색결과 761건 처리시간 0.028초

노인성 질환 유발 척추질환과 바른자세

  • 신규철
    • 자연과 농업
    • /
    • 통권251호
    • /
    • pp.30-31
    • /
    • 2009
  • 오랫동안 잘못된 자세로 척추에 부담을 주게 되면, 척추 관절염과 같은 퇴행성 변화를 촉진시켜, 결국 척추관협착증과 같은 노인성 질환을 불러오므로 평소에 의식적으로라도 바른 자세를 취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PDF

우리나라 노인에서 관절염과 동반 만성질환에 의한 건강관련 삶의 질 감소 효과 (Effect of Arthritis and Comorbid Chronic Condition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Elderly)

  • 노지영;김순영;권인선;남해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751-3758
    • /
    • 2014
  • 본 연구는 제3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관절염과 동반 만성질환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이하 HRQoL) 감소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7개 단일질환군(관절염, 추간판탈출증, 골다공증, 천식, 위십이지장궤양, 뇌졸중, 백내장) 1,357명, 관절염에 더하여 상기 만성질환중 하나를 추가 보유한 복합만성질환군 886명, 무질환군 465명 등 총 2,708명이었다. HRQoL 지표인 EQ-5D index를 집단 간에 비교하기 위해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고 관절염과 동반 만성질환의 교호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남녀로 나누어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성에서 연령보정 EQ-5D index 평균치가 관절염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질환군은 단일질환군 중에는 뇌졸중군이 유일하였으며, 복합만성질환군 중에는 뇌졸중을 동반한 관절염군과 백내장 동반 관절염군이었다. 여성에서 연령보정 EQ-5D index 평균치가 관절염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질환군은 단일질환군 중에는 천식, 뇌졸중, 백내장 등이었으며, 복합 만성질환군 중에는 골다공증 동반 관절염군, 위십이지장궤양 동반 관절염군, 뇌졸중 동반 관절염군, 백내장 동반 관절염군 등이었다.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성에서는 교호작용이 관찰되지 않았고, 여성에서는 관절염환자가 뇌졸중을 동반한 경우만 교호작용이 관찰되었는데 감산관계 양상을 보였다. 관절염환자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을 평가하는 경우에는 동반 만성질환의 이러한 효과를 고려하여할 것이다.

고관절 질환환자의 중심동요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tural sway characteristics of various hip disorders)

  • 강창수;신승헌;민병우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27-140
    • /
    • 1995
  • 인간이 자연스럽게 선 자세를 취하는 경우, 그 신체의 균형은 주로 시각과 전 정미로계, 소뇌 및 근고유감각의 정보에 의하여 미세하게 조절된다. 그러나 일단 편마비, Parkinson's Disease, 골관절 질환, 실명등의 평형기능을 지해하는 장해를 받데 되면, 정상 적인 자세제어는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장해를 진단.치료해 가는 데에 재활의학에 있어서는 관절가동역 Test, 거수능력 Test, 일상생활동작 Test등의 평가방법이 이용되고 있고, 골관절 질환에 있어서는 방사선사진에 의존도가 높다. 그러나 어느 방법을 선택하든지간에 의사나 실제로 검사를 하는 검사자의 주관에 의한 것이 많고, 또 어느 정도 가능한가라는 정성적 판단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객관적이면서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찾아서 위의 방법과 병행하는 것이 진단에 있어서 더욱 신뢰성을 높이고, 환자 자신도 병의 진행과정과 치료효과를 쉽게 이해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mCFAR 과 CLMS 필터를 이용한 교근의 휴지기 기간 측정법 (A Measuring Method of Duration of Massteric Silent Period using mCFAR and CLMS filter)

  • 김덕영;박중호;양덕진;강병길;김태훈;이영석;김성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01-607
    • /
    • 1999
  • 상악(maxilla)과 하악(mandibular)의 최대 교합상태에서 하악을 기계적으로 자극(jaw jerk)할 경우 교근(masseter muscle)의 근전도 (electromyography)에서는 근신호가 일시적으로 침묵하는 형태의 휴지기(silent period) 현상이 발생한다. 턱관절 질환(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tion)이 없는 정상인의 경우 24ms 정도의 휴지기가 나타나지만, 턱관절 질환 환자의 경우 평균 60ms 정도임을 볼 때 휴지기는 턱관절 질환을 진단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휴지기 기간을 자동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mCFAR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CLMS 적응 필터를 사용하여 근전도 신호의 왜곡을 가져오는 전원 잡음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다. 실험 결과 전원 잡음에 대해 강건하며, 정확한 휴지기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