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관상소재

Search Result 7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tudy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iden silvergrass(Miscanthus sinensis) Cultivars (참억새(Miscanthus sinensis) 재배종의 형태적 특성에 대한 고찰)

  • An, Mi-Yun;Ryu, Sung-Ryul;Kwon, Yong-Rak;Jang, Yong-seo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10a
    • /
    • pp.84-84
    • /
    • 2018
  • 참억새(Miscanthus sienesis)는 화본목 벼과 억새속에 속한 다년생 단자엽식물로 동아시아와 오세아니아 동쪽 해역에 자생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관상가치가 높아 정원용이나 조경용 소재로 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산림식물이다. 억새속(Miscanthus)은 물억새(M. sachariflorus), 참억새(M. sinensis), 억새아재비(M. longiberbis), 장억새(M. changii)로 분류하고 있으며, 이는 종을 구분하는 화기구조가 작고, 변이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그 중 참억새는 이러한 변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초장과 엽 무늬를 가진 재배품종이 많이 개발되었으며, 내한성 또한 강해 정원용 관상식물로서의 가치가 높이 평가되고 있다(Lewandowsik et al, 1964). 지금까지 참억새 재배품종은 엽 무늬를 중심으로 개발되어 품종간 높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 구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참억새 품종개발시 기존품종과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기존 참억새 재배품종들에 대해 형태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고찰해 보았다. 조사결과 가로무늬를 가진 'Strictus'와 'Zebrinus' 품종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였으나 전체적인 모습에서 'Zebrinus'가 'Strictus' 품종에 비해 잎의 끝부분이 늘어지는 정도가 커 처진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세로무늬를 가진 'Cosmopolitan'과 'Carbaret' 품종의 경우 초장 및 엽신의 길이가 유사하였으나 엽 무늬 위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 폭이 좁은 세엽종인 'Morning Light'와 'Little Kitten' 품종은 형태적 차이는 없지만 가장자리 엽 무늬 유무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반면에 'Adagio'와 'Little Kitten, 품종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여 좀 더 세밀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더 많은 참억새 재배품종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자료를 이용한다면 신품종 개발시 기존 재배품종과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효율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Optimization of Cultivation Conditions on Effective Seedlings of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산꼬리풀의 효과적인 육묘를 위한 재배조건 최적화)

  • Lee, Sang In;Yeon, Soo Ho;Cho, Ju Sung;Jeong, Mi Jin;Lee, Cheol Hee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9 no.2
    • /
    • pp.181-188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optimal conditions for seedling growth in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which a endemic plant and can be development as ornamental plants. We sowed V.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seeds, and exposed the seedling was different treatment conditions. We varied soil type and fertilizer concentration, shading ratio, additional fertilizer concentration, pretreatment light exposure and collection time of seeds. We found that seedling growth was good in horticultural substrate (with no additional fertilizer), but mixed soils supplemented with fertilizer inhibited growth, regardless of the fertilizer concentration. In the 55% shading treatment, seedling growth was greater than in the non-shading treatment. High concentration addition of fertilizer (Hyponex) promoted plant growth, in terms of both plant length and fresh weight. Exposure of seeds to a red light-source prior to germination had a greater effect on seedling growth than exposure to other light sources. Seedlings exhibited better growth when grown from seed collected in 2018, rather than 2017.

A Study on the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Myanmar Plants as Garden Plants (정원소재로서의 미얀마 유용 및 관상식물 수집·활용에 관한 연구)

  • Ahn, Tai Hyeon;Goh, Yeo Bin;Jin, Hye Young;Bae, Jun Gyu;Lee, Ki Cheol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3 no.4
    • /
    • pp.404-416
    • /
    • 2020
  • Studies on the preservation and propagation of tropical and subtropical plants are required, but the studies are insufficient in Korea. Since 2013, the Tropical Plant Resources Research Center has been collaborating on field research and publication to preserve plant diversity in Myanmar protected areas and Sagging areas in cooperation with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the Myanmar Forest Research Institute.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cooperative projects. As a result of the joint research between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Myanmar, in December 2018,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Tropical Plant Resources Research Center is on display for conservation and education purposes with the 65 Myanmar useful materials and specimens of 326 kinds of plants and specimens that Myanmar Forest Research Institute donated. This donation is the first case of Myanmar's export of plant organisms to a foreign country, and as for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it is the second official case of introducing a mass plant from foreign governments. The study will also accelerate preservation biodiversity and propagation methods of tropical and subtropical plants as well as research on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industrial use.

Comparison Study of Three Varieties of Red Peppers in Terms of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품종별 고추(꽃고추, 홍고추 및 홍피망)의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 Byun, Eui-Baek;Park, Woo-Young;Ahn, Dong-Hyun;Yoo, Yung-Choon;Park, Chulhwan;Park, Won-Jong;Jang, Beom-Su;Byun, Eui-Hong;Sung, Nak-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5 no.5
    • /
    • pp.765-770
    • /
    • 2016
  • This study compared the extracts of three varieties of red peppers in terms of thei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s well as antioxidant activities. In this study, two edible red peppers (Capsicum annuum var. angulosum and Capsicum annuum L.) and one flowering grass red pepper (Capsicum annuum var. abbreviatum), were individually extracted by using ethanol. Among three varieties of red peppers, the highest levels of total polyphenols and total flavonoids were observed in Capsicum annuum var. abbreviatum extract. Similarly, antioxidant activities resulted in ${\alpha},{\alpha}$-diphenyl-picrylhydrazyl,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reducing power significantly increased in extract of Capsicum annuum var. abbreviatum. Therefore, our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Capsicum annuum var. abbreviatum can be used as a new natural antioxidant source.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ionship to Coronary Risk Factors in Male Workers (성인남성 근로자의 여가시간 중 육체적 활동양상 및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들과의 관련성)

  • Rho, Yun-Kyeong;Yeh, Min-Hae;Lee, Sung-Kook;Chun, Byung-Yeol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26 no.3 s.43
    • /
    • pp.332-346
    • /
    • 1993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observe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pattern and its relationship to coronary risk factors (BMI,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fasting blood sugar).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277 adult male workers of an industry in Kyungpook province, Korea. Energy expenditure were measured using modified Physical Activity History questionnaire of CARDIA study by interviewing.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blood sugar level were tested with 5 ml fasting blood and height, weight and blood pressure were masured. Data on smoking and drinking habits and others were obtained. Geometric mean of leisure time physical energy expenditure were estimated as 212.80 kcal per week for study subjects and only 22.4% of them expended 2,000 kcal or more per week in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Taking walks or hikes and jogging or running were more frequent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ies in study subjects.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total weekly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for all coronary risk factors were not found among three groups. Because energy expenditure of leisure time was generally low in this subjects and most of them were healthy men, we did not found that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oronary risk factors.

  • PDF

Cultural Conditions Affecting Gametophyte Propagation and Sporophyte Formation of Lygodium japonicum (Thunb.) Sw. (실고사리의 전엽체 증식 및 포자체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조건)

  • Jang, Bo Kook;Lee, Ki Cheol;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22-22
    • /
    • 2018
  • 실고사리[Lygodium japonicum (Thunb.) Sw.]는 국내 자생하는 덩굴성 양치식물로 유인재배가 용이하여 실내 외 조경 및 관상소재로 활용이 가능하다. 한방에서는 전초를 해금사초, 포자를 해금사, 뿌리와 지하경을 해금사근이라 약재로 사용한다. 본 연구는 관상 및 약재로 이용이 가능한 실고사리의 대량생산을 위한 기내 외 번식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식물재료는 경상북도 의성군 일대에서 성체를 수집하여 청주의 일반하우스에 식재하여 성숙한 포자를 채취하였다. 포자를 기내 발아시켜 전엽체를 획득한 다음 8주 간격으로 계대하면서 연구의 재료를 확보하였다. 전엽체의 증식과 생육에 적합한 배지를 비교 하고자, 1/4, 1/2, 1, 2MS배지와 Knop배지를 조성하여 배양하였다. 배양방법은 전엽체 300mg을 메스로 균일하게 다져서 배양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배양환경은 온도($25{\pm}1.0^{\circ}C$), 광도($30{\pm}1.0{\mu}mol{\cdot}m^{-2}{\cdot}s^{-1}$), 광주기(16/8h light/dark)로 조절되었다. 연구결과, 모든 처리구의 생체중은 초기접종량 보다 11배 이상 증가하였고, 그 중 1MS배지에서는 전엽체의 생체중이 7.3g으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뿐만 아니라, 형태형성도 우수하여 모두 정상적인 전엽체의 형태인 하트형으로 발달이 유도되었다. 전엽체로부터 포자체 형성을 유도하고자, 원예상토, 피트모스, 펄라이트 및 마사토의 혼합비율을 5종류로 달리하여 사각분($7.5{\times}7.5{\times}7.5cm$)에 혼합토양을 충진하였다. 전엽체 1g과 증류수 25mL를 핸드블랜더로 10초간 분쇄하여 사각분의 토양표면에 균일하게 분주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후 온도($25{\pm}1.0^{\circ}C$), 광도($43{\pm}2.0{\mu}mol{\cdot}m^{-2}{\cdot}s^{-1}$), 광주기(16/8h light/dark), 습도($72{\pm}2.0%$)를 유지하면서 10주간 재배되었다. 연구결과, 원예상토 단용, 원예상토와 펄라이트 및 마사토가 2:1(v:v)로 혼합된 토양에서 각 498.0, 402.5, 482.5개의 포자체가 형성되어 사각분 면적대비 7.16개($cm^2$)가 생산되었다. 한편 포자체의 생육은 원예상토와 펄라이트가 2:1(v:v)로 혼합된 토양에서 생체중, 엽장, 엽폭, 근장 및 SPAD value 등이 우수하였다.

  • PDF

Effects of Seedling Container, Soil Composition, Seeding Rates and Fertilizer Conditions on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 (변산향유 유묘 생장에 미치는 파종용기, 토양조성, 파종량, 추비조건의 영향)

  • Lee, Sang In;Park, Ji Woo;Kwon, Ye Eun;Kim, Sang Young;Cho, Wonwoo;Jeong, Mi Ji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5 no.1
    • /
    • pp.29-35
    • /
    • 2022
  • Elsholtzia byeonsanensis is a Korean native plant of the Lamiaceae family, and was first introduced in th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This plant has a short plant length of 20-35 cm, with leathery and glossy leaves. The purple flowers bloom in November, so they are highly useful as potted or ground cover ornamental plants. In this study, tray cell size (128, 162, and 200-cell trays), soil composition [horticultural soil (HS): decomposed granite (DG) 1:1, 1:2, and 1:4 (v:v)], seeding rate (1, 2, and 3 seeds per cell) and additional fertilizer concentrations (0, 250, 500, and 1000 mg/L Hyponex) were tested to find out the optimum seedling growth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E. byeonsanensis growth increased proportionally as the cell size of the tray increased. The growth was inhibited as the percentage of DG increased. As for the growth according to the seeding rate, plant height, plant wid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decreased as the seeding rate increase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leaves, stem diameter, and root length. There was an increasing trend in seedling growth as the additional fertilizer concentration increased. Therefore, for producing E. byeonsanensis seedling, it is most effective to fill HS or HS:DG 1:1 in 128-cell trays, sow one seed per cell, and spray the seedling at 1000 mg/L for additional fertilizer.

Evaluation of Growth Characteristics of T hree Monocot Plants Native to Korea according to Cultivation Environments in Greenhouse (온실재배환경에 따른 자생 단자엽식물 3종의 생육 특성 평가)

  • Yu-Jin Kim;Hamin Lee;Boran Ji;Kichan Kim;Bo-Kook Jang;Cheol Hee Lee;Ju-Sung C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47-47
    • /
    • 2022
  • 단자엽식물은 잎의 곡선과 직선의 조화가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은 식물이다. 이로 인해 자생 단자엽식물의 실내 관상 및 조경용 소재개발 연구가 활성화되고 있으나 재배에 대한 정보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 단자엽식물인 참김의털[Festuca ovina L. var. coreana (St.-Yves) St.-Yves], 청사초(Carex breviculmis R.Br.), 골풀[Juncus decipiens (Buchenau) Nakai]을 대상으로 몇 가지 재배 조건에 대한 생육 차이를 확인하였다. 국립생물자원관으로부터 분양 받은 세 종의 종자는 휴면 여부와 발아 적온을 확인하기 위해 종자를 페트리디쉬에 파종한 후 15, 20, 25, 30℃(명 또는 암조건) 및 25/15℃(16/8h, 명/암) 조건에 배치하였다. 재배실험은 유리온실에서 수행되었으며, 토양에 파종 후 4주간 육묘한 다음 균일한 생육상태의 묘를 7cm 포트에 이식하여 실험의 재료로 사용하였다. 토양실험은 시판 원예용상토와 마사토를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비율을 1:1, 2:1 및 3:1로 조성하였다. 차광 환경은 55, 75% 차광과 무차광 조건으로 달리 하였으며, 추비는 재배 6, 8, 10주차에 500, 1,000ppm의 하이포넥스(NPK 7-10-6) 용액을 엽면시비 하였다. 토양실험을 제외한 모든처리구에서는 원예상토 단용을 사용하였으며, 이식 후 12주간 재배하였다. 발아 실험 결과, 참김의털은 명조건에서 25/15와 15℃를 제외하고 발아율이 10% 이하로 조사되었으며, 암조건에서 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아율이 감소하였다. 청사초는 모든 온도에서 90%이상 발아하였으며, 암조건의 경우 발아율이 10% 이하로 조사되어 광발아성 종자로 확인되었다. 골풀은 실험이 진행된 30일 동안 모든온도에서 발아하지 않았으나, 재배실험을 위해 토양에 파종된 골풀은 파종 약3주 이후 발아가 관찰되었다. 재배실험 결과, 참김의털과 청사초의 경우 2:1로 혼합한 토양에서 엽수와 분얼수, 생체중 등이 가장 높게 조사되어 관상적 가치가 높았으며, 골풀은 3:1의 혼합토양에서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다. 차광은 세 종 모두에게서 생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청사초와 골풀은 500ppm의 하이포넥스를 시비하였을 때 생육이 촉진되었다.

  • PDF

The Culture of Appreciating Pigeons in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Gardens (전통 원림에 도입된 비둘기 완상 문화)

  • Kim, Seo-Lin;Sung, Jo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3
    • /
    • pp.1-14
    • /
    • 2021
  •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loving pigeon culture practiced in traditional gardens and to illuminate the aspect of pigeons as a landscape animal material.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lture of enjoying old garden through pigeons, the contents were analyzed for the translated version of the old literatures and paintings. Pigeons have been used as Jeonseo-gu(傳書鳩) and also for medicinal purposes and food. Pigeons have various symbolic meanings such as abundance, hospitality, and longevity. From th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pigeons were raised in the palace and private gard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emporary trend of ornamental pigeon culture occurred. Pigeons were synesthesia materials that enriched the forest. Various beautiful pigeons created a variable landscape of the primeval forest as a moving landscape material. The bell sounds that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igeon's movement led to a rich auditory experience of the landscape. The pigeon house was an ornamental element that enriched the old garden along with the pigeon. The owners of garden were involved in gardening through the act of buying a pigeon house and placing it in the garden or making a pigeon house themselves. In addition, the writers planted plum trees, peach trees, apricot trees, and hawthorn trees as a symbol of spring and a source of food for pigeons, and expressed them in poems and painting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translation of the old text was used as an analysis data. The follow-up studies on specific cases of raising pigeons in the old garden, in modern and contemporary landscape spaces are urged.

Optimal Conditions for Groundcovers Cultivation of Korean Native Lythrum salicaria L. (자생 털부처꽃의 지피용 재배를 위한 최적 조건)

  • Bo Kook Jang;Soo Ho Yeon;Ju Sung Cho;Cheol Hee L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24-24
    • /
    • 2020
  • 본 연구는 자생 털부처꽃의 실용적인 산업화를 위해 지피용 재배조건을 조사하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재료는 털부처꽃의 종자를 2019년 4월말에 파종하여 8주 후 얻어진 유묘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식재용기(2, 3, 4치 비닐포트), 토양종류(원예상토 단용 및 마사토:피트모스 혼용토(v/v; 2:1, 3:1), 파종용기(162, 200, 288셀 플러그트레이) 및 파종립수(1, 2, 4립)를 달리하였으며, 정식 후 처리구간의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마사토와 피트모스 혼용토는 9L당 퇴비 1L를 혼합하여 원예상토와 비교하였다. 대조구는 원예상토가 충진된 3치 비닐포트에 정식된 유묘와 셀당 1립이 파종된 200셀 플러그트레이의 유묘를 사용하였다. 유묘는 처리별로 정식한 다음 충북대학교 유리온실에서 12주간 재배되었으며, 매일 2회(5분/1회) 미스트 관수되었다. 연구결과, 털부처꽃의 유묘가 정식된 비닐포트는 포트의 볼륨이 클수록 생육이 우수한 경향을 나타냈다. 특히 4치 비닐포트는 동일한 재배기간 동안 경직경(3.61 mm), 측지수(28.2 ea), 엽수 (311.6 ea), 근장 (22.1 cm) 및 생체중(7049.9 mg)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토양종류는 원예상토를 단독으로 사용한 처리구의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다. 반면 마사토와 피트모스 혼용토는 재배가 지속되면서 생육이 저조하여, 농업용 퇴비로는 양분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파종립수가 증가할수록 각 개체의 생육은 감소하였으나, 4립 파종구의 유묘는 정식 후 풍성한 볼륨을 나타냈으며, 지피용 재배목적에 부합하였다. 플러그트레이는 볼륨이 작아질수록 초장과 생체중이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전반적으로 생육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 PDF