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관절경적 분류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18초

내측 반월상 연골 후각부 방사형 파열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sults of the Radial Tear of Posterior Root of Medial Meniscus)

  • 나경욱;조진호;이동봉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8-133
    • /
    • 2007
  • 목적: 내측 반월상 연골 방사형 파열의 관절경적 연골판 절제술 후 임상 결과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내측 반월상 연골 방사형 파열을 가진 2년 이상($2{\sim}7$년)의 추적이 가능하였던 4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관절경 수술은 체중 부하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Kellgren과 Lawrence분류상 정상이나 초기 퇴행성 관절염(0-2군)으로 분류된 환자에 한하여 시행하였다. 연골 손상의 정도는 수술 중에 Outerbridge 분류를 사용하였으며, 임상적 결론은 Modified Lysholm score를 사용하였다. 결과: 술 전 평균 Lysholm점수는 위의 순서대로 79.1, 71.2, 68.5, 67.9, 67.2, 61.5 이였으며, 술 후 점수는 86.3, 75.1, 73.0, 73.1, 73.2, 66.2이였다. 술 후 통증 호전은 각각 61.5%, 62.5%, 60.0%, 50.0%, 50.0%, 25.0%이었고, 술 후 만족도는 69.2%, 75.5%, 70.0%, 66.6%, 75.0%, 75.0%이었으며, 30.7%, 25.0%, 20.0%, 50.0%, 25.0%, 50.0%에서 다시 수술을 해야 할 것으로 대답하였다. 추시 단순방사선 사진은 7례(15.5%)에서 Kellgren과 Lawrence분류상 3군의 퇴행성 관절염으로 전환되었다. 결론: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정상 이나 초기 퇴행성 관절염을 가진 군(Grade 0-2)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 방사형 파열은 다른 형태의 파열과는 달리 관절경적 절제술 후 불량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우수한 결과를 위해서는 관절경적 절제술 보다는 긴장 장력을 복원하는 술식이나 퇴행성 관절염을 방지 할 수 있는 근위 경골 절골술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 PDF

반월상 연골 손상의 봉합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Factors Affecting Clinical Results of the Meniscal Repair)

  • 송은규;노성만;정재윤;김종석;배봉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3-69
    • /
    • 2003
  • 목적 :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한 관절경적 봉합술의 임상 성적을 조사하고 봉합시 치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반월상 연골 파열 환자 중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하고 추시 기간이 1년 이상된 5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 성별, 파열 위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 유무, 봉합 방법, 수상과 수술사이의 시간, 전방십자인대 부전의 동시 재건술 등과 Tapper & Hoover분류에 따른 결과와의 인과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 Tapper & Hoover분류상 우수 29예, 양호 22계, 보통 3예였으며, 불량은 없었다. Tapper & Hoover 분류에 따른 임상 성적과 손상 당시의 연령 및 봉합 방법의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p<0.05), 그 외 성별, 파열 위치,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 유무, 수상과 수술사이의 시간, 전방십자인대 부전의 동시 재건술 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결론 : 반월상 연골 손상에 대해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하여 $95\%$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으며, 그 반월상 연골 손상의 관절경적 봉합술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로는 손상 당시의 연령 및 봉합 방법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성인의 화농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treatment of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in adults)

  • 경희수;인주철;오창욱;김성중;김준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1-24
    • /
    • 2002
  • 목적 : 전신 합병증이 있는 성인 환자의 화농성 슬관절염을 관절경적 치료를 시도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총 14예의 급성 화농성 슬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5세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4.6개월이었다. 기존 질환으로 당뇨병이 있는 환자가 4예였으며, 슬관절에 침을 맞은 병력이 있는 환자가 4예, 나머지 6예는 특별한 원인을 알 수 없었다. 관절염의 임상적 병기는 관절경적 소견을 기준으로 한 $C\ddot{a}chter$의 분류를 사용하였고 관절경적 세척술 및 변연 절제술 후 추시한 검사실 결과 및 임상 증상의 호전을 통해 그 치료 효과를 판정하였다. 결과 : 원인균의 동정이 가능했던 예는 7예였으며 나머지 7예에서는 원인균이 밝혀지지 않았다. $C\ddot{a}chter$의 분류상 제 1기가 1예, 2기가 8예, 3기가 4예, 4기가 1예였다. 1회의 수술로 증상 완화 및 치료가 가능했던 예가 11예 였으며 제 3기의 2예에서 증상 악화로 관절경적 처치를 1회 더 실시하였고, 제 4기의 1예는 관절경적 처치 후 증상의 호전이 없어 관절 절개술로 전환하여 치료하였으며 3기, 4기에서 좋지 않은 결과를 얻었다. 혈청 적혈구 침강 속도 및 C-반응성 단백이 정상화 되기까지는 각각 평균 29.3일 및 20.8일이 소요되었고, 관절의 국소 종창 및 열감, 통증은 평균 술후 2일만에 소실되었다. 결론 : 급성 화농성 슬관절염에 있어 관절경적 관절 세척술 및 변연 절제술은 수술로 인한 통증 및 합병증을 최소화 하면서도 쉽게 반복적인 처치가 가능한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동통의 소실과 Tegner 활동도는 수술 전 평균 3.3점에서 수술 후 5.5점으로, Lysholm score는 수술 전 평균 68.5점에서 수술 후 93.4점으로 향상되었다 평균 18개월(3개월$\~$36개월) 추시 상 낭종이 재발된 경우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반월상 연골 낭종의 12례$(64\%)$가 외측에 발생하여 내측에 비해 많았으며 17례$(89.5\%)$에서 반월상연골 파열이 동반되었고 파열의 형태는 수평 파열이 15례$(79\%)$로 가장 많았다. 때, 이 두 집단 사이의 진단당시의 임상양상의 차이를 보면 고혈압, 단백뇨 및 부종의 빈도가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으며, 임상병리검사 소견에서는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creatinine 청소율이 Group I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고, BUN, creatinine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 Alport 증후군 환아에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예후와 관련된 위험요인으로는 진단시의 고혈압, 부종, 단백뇨 유무 여부와 혈중 총단백량, 알부민, BUN, creatinine, 사구체 여과율이 중요하며, 이런 가능한 위험요인의 분석과 관찰이 Alport 증후군 환아의 치료와 예후 인지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상승은 주로 간에서 생성의 증가의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단백중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전의 HDL cholesterol, apoB, apoB/HDL cholesterol등은 관해 유도기간과 의미 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서 신증후군 환아의 재발을 예측 할

  • PDF

족 관절 구 증후군에 시행한 관절경적 치료 (Arthroscopic Management for the Treatment of Ankle Gutter Syndrome)

  • 최종혁;박진오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4-60
    • /
    • 2000
  • 목적 : 족 관절의 내외측 구에 병변을 갖는 환자를 대상으로 병변의 양상 및 관절경 치료 후 그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총 366례의 족 관절경을 시행한 환자 중 족 관절 구에 병변을 갖고 있었던 76례(77 족관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족 관절 구의 병변은 비후성 반흔 조직, 유리체 및 골극으로 분류되었다. 병변은 관절경적 제거술이 가능하였으며, 이중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52명을 대상으로 치료의 결과를 판정하였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44개월(2.9년-8.5년)이었다. 결과의 판정은 저자 등에 의한 방법으로 주관적 및 기능적인 평가를 하였으며, 각각의 지표에 대한 결과는 Wilcoxon rank sum method로 통계 처리하였다 결과 : 전체 족 관절경 중 족 관절 구에서 병변이 발견된 빈도는 $21\%$였다. 비후성 반흔 조직의 병변이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31례$(40\%)$에서 족 관절의 병변은 구에만 국한되어 있었으나, 46례$(60\%)$에서는 구 이외의 다른 부위에서도 병변이 동반되었다. 관절경적 치료후 통증, 부종, 강직, 파행 및 활동도에서 통계적으로 의의있는 호전을 보였다(p<0.001). 17례$(33\%)$는 고강도의 운동이 가능하였으며, 기능적으로도 이상이 없었다. 결론 : 족 관절 구는 만성 족 관절 통증에서 병변이 위치하는 중요한 부위로서, 족 관절경시 족 관절 구의 검사가 필수적이다 족 관절 구 증후군에 대한 관절경적 치료는 병변의 제거에 매우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 PDF

감염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치료 이후 예후 인자에 대한 분석 (Prognostic Factors after Arthroscopic Treatment of Infectious Knee Arthritis)

  • 강상우;최의성;김동수;정호승;홍석현;고반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0-36
    • /
    • 2019
  • 목적: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받은 감염성 슬관절염 환자들에서 성별, 나이, 기저질환, 증상 발생 후 수술까지 걸린 기간, 발병 전 침습적 시술의 시행 여부, 관절 천자액의 세균 배양, Gachter 분류를 통한 세균 감염의 정도가 치료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4년 6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감염성 슬관절염으로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받은 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14.2±2.1개월(12-20개월)이었다. 남자가 27명(52.9%), 여자가 24명(47.1%)이며, 평균 나이는 55.1±17.6세(13-84세)였다. 수술 전 시행한 관절 천자검사상 백혈구 수가 50,000개 이상, 다형핵 백혈구 수의 비율이 95% 이상인 환자를 감염성 슬관절염으로 진단하고 수술을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관절경적 수술과 수술 후 지속적인 관절 세척을 시행하였다. 결과: C-반응 단백의 초기 평균 수치는 9.55±6.76 mg/dl (1.51-31.06 mg/dl)에서 최종 평균 수치는 0.74±1.26 mg/dl (0.08-6.77 mg/dl)로 감소하였으며, 평균 C-반응 단백의 정상화 기간은 27.6±18.9일(8-93일)이었다. 관절경적 수술과 항생제 사용 후 발열, 동통, 부종 등의 임상증상이 호전되고 C-반응 단백의 수치가 0.5 mg/dl 이하로 감소하여 감염성 슬관절염의 완치 판정을 받은 환자는 51예 중 44예(86.3%)이며, 최종적으로 두 번 이상의 관절경적 수술을 시행한 환자가 5예, prosthesis of antibiotic-loaded acrylic cement 후 인공관절 치환술로 전환한 환자가 2예이다. 결론: 지금까지 문헌들에서 알려진 것처럼 증상 발생 후 수술까지 걸린 기간과 Gächter 분류에 따른 병기는 감염성 슬관절염의 치료 성공 여부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이외의 인자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단 관절 천자액에서 세균이 배양된 환자군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C-반응 단백의 정상화 기간이 짧아 치료 기간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의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Outside-in 봉합술 (Arthroscopic Outside-in Repair of Tears of the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 변재용;강신택;김보현;황찬하;최승욱;정인호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3-86
    • /
    • 2006
  • 목적: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의 병변 중 Palmer 분류상 1B형에 대해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하고 그 결과와 수술 술기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부터 2004년까지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의 병변으로 수술을 시행한 환자 중 1B형으로 봉합술을 시행한 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28개월이었으며, 남자가 6례, 여자가 3례, 우측이 7례, 좌측이 2례였다.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 및 outside-in 방법으로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적 결과 판정은 통증에 대한 주관적 시각 척도, 완관절의 근력, 운동 범위를 이용하였다. 결과: 통증에 대한 주관적 시각 척도는 수술 전 6.2에서 수술 후 1.4점으로 감소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수근 관절의 근력이 수술 전에 비해 호전 되었고 관절 운동 범위가 전범위 가능한 상태로 호전 되었다. 결론: 1B형 삼각 섬유연골 복합체의 병변에 대해 관절경적 봉합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outside-in 방법을 이용한 봉합술은 술식이 간단하고 만족스런 고정력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다발성 회전근 개 파열에서 시행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복원술 후 MRI 추적 검사 (MRI Follow-up Study After Arthroscopic Repair of Multiple Rotator Cuff Tendons)

  • 태석기;김진영;박재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96-103
    • /
    • 2008
  • 목적: 다발성 건을 침범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복원 술 후 재 파열의 발생률 및 관련된 요인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극상건과 극하건을 포함한 회전근 개 파열을 보인 22예의 관절경적 복원 술 후(평균 파열크기 3.2 cm, 평균 연령: 58세) 평균 10개월 후 자기공명영상으로 조사 하였다. 복원된 건의 상태 평가는 Sugaya의 분류를 이용하였으며 근육의 상태 변화는 Goutallier의 등급을 이용하였다. 결과: 총 22예 중 7예(32%)에서 재파열을 보였다(Sugaya 분류 IV, V형). 3 cm이상의 파열에서 높은 재파열률 을 보였으며(67%) 반면 3 cm 이하에서는 8%의 재파열률 을 보였다. 재파열을 보인 경우 수술 후 Goutallier II등급 이상의 근육의 변성을 보였다. 반면 재파열이 발생하지 않은 군에서도 근 위축이 호전된 경우는 볼 수 없었다. 결론: 다발성 건을 침범한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 적 복원 술 후 32%의 재파열을 보였다. 파열의 크기가 재파열의 중대한 요소이며 파열의 크기가 3 cm 이상인 경우 재파열이 더 자주 발생하였다. 재파열을 보인 경우 근 위축은 진행 하였으며 복원상태가 유지 되어도 근 위축이 호전된 경우는 볼 수 없었다.

반월상 연골의 관절경적 봉합시 관절안정성에 따른 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according to joint stability)

  • 경희수;인주철;백승훈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7-42
    • /
    • 2002
  • 목적 : 관절경적 반월상 연골 봉합술시 인대 손상 동반 여부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59.7개월이었다. 환자의 연령은 평균 32.3세였다. 동반 인대 손상이 없는 경우와 동반 손상인대를 치료한 17례를 안정 관절군으로, 동반 손상을 치료하지 않은 3례를 불안정 관절군으로 비교하였다. 안정 관절군은 급성기와 만성기로 분류하였다. 결과는 Lysholm 및 IKDC 평가법으로 판정하였다. 정상 및 아정상군은 만족으로, 비정상 및 장애군은 불만족으로 구분하였다. 통계적인 방법은 Wilcoxon rank sum test, fisher's exact test(p<0.05)를 이용하였다. 결과 : 동반 손상인대를 동시에 치료한 8례는 만족 $87.5\%$, Lysholm score는 평균 90.9을 보였고, 동반 손상을 치료하지 않은 3례는 만족 $66.7\%$, Lysholm score는 평균 77.7을 보였다 동반 인대 손상이 없는 9례는 만족 $88.9\%$, Lysholm score는 평균 91.4을 보였다. 급성기에 치료한 12례는 만족 $91.7\%$, Lysholm score는 평균 92.5를 보인 반면, 만성기의 5례는 만족 $80\%$, Lysholm score는 평균 88.6을 보였다. 결론 : 수상 후 급성기에 파열된 반월상 연골 및 동반 손상인대의 관절경적 복원술을 동시에 시행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관절면을 침범한 경골 외과 골절의 관절경적 정복 및 내고정술 (Arthroscopic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f Intra-articular Fractures of Lateral Tibial Plateau)

  • 이광원;이항호;양동현;최원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3-60
    • /
    • 2006
  • 목적: 본 연구는 관절면을 침범한 경골 외과 골절 환자의 관절경적 정복 및 내고정술 후 임상 결과와 방사선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에서 2004년 8월까지 본원 정형외과를 방문한 관절면을 침범한 경골 외과 골절 환자 중 관절경적 정복 및 내고정술을 시행한 13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정확한 골절의 양상 및 함몰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단순 방사선 사진 및 전산화 단층 촬영 또는 자기 공명 영상 촬영을 같이 시행하여 분석한 Schatzker 골절 분류상 전례가 제 2형에 해당하였으며, 9례에서는 골결손이 심하여 자가골 및 동종골을 이용한 골이식을 시행하였다. 평균 연령은 $48(31{\sim}66)$세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38(13{\sim}65)$개월이었다. 동반손상은 후방 십자 인대 손상 1례, 반월상 연골 손상 4례, 내측 측부 인대 손상 2례가 관찰되었다. 방사선학적 평가는 술전, 술후 및 최종 추시시 단순 방사선 사진에서 관절면 정복의 정도를 비교하였고, 기능적 평가는 IKDC 점수와 Lysholm 점수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시 단순 방사선 사진상 전례에서 관절면의 정복이 잘 유지되고 있었고, 함몰이나 골절 정복 소실, 각 변형, 부정유합 등의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Lysholm 점수는 평균 $87(65{\sim}97)$점이었고, Lysholm 분류상 우수(exellent) 8례, 양호(good) 3례, 보통(fair) 1례, 불량(poor) 1례이었으며. IKDC 점수는 평균 $92(82{\sim}99)$점이었다. 결론: 경골 외과 골절시 관절경적 정복은 관절면의 정확한 정복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절경을 통한 슬관절 동반 손상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좋은 술식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