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절고정술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8초

Precontoured Locking Compression Plate를 이용한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the Displaced Midshaft Clavicle Fracture Using Precontoured Locking Compression Plate)

  • 김정우;강홍제;노성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2호
    • /
    • pp.117-122
    • /
    • 2012
  • 목적: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에서 관혈적 정복술 후 윤곽 성형된 잠김 압박 금속판(precontoured locking compression plate)을 이용하여 내고정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학적 결과 및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여 윤곽 성형된 잠김 압박 금속판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본원에서 쇄골 간부 골절에 대해 윤곽 성형된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하여 관혈적 정복 및 금속 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의 추시가 가능했던 3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방사선학적 결과는 골유합 여부와 성별 및 나이에 따른 골유합 시기의 차이를 평가 하였으며 임상적 결과는 최종 추시 시 quick DASH Score 및 반대측과 관절 운동 범위의 차이를 평가 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2.3주였으며 성별 및 나이에 따른 골유합 기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7). 임상적 평가에서 최종 quick DASH Score는 평균 23.5점 (12~42)이었으며, 최종 추시시 견관절의 운동은 건측과 비교 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69). 결론: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에 대해 윤곽 성형된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술은 정확한 해부학적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을 유지 할 수 있어 조기 운동이 가능하여 견관절 운동의 회복과 함께 전례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어 쇄골 간부 골절 치료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설상형 Sanders 제 II형 종골 골절에 대한 관절경하의 정복 및 경피적 고정술의 결과 (Outcomes of Arthroscopic Assist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Fixation for Tongue-Type Sanders Type II Calcaneal Fractures)

  • 박재우;박철현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44-150
    • /
    • 2017
  • Purpose: To assess the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arthroscopy-assist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fixation for patients with tongue-type Sanders type II calcane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ugust 2014 and December 2015, 10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using subtalar arthroscopic assist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fixation for tongue-type Sanders type II calcaneal fractures were reviewed. The mean age was 50.8 years (36~62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4 months (12~40 months).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using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score at the regular follow-ups, and the foot function index (FFI) at the last follow-up. The subtalar range of motion (ROM) wa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e uninjured limb at the last follow-up. The radiographic results were assessed using the Bohler's angle from the plain radiographs and the reduction of the posterior calcaneal facet using computed tomography (CT).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assessed by a chart review. Results: The VAS and AOFAS ankle-hindfoot score improved until 12 months after surgery. The FFI was 15 (1.8~25.9) and subtalar ROM was 75.5% (60%~100%) compared to the uninjured limb at the last follow-up. The $B{\ddot{o}}hler^{\prime}s$ angl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2^{\circ}$ ($-14^{\circ}{\sim}18^{\circ}$) preoperatively to $21.8^{\circ}$ ($20^{\circ}{\sim}28^{\circ}$) at the last follow-up. The reduction of the posterior facet was graded as excellent in five feet (50.0%) and good in five (50.0%) on CT obtained at 12 months after surgery. One foot (10.0%) had subfibular pain due to a prominent screw head. One foot (10.0%) had pain due to a longitudinal tear of the peroneal tendon that occurred during screw insertion. Conclusion: Subtalar arthroscopic-assisted reduction of the posterior calcaneal facet of the subtalar joint and percutaneous fixation is a useful surgical method for tongue-type Sanders type II calcaneal fractures.

족관절 삼과 골절에서 전후방 유관나사 후과 고정술의 2년 추시 결과 (Two-Year Follow-up Results of Anteroposterior Cannulated Screw Fixation of Posterior Malleolar Fragment in the Trimalleolar Fracture)

  • 정성윤;이명진;정영훈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67-7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2-year follow-up results of patients with a trimalleolar fracture, who had undergone an anterior incision cannulated screw fixation of the posterior malleolar fragment, which had more than 25% of articular involvement or had no cortical continuity with the distal tibia. Materials and Methods: Among 28 patients with a trimalleolar fracture who had undergone fixation of the posterior malleolar fragment between February 2005 and February 2010, 14 patients, who underwent an anterior incision cannulated screw fixation of posterior malleolar fragment and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2 years, were selected. The postoperative clinical and radiological findings immediately and at the 1- and 2-year follow-up were compared. The clinical findings were evaluated as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The radiological assessment was evaluated as the maintenance of reduction, period to bone union, and the presence of nonunion, malunion, and complications. Results: The clinical outcome by mean AOFAS score revealed 83.0 points in the group with preoperative displacement below 2 mm and 80.7 points in the group with preoperative displacement above 2 mm postoperatively. The mean AOFAS score was 91.7 and 93.1 points in the group with preoperative displacement below 2 mm on 1- and 2-year follow-up, respectively, and 89.8 and 91.7 points in group with the preoperative displacement above 2 mm on 1- and 2-year follow-up, respectively. After a 2-year follow-up among 14 cases selected for this study, 13 cases showed an excellent reduction state and only 1 case (7.1%) showed a displacement of more than 2 mm. No complication were encountered in the group with preoperative displacement below 2 mm. On the other hand, among 8 patients in the group with preoperative displacement above 2 mm, there were 3 with limitations of the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joint (37.5%) and 1 post-traumatic arthritis (12.5%) at the 2-year follow-up. Conclusion: Anterior incision cannulated screw fixation of the posterior malleolar fragment could be a valuable method for the treatment of trimalleolar fractures that provides satisfactory results.

근위 경골 골육종의 종양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후의 기능 평가 (Functional Result of Limb Salvage Surgery with Tumor Prosthesis for Osteosarcoma of Proximal Tibia)

  • 박원종;손종민;정양국;강용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39-143
    • /
    • 2001
  • 목적 : 근위 경골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에 따른 재건술은 적절한 연부 조직의 피복(cover age), 슬관절 신전 장치(knee extensor apparatus), 특히 슬개건의 견고한 재부착이 어려워 슬관절의 기능적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바, 근위 경골의 골육종으로 광범위 절제 후 종양 대치물 삽입으로 사지 구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기능을 평가하고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4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경골 근위부의 골육종으로 확진된 후 종양 대치물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술 받은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명, 여자가 5명이었으며, 환자의 나이는 15세에서 65세로 평균 23.7세였다. 추시 기간은 최단 1년에서 최장 4년 6개월로, 평균 2년 5개월이었다. 최종 기능평가는 1993년 국제 사지 보존 회의(International Symposium On Limb Salvage; ISOLS)에서 수정 보완한 방법을 이용하여 동통, 기능(functional activity), 환자의 정서적 만족도(emotional acceptance), 보조기 사용여부(use of external support), 보행 능력(walking ability), 그리고 보행 상태(gait)등 여섯 가지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각각의 요소를 최하 0점에서 최고 5점으로 하고 그 중간을 정도에 따라 1, 2, 3, 4점으로 점수화하여 정상 기능에 대한 백분율(% )로 표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기능 평가 성적은 정상 기능에 대해 최고 86.7%에서 최저 53.3%로 평균 68.3%를 나타냈으며, 세부적으로 보면 동통이 82.5%, 기능이 62.5%, 정서적 만족도가 67.5%, 보조기 사용여부는 77.5%, 보행능력은 62.5%, 보행상태는 57.5%였다. 슬관절의 평균 운동범위는 신전 5도, 굴곡 85도였으며, 5례에서 최소 5도, 최고 15도, 평균 10도의 신전 제한(extension lag)을 보였다. 합병증으로는 2명에서 수술 후 감염 소견을 보였으며 1명은 항생제 치료로 호전되었으나 다른 1명은 종양 구조물 제거 후 관절고정술로 전환이 필요하였다. 결론 : 경골 근위부의 골육종 환자에서 광범위 절제 후 종양 대치물 삽입에 의한 사지구제술의 기능 평가 성적은 감염이 합병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으나, 동통 소실, 보조기 사용여부에 비해 슬관절의 부분 강직 및 extension lag로 인해 기능, 정서적 만족도, 보행등에서 덜 만족스러웠다. 임상적으로 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위해 수술 후 대퇴사두근 강화 운동 및 굴곡 운동 등의 적극적인 재활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상완골 간부 악성 병적골절의 비관혈적 고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Closed Interlocking Intrmedullary Nailing of Metastatic Diaphyseal Fractures of the Humerus)

  • 박원종;이승구;강용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1
    • /
    • 2003
  • 목적: 전이암 혹은 악성 혈액질환에 의한 상완골의 병적골절의 비관혈적 고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삽입술에 대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이암 혹은 다발성 골수종에 의한 상완골 병적골절 혹은 임박골절로 치료받은 29명중 비관혈적 정복 및 고합성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로 치료 받은 13명 16례를 대상으로 병적기록과 방사선 사진을 분석하였다.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의 평가는 Perez 등의 방법을 변형하여 우수, 양호, 보통, 불량으로 하였다. 결과: 원발암은 다발성 골수종 4명, 폐암 3명, 유방암 2명, 그 외에 선암(adenocarcinoma), 신장암, 위암 및 대장암이 각각 1명이었다. 2명에서는 상완골의 병적골절 후 원발암이 진단되었고, 11명에서는 원발암 진단 후 최소 1개월, 최장 10년, 평균 28.9개월에 상완골 병적골절이 발견되었다. 상완골로의 전이가 발견된 후 최단10주(신장암), 최장 4년 7개월(다발성 골수종), 평균 11.7개월간 생존하였다. 상완골 전이 16례중 13례에서 보통이상의 통증 완화와 기능회복을 보였으나, 수술 후 골 파괴가 진행되었거나 동측 수부로 전이한 3례에서는 불량한 결과를 보였다. 이들 3례와 수술 후 3개월 이전에 사망한 3례를 제외한 10례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수술 후 감염, 신경마비 등 수술과 관계되는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전이암 혹은 악성 혈액질환에 의한 상완골 병적골절은 골절전의 기능상태, 원발암의 종류, 예상되는 생존기간, 환자의 전신상태, 전이암의 국소 및 전신 침범정도에 따라 수술방법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추에 발생한 거대 세포종 - 증례 보고 - (Giant Cell Tumor of the Cervical Spine - Case Report -)

  • 안기찬;정경칠;김윤준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7-62
    • /
    • 2006
  • 척추의 거대 세포종은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고도의 악성도로 인해서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척추의 거대 세포종은 높은 재발율과 함께 척수의 기계적 압박 가능성으로 인해 방사선 치료가 근간이었으나, 최근에는 근치적 절제술과 함께 기구를 이용한 전후방 고정술을 시행 하여 좋은 결과를 보고 하고있다. 본 정형외과학교실에서는 경부 동통을 유발하며 제3경추를 침범한 거대세포종에 대해서 근치적 절제술과 함께 후방 기기술을 통한 융합을 시행 하였으며, 추시 관찰상 우수한 치료 결과를 보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상완골 간부 골절에 대한 선행성 교합 골수강내 금속정 고정술 후 견관절 기능 (Shoulder Function after antegrade intramedullary interlocking nailing for humeral shaft fracture)

  • 박진영;전지용;김명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6권1호
    • /
    • pp.27-36
    • /
    • 2003
  • Antegrade interlocking intramedullary nailing (AIIN) for the humeral shaft fracture can induce shoulder pain and decrease of shoulder function postopera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outcome of the shoulder functions after AIIN through the rotator interval between the subscapularis and the supraspinatus to decrease the shoulder pain. Out of consecutive 43 cases that underwent AIIN 42 had been followed for two years or more. Among them we analysized 40 cases of 39 Patients excluding two cases of Pathologic fractures. The average was 47 years. There were 17 men and 23 women. The average follow-up was 34 months. Open nailing was performed in 26 fractures and closed nailing in 14. Bone graft was done in 7 fractures with open nailing. With a single operation, all but two patients achieved osseous union. Average pain score with visual analog scale was one (range; 0∼4) postoperatively By the Neer's score 37 patients received a excellent or satisfactory results while 3 patients' unsatisfactory or failed results. By the functional score of ASES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6 cases received the fair or poor results. Except three cases with persistent nerve palsy and one case of technique failure with protruded nail over humeral head, all patients could achieved satisfactory results with Neer's score and 35 cases (94%) satisfactory results with functional score of ASES. An insertion of antegrade nail to the rotator interval was recommended for better shoulder functions and less pain postoperatively.

원위 경골 골절의 임상양상 및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의 결과 (Clinical Features of Distal Tibial Fractures and Treatment Results of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 김원유;지종훈;권오수;박상은;김영율;길호진;정재중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4-10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linical features of distal tibia fractures and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s of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MIPO).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09, 84 cases of 81 patients treated with plate fixation for distal tibia fracture were enrolled in this retrospective review. We investigated age, sex, injury mechanism, fracture patterns, and complications, and the clinical features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treatment outcomes of MIPO, we divided into two groups. MIPO group consisted of 55 patients were treated with MIPO technique and conventional group consisted of 18 patients were treated with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with conventional anterolateral plating.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by assessing bony union time, operation time, amount of blood loss, range of ankle motion, clinical score by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score,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The mean age of 81 patients with distal tibia fracture was 54.8 years. According to AO classification, A1:2:3 were 16, 20, 16 patients, B1:2:3 were 2, 8, 7, C1:2:3 were 1, 3, 11 patients. According to injury mechanism, slip down injury was patients, traffic accident was 26, fall from height injury was 14 patients respectively. The type A fractures were lower energy trauma and more older patients. The type C fractures were higher energy trauma and younger patients. MIPO group was better than conventional group in operative time, blood loss, bony union time, and ankle joint motion. In complications, MIPO group showed no nonunion and infection, one malunion, one skin necrosis, nine skin irritations, and one screw breakage. Conventional group showed two nonunion, four infections, two skin necrosis, and one metal failure. Conclusion: Distal tibial fractures caused by low energy trauma were on the increase. Minimal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was shorter bony union time and operation time, less blood loss, and larger ankle motions than conventional open reduction and plate fixation.

견봉 골의 수술적 치료 (Operative Treatment of Symptomatic Os Acromiale)

  • 지종훈;김원유;박상은;김영율;문창윤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123-130
    • /
    • 2008
  • 견관절에서 드물게 통증을 유발하는 견봉 골의 치료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있으나 6개월 정도의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이 중 수술적 치료로는 관절경하 견봉 성형술이나 개방적 견봉 성형술, 골편 제거술 또는 고정술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으나 최근 긴장대 강선 고정법 및 골 이식술을 시행하여 골유합을 얻는 방법이 선호되고 있다. 저자들은 2001년 4월부터 2006년 4월까지 본원에서 경험한 8예를 대상으로 최종 추시 기간이 2년 이상 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평균 나이는 45세였으며 남녀 비는 2: 6 이었다. 액와면 단순 방사선 검사상 8예 모두에서 mesoacromion의 소견을 보였다. 증상발현에서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10개월이었으며, 개방적 정복 및 내고정 그리고 골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술 전ASES 및UCLA 점수는 $47.3\pm24.4$$16.6\pm5.8$점에서 최종 추시 상 $88.8\pm7.3$$31.5\pm1.9$점으로 향상되었다. UCLA 점수상, 우수 1예, 양호 7예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견봉 골의 치료로써, 골 이식술과 개방적 정복술 및 K-강선을 이용한 긴장대강선 고정법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토끼에서 오적골 이식 후 골 결손부 재생 평가 (Evaluation of the Bone Defect Regeneration after Implantation with Cuttlebone in Rabbit)

  • 원상철;이주명;박현정;서종필;정종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10-416
    • /
    • 2015
  • 골대체제는 지연유합이나 유합부전 그리고 골절술과 관절고정술 시 골편의 연속성 확립이 필요한 경우 골절의 주요 결손부위를 채우는데 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적골의 다양한 전처리 후 직경 5 mm 두께 2 mm의 형태로 가공하여 rhBMP-2의 담체로써 골전도력과 골유도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결합조직의 두께는 2, 4주차 모두 오적골유래 hydroxyapatite 적용군(CBHA)에서 가장 유의성 있게 얇았다(p < 0.05). Radiologic gray-level histogram의 측정에서는 4주차에서 CBHA군이 산호유래 hydroxyapatite 적용군(CHA)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p < 0.05), 12주차에서는 CHA군의 변화율이 가장 적었다. 전체 12주 동안의 변화율에서는 CBHA가 가장 많은 변화를 보였다. 폐쇄율에 있어서는 4, 8, 12주차 모두 CHA군이 다른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p < 0.05), 8주차에서는 bmp를 적용한 오적골 적용군(CB1bmp)이 CBHA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p < 0.05). 이상의 결과들은 CBHA가 생체 내에 적용하는 골대체재로서 골유도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BHA는 편평골에 있어 생체적 합성이 뛰어난 골대체재로 그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수의 임상에 있어서 활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